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구 메타 아카이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도계획) |
(→옛 농기구를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알아보기)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p style="text-align:right">박현정<br/>경기도 수원 신풍초등학교 교사<br/>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박사과정</p> | ||
+ | [[파일:초3 사회과 표지.jpg|125px|썸네일|오른쪽]] | ||
==정의== | ==정의== | ||
− |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의 ' | + | |
+ |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의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을 학습하기 위한 경기도박물관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
==지도계획== | ==지도계획== | ||
− | *관련 단원: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 + | *관련 단원: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사회과) 2.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
− | *성취 기준: [4사02-03]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 + | |
− | *연구 내용: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잘 드러나는 사진, 동영상, 생활 도구 모형 등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오늘날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나 '''민속촌'''과 같은 장소를 견학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옛사람들의 모습을 파악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국공립 박물관들의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다양한 전시물과 유물을 보면서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살펴보는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 | *성취 기준: [4사02-03]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
+ | |||
+ | *연구 내용: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잘 드러나는 사진, 동영상, 생활 도구 모형 등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오늘날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나 '''민속촌'''과 같은 장소를 견학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옛사람들의 모습을 파악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 도구 중 농사도구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국공립 박물관들의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다양한 전시물과 유물을 보면서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살펴보는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
+ | |||
*박물관 견학하기 교수•학습 활동 | *박물관 견학하기 교수•학습 활동 | ||
#1차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생활 도구 나열해 보기 | #1차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생활 도구 나열해 보기 | ||
#2~3차시: 각종 실물 자료와 그림을 살펴보면서 생활 도구 알아보기 | #2~3차시: 각종 실물 자료와 그림을 살펴보면서 생활 도구 알아보기 | ||
#4차시: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변화상 파악하고, 미래의 생활 도구도 예측해보기 | #4차시: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변화상 파악하고, 미래의 생활 도구도 예측해보기 | ||
+ | |||
+ | *교재 | ||
+ | |||
+ | [[파일:초3 사회과 2단원 농사도구1.jpg|500px|프레임없음]][[파일:초3 사회과 2단원 농사도구2.jpg|500px|프레임없음]] | ||
+ | |||
+ | ==농사도구== | ||
+ | *국립박물관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박물관 !! 유물 갯수 !! 내용 | ||
+ | |- | ||
+ | | [[산림청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11 || 도리깨, 칡키, 용수집, 죽키, 버들키, 농촌미화와 약초재배법 | ||
+ | |} | ||
+ | *공립박물관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 박물관 !! 유물 갯수 !! 내용 | ||
+ | |- | ||
+ | | [[여주박물관]] || 2 || 연자방아 | ||
+ | |- | ||
+ | | [[최용신기념관]] || 1 || 농촌갱생의 지침 | ||
+ | |- | ||
+ | | [[안양박물관]] || 3 || 씨오쟁이, 똬리, 둥구미 | ||
+ | |- | ||
+ | | [[용인시박물관]] || 1 || 반달돌칼 | ||
+ | |- | ||
+ | | [[양주회암사지박물관]] || 11 || 철제 호미, 살포, 철제 농기구, 반월형 석도, 철겸 | ||
+ | |- | ||
+ | | [[고구려대장간마을]] || 31 || 쇠스랑, 장어훌치기, 살포, 철겸, 낫, 삽, 약초괭이, 호미, 글괭이, 철착, U자형 삽날, 가래, 밀낫, 괭이 | ||
+ | |- | ||
+ | | [[화성시향토박물관]] || 4 || 쇠스랑검은대, 못줄, 논호미, 그네 | ||
+ | |- | ||
+ | | [[남양주시립박물관]] || 3 || 호미, 쟁기, 써래 | ||
+ | |- | ||
+ | | [[안산향토사박물관]] || 22 || 지게, 송대이, 멱둥구미, 삼태기, 호미, 밭호미, 논호미, 갈쿠리, 못줄, 써레줄, 사시, 탈곡기, | ||
+ | |- | ||
+ | | [[수원박물관]] || 5 || 권업모범장성적요람, 화산 및 수원부근 식생, 물레, 수언명문 홀태, 옥수수 탈립기 | ||
+ | |- | ||
+ | | [[하남역사박물관]] || 11 || 반달돌칼, 쇠 낫, 쇠손칼, 따비, 철겸편, 보습편, 따비편 | ||
+ | |- | ||
+ | | [[안산어촌민속박물관]] || 49 || 멍석, 도래방석, 따비, 고무래, 지게, 돌공이, 쟁기, 멍에, 색대, 가래, 살포, 넉가래, 쌍날따비, 논제초기, 씨앗망태기,<br> 밭제초기, 길마와 옹구,거름지게, 거름바가지, 귀때동이, 새갓통, 자리틀, 가마니틀, 둥구미, 댕댕이,고추갈퀴, <br>거문대, 도리깨, 물통지게, 써래 <ref>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420&index_id=cp04200031&content_id=cp042000310001&search_left_menu=3 출처:문화콘텐츠닷컴]</ref>, 도롱이, 물지게,칼나래, 끙개, 전지가위, 모뜨기, 종가래, 포도농사 앞주머니 | ||
+ | |} | ||
