정의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의 '엣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을 학습하기 위한 경기도박물관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계획
- 관련 단원: 초등학교 3학년 2학기(사회과) 2.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 성취 기준: [4사02-03]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 연구 내용: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잘 드러나는 사진, 동영상, 생활 도구 모형 등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오늘날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나 민속촌과 같은 장소를 견학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옛사람들의 모습을 파악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 도구 중 농사도구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국공립 박물관들의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다양한 전시물과 유물을 보면서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살펴보는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박물관 견학하기 교수•학습 활동
- 1차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생활 도구 나열해 보기
- 2~3차시: 각종 실물 자료와 그림을 살펴보면서 생활 도구 알아보기
- 4차시: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변화상 파악하고, 미래의 생활 도구도 예측해보기
농사도구
박물관 |
유물 갯수 |
내용
|
여주박물관 |
2 |
연자방아
|
최용신기념관 |
1 |
농촌갱생의 지침
|
안양박물관 |
3 |
씨오쟁이, 똬리, 둥구미
|
용인시박물관 |
1 |
반달돌칼
|
양주회암사지박물관 |
11 |
호미, 살포, 철제 농기구, 반월형 석도, 철겸
|
고구려대장간마을 |
31 |
쇠스랑, 장어훌치기, 살포, 철겸, 납, 삽, 약초괭이, 호미, 글괭이, 철착, U자형 삽날, 가래, 밀낫, 괭이
|
화성시향토박물관 |
4 |
쇠스랑검은대, 못줄, 논호미, 그네
|
남양주시립박물관 |
3 |
호미, 쟁기, 써래
|
안산향토사박물관 |
22 |
지게, 송대이, 멱둥구미, 삼태기, 호미, 밭호미, 논호미, 갈쿠리, 못줄, 써레줄, 사시, 탈곡기,
|
수원박물관 |
5 |
권업모범장성적요람, 화산 및 수원부근 식생, 물레, 수언명문 홀태, 옥수수 탈림기
|
하남역사박물관 |
11 |
반달돌칼, 쇠 낫, 쇠손칼, 따비, 철겸편, 보습편, 따비편
|
안산어촌민속박물관 |
49 |
멍석, 도래방석, 따비, 고무래, 지게, 돌공이, 쟁기, 멍에, 색대, 가래, 살포, 넉가래, 쌍날따비, 논제초기, 씨앗망태기, 밭제초기, 길마와 옹구, 거름지게, 거름바가지, 귀때동이, 새갓통, 자리틀, 가마니틀, 둥구미, 댕댕이, 고추갈퀴, 거문대, 도리깨, 물통지게, 써레, 도롱이, 물지게, 칼나래, 끙개, 전지가위, 모뜨기, 종가래, 포도농사 앞주머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