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구 메타 아카이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metaArchive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옛날의 농기구 분류방법)
(농사도구)
46번째 줄: 46번째 줄:
 
| [[하남 역사박물관]] || 11 || 반달돌칼, 쇠 낫, 쇠손칼, 따비, 철겸편, 보습편, 따비편
 
| [[하남 역사박물관]] || 11 || 반달돌칼, 쇠 낫, 쇠손칼, 따비, 철겸편, 보습편, 따비편
 
|-
 
|-
| [[안산어촌민속박물관]] || 49 || 멍석, 도래방석, 따비, 고무래, 지게, 돌공이, 쟁기, 멍에, 색대, 가래, 살포, 넉가래, 쌍날따비, 논제초기, 씨앗망태기, 밭제초기, 길마와 옹구,거름지게, 거름바가지, 귀때동이, <br> 새갓통, 자리틀, 가마니틀, 둥구미, 댕댕이, 고추갈퀴, 거문대, 도리깨, 물통지게,[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써래.wrl 써래] <ref> 출처:문화콘텐츠닷컴</ref>, 도롱이, 물지게,칼나래, 끙개, 전지가위, 모뜨기, 종가래, 포도농사 앞주머니
+
| [[안산어촌민속박물관]] || 49 || 멍석, 도래방석, 따비, 고무래, 지게, 돌공이, 쟁기, 멍에, 색대, 가래, 살포, 넉가래, 쌍날따비, 논제초기, 씨앗망태기, 밭제초기, 길마와 옹구,거름지게, 거름바가지, 귀때동이, 새갓통, 자리틀, 가마니틀, 둥구미, 댕댕이, 고추갈퀴, 거문대, 도리깨, 물통지게,[http://digerati.aks.ac.kr/DhLab/2020/101/student/박현정/써래.wrl 써래] <ref> 출처:문화콘텐츠닷컴</ref>, 도롱이, 물지게,칼나래, 끙개, 전지가위, 모뜨기, 종가래, 포도농사 앞주머니
 
|}
 
|}
  

2020년 10월 19일 (월) 20:14 판

정의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의 '엣날과 오늘날의 생활 모습'을 학습하기 위한 경기도박물관의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계획

  • 관련 단원: 초등학교 3학년 2학기(사회과) 2.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 성취 기준: [4사02-03] 옛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 연구 내용: 옛사람들의 생활 모습이 잘 드러나는 사진, 동영상, 생활 도구 모형 등 구체적인 자료를 통해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오늘날과 비교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이나 민속촌과 같은 장소를 견학하는 현장학습을 통해 옛사람들의 모습을 파악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 도구 중 농사도구를 중심으로 경기도의 국공립 박물관들의 메타아카이브를 통해 다양한 전시물과 유물을 보면서 옛날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살펴보는 교육적 활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박물관 견학하기 교수•학습 활동
  1. 1차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생활 도구 나열해 보기
  2. 2~3차시: 각종 실물 자료와 그림을 살펴보면서 생활 도구 알아보기
  3. 4차시: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변화상 파악하고, 미래의 생활 도구도 예측해보기

농사도구

  • 국립박물관
박물관 유물 갯수 내용
산림청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11 도리깨, 칡키, 용수집, 죽키, 버들키, 농촌미화와 약초재배법, 키
  • 공립박물관
박물관 유물 갯수 내용
여주박물관 2 연자방아
최용신기념관 1 농촌갱생의 지침
안양박물관 3 씨오쟁이, 똬리, 둥구미
용인시박물관 1 반달돌칼
양주회암사지박물관 11 호미, 살포, 철제 농기구, 반월형 석도, 철겸
고구려대장간마을 31 쇠스랑, 장어훌치기, 살포, 철겸, 납, 삽, 약초괭이, 호미, 글괭이, 철착, U자형 삽날, 가래, 밀낫, 괭이
화성시향토박물관 4 쇠스랑검은대, 못줄, 논호미, 그네
남양주시립박물관 3 호미, 쟁기, 써래
안산향토사박물관 22 지게, 송대이, 멱둥구미, 삼태기, 호미, 밭호미, 논호미, 갈쿠리, 못줄, 써레줄, 사시, 탈곡기,
수원박물관 5 권업모범장성적요람, 화산 및 수원부근 식생, 물레, 수언명문 홀태, 옥수수 탈림기
하남 역사박물관 11 반달돌칼, 쇠 낫, 쇠손칼, 따비, 철겸편, 보습편, 따비편
안산어촌민속박물관 49 멍석, 도래방석, 따비, 고무래, 지게, 돌공이, 쟁기, 멍에, 색대, 가래, 살포, 넉가래, 쌍날따비, 논제초기, 씨앗망태기, 밭제초기, 길마와 옹구,거름지게, 거름바가지, 귀때동이, 새갓통, 자리틀, 가마니틀, 둥구미, 댕댕이, 고추갈퀴, 거문대, 도리깨, 물통지게,써래 [1], 도롱이, 물지게,칼나래, 끙개, 전지가위, 모뜨기, 종가래, 포도농사 앞주머니

옛날의 농기구 탐구방법

  1. 농사일에 따라서: 일구기,심기,기르기,들이기,갈무리,가내생산
  2. 시대에 따라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철기,삼국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근대,현대,미래
  3. 지역에 따라서: 산, 바다, 강, 평야, 각 도시 등
  4. 유물의 재질에 따라서: 종이(서책), 나무, 철, 도자기, 볏짚 등
  5. 과거와 현재에 존재하는 것과 존재하지 않는 것

참고

  1. 조선시대에는 어떻게 농사를 지었을까? 전통농기구와 농업과학 특별전시회
  2. 농촌진흥청 과거속 농기구 이야기
  3. 문화컨텐츠닷컴
  4.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5. 서울특별시교육청 전자도서관

주석

  1. 출처:문화콘텐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