+ | |||
+ | ==옛날의 농기구 탐구방법== | ||
+ | #농사일에 따라서: ,파종경작, 수확탈곡, 도정, 저장, 운반, 우장 | ||
+ | #시대에 따라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근대,현대,미래 | ||
+ | #지역에 따라서: 산, 바다, 강, 평야, 각 도시 등 | ||
+ | #유물의 재질에 따라서: 종이(서책), 나무, 철, 도자기, 볏짚 등 | ||
+ |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 | ||
+ | |||
+ | ==옛 농기구를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알아보기== | ||
+ | <html> | ||
+ | <iframe width="95%" height="700px" src="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phj&project=farmtool&key=농기구"></iframe> | ||
+ | <br/><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s://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s_phj&project=farmtool&key=농기구'"> | ||
+ | </html> | ||
+ | |||
+ | ==참고== | ||
+ | #[https://blog.naver.com/rda2448/221514209199 조선시대에는 어떻게 농사를 지었을까? 전통농기구와 농업과학 특별전시회] | ||
+ | #[http://rda.go.kr/children/pageUrl.do?menu=agri&pg=0201 농촌진흥청 과거속 농기구 이야기] | ||
+ | #[http://www.culturecontent.com/main.do 문화컨텐츠닷컴] | ||
+ | #[http://www.emuseum.go.kr/main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 ||
+ | #[http://e-lib.sen.go.kr:84/ 서울특별시교육청 전자도서관] | ||
+ | #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경기도박물관/농기구.xlsx 농기구 엑셀파일](2020.11.03) | ||
+ | #[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경기도박물관/도구마커.pdf KERIS 실감형교육 AR도구마커] | ||
+ |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q/psqb/farmTermDicLst.ps?menuId=PS00064 농업용어사전] | ||
+ | #[http://lib.rda.go.kr/search/openDonationBookList.do 1950년 이전 농업자료(국회도서관 제공)] | ||
+ | |||
+ | ==주석== |
2024년 3월 15일 (금) 09:36 기준 최신판
박현정
경기도 수원 신풍초등학교 교사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 박사과정
정의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의 '옛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을 학습하기 위한 경기도박물관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계획
- 관련 단원: (초등학교 3학년 2학기 사회과) 2.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 성취 기준: [4사02-03]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 연구 내용: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잘 드러나는 사진, 동영상, 생활 도구 모형 등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오늘날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나 민속촌과 같은 장소를 견학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옛사람들의 모습을 파악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 도구 중 농사도구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국공립 박물관들의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다양한 전시물과 유물을 보면서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살펴보는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박물관 견학하기 교수•학습 활동
- 1차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생활 도구 나열해 보기
- 2~3차시: 각종 실물 자료와 그림을 살펴보면서 생활 도구 알아보기
- 4차시: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변화상 파악하고, 미래의 생활 도구도 예측해보기
- 교재
농사도구
- 국립박물관
박물관 | 유물 갯수 | 내용 |
---|---|---|
산림청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11 | 도리깨, 칡키, 용수집, 죽키, 버들키, 농촌미화와 약초재배법 |
- 공립박물관
박물관 | 유물 갯수 | 내용 |
---|---|---|
여주박물관 | 2 | 연자방아 |
최용신기념관 | 1 | 농촌갱생의 지침 |
안양박물관 | 3 | 씨오쟁이, 똬리, 둥구미 |
용인시박물관 | 1 | 반달돌칼 |
양주회암사지박물관 | 11 | 철제 호미, 살포, 철제 농기구, 반월형 석도, 철겸 |
고구려대장간마을 | 31 | 쇠스랑, 장어훌치기, 살포, 철겸, 낫, 삽, 약초괭이, 호미, 글괭이, 철착, U자형 삽날, 가래, 밀낫, 괭이 |
화성시향토박물관 | 4 | 쇠스랑검은대, 못줄, 논호미, 그네 |
남양주시립박물관 | 3 | 호미, 쟁기, 써래 |
안산향토사박물관 | 22 | 지게, 송대이, 멱둥구미, 삼태기, 호미, 밭호미, 논호미, 갈쿠리, 못줄, 써레줄, 사시, 탈곡기, |
수원박물관 | 5 | 권업모범장성적요람, 화산 및 수원부근 식생, 물레, 수언명문 홀태, 옥수수 탈립기 |
하남역사박물관 | 11 | 반달돌칼, 쇠 낫, 쇠손칼, 따비, 철겸편, 보습편, 따비편 |
안산어촌민속박물관 | 49 | 멍석, 도래방석, 따비, 고무래, 지게, 돌공이, 쟁기, 멍에, 색대, 가래, 살포, 넉가래, 쌍날따비, 논제초기, 씨앗망태기, 밭제초기, 길마와 옹구,거름지게, 거름바가지, 귀때동이, 새갓통, 자리틀, 가마니틀, 둥구미, 댕댕이,고추갈퀴, 거문대, 도리깨, 물통지게, 써래 [1], 도롱이, 물지게,칼나래, 끙개, 전지가위, 모뜨기, 종가래, 포도농사 앞주머니 |
옛날의 농기구 탐구방법
- 농사일에 따라서: ,파종경작, 수확탈곡, 도정, 저장, 운반, 우장
- 시대에 따라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근대,현대,미래
- 지역에 따라서: 산, 바다, 강, 평야, 각 도시 등
- 유물의 재질에 따라서: 종이(서책), 나무, 철, 도자기, 볏짚 등
-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
옛 농기구를 경기도 공공박물관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알아보기
참고
- 조선시대에는 어떻게 농사를 지었을까? 전통농기구와 농업과학 특별전시회
- 농촌진흥청 과거속 농기구 이야기
- 문화컨텐츠닷컴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 서울특별시교육청 전자도서관
- 농기구 엑셀파일(2020.11.03)
- KERIS 실감형교육 AR도구마커
- 농업용어사전
- 1950년 이전 농업자료(국회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