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

논문연구
Joanne20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9월 7일 (목) 15:5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차

논문의 주제

  • 문화유산정보의 보존과 활용: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의 디지털큐레이션 연구

* 수정: 디지털 큐레이션을 통한 기록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을 중심으로 –

  • 키워드
  •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디지털아카이브(Digital Archive) *디지털큐레이션(Digital Curation) 디지털역사학 (digital history)

온톨로지 (Ontology) 문화유산(Cultural Heritage) 역사기술 (Historical narratives) 국채보상운동 (Debt Redemption Movement)

  • 아시아 지식인 연계(Republic of Letters in Asia)

목차

I. 서론

1. 문제 제기

  • 한국 역사 콘텐트의 생산, 보존, 활용
  • 디지털 큐레이션 모델

2. 연구 목적

  • 디지털 데이터 보존과 미래기술
  • 인문학과 역사 : 서사이론 정립
  • 디지텰 큐레이션 : 역사재현

3. 선행 연구

1)인문학 디지털 아카이브연구

  • 인문학과 디지털 데이터: 디지털 온 디맨드
  • 문화유산 디지털

2)국채보상운동 관련연구

  • 정치경제적 배경
  • 언론의 역할
  • 근대여성운동사
  • 통계분석연구
  • 출판문화 운동

3)역사연구와 서사이론

  • 헤이든화이트의 서사모델
  • 역사학자들의 진리론

II.문화유산기록물 디지털 아카이브 연구

1. 디지털 데이터와 디지털 아카이브

  • 데이터 큐레이션
  • 문화유산 데이터표준
  • 박물관 관련 기술동향

2.디지털 인문학과 디지털 큐레이션

  • 인문학연구와 큐레이션의 통합
  • 데이터활용과 역사학의 대중화
  • 웹사이트 아카이빙 (Digital Heritage)
  • 회색문헌 연구

3. 디지털 큐레이션 사례연구: 빅데이터 역사학

  • 1)프랑스혁명 French Revolution
  • 2)런던대화재 Great Fire of London
  • 3)런던사람들 London Lives
  • 4)스페인과학지성지도Spanish Intellectual Map of Science
  • 5)중국인물데이터베이스 CBDB
  • 6)편지공화국 Republic of Letters
  • 7)베니스타임머신 Venice Time Machine

III.국채보상운동관련 데이터 분석 (개별 Object)

  • 1. 국채보상운동 지식요소
  • 2. 교육출판문화운동 지식요소
  • 3. 단체기관 지식요소
  • 4. 기록물 지식요소
  • 5. 외교문서 탄압기록물 지식요소
  • 6. 여성의연 지식요소
  • 7. 사건 지식요소 : 연표
    • [참고] 주요 인물 연구 (원시자료 설명요)
      • 양기탁 1871-1938
      • 안중근 1879-1910
      • 안창호 1878-1938
      • 신채호 1880-1936
      • 최남선 1890-1957
      • 장지연 1864-1921
      • 이준 1859-1907
      • 김광제 1866-1920
      • 현채 1856-1925
      • 앵무 1889-1946

IV.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아카이브 설계

1. 국채보상운동 데이터 (Class화된 Attributes)

  • 사건: 연표
  • 모금운동 기록물과 해석콘텐트
  • 일본, 영국, 관련 외교문서
  • 지식인, 지도층 인물과 상호관계 / 출판물, 문헌

2. 국채보상운동 온톨로지 설계 (Network:자료의 구조화)

V. 국채보상운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1. 국채보상운동 데이터 WIKI

2. 국채보상운동 시맨틱 네트워크

VI. 국채보상운동의 디지털 큐레이션 (아카이브 내용중 Storytelling: Topic, Timeline)

1.애국계몽운동기 연표 시각화 구현

2.인물 노드의 관계망

VII. 결론

질문들

  • 국채보상운동의 영역별 연구는 역사적 사건 전개의 일 면 만 다루고 있지 않은가?
  • 망국기 여러 애국계몽운동, 자주독립운동이 왜 그때 동시 진행되었는지 그 원인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운동관련 기록물들의 내용은 활용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로 아카이빙 되어서 지식자원화 되고 있는가?
  • 디지털인문학이 역사연구와 역사서사 (narrative)의 파라다임을 바꾸고 있는데 국채보상운동 당시 역사재현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

연구 목적과 대상자료

  • 이 연구의 목적은 역사적 데이터가 역사 연구와 스토리 서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구체적 쿠레이션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 보존과 활용을 위해 디지털 데이타로 아카이빙하기 위하여 관련 지식요소 (노드)를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데이터화 한다.
  • 첨단적인 활용기술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하는 사례: 해외 이론과 실제 프로젝트 추진사례를 소개한다.
  • 연구의 대상 기록물은 대한제국 망국기1905년 -1910년 기간과 전후 관련기간에 일어난 국채보상운동과 당시의 국내외적 상황에 관한 기록물이다.
  • 사건과 관련 인물들과 사회의 변화상을 지식노드의 관계망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 인문학적 네러티브로 구현한다.

기대성과

  • 역사적 사건과 인물 정보가 지식요소화 됨으로서 역사 연구와 네러티브의 차원과 방법이 달라지고 있다. 그러한 큐레이션 모델을 제시한다.
  •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영역별 연구 성과가 운동의 역사적 실체, 동기, 국내외 상황을 통합적으로 보여 주도록 한다.
  • 살아있는 역사는 개개인의 존재에 있다: 운동의 세부사항과 개개인의 이름과 역할이 구체적 정보로 다루어 지는 디지털역사학(Digital History)의 방법론 시도.
  • 온톨로지 기반의 디지털아카이빙 방법으로 개별 지식요소가 의미적으로(semantic) 연계되는 LOD 모델을 제시한다.
  • 동아시아 역내 계몽적 지식인간의 지적 교류와 네트워크가 오늘날의 SNS 처럼 작동했던 사상적 연대관계를 규명한다.


디지털 인문학디지털 역사학

문화유산보존을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 디지털 문화유산과 디지털 데이터
  • 데이터의 생산과 활용 파라다임변화 데이터 생애주기
  •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이용가능성: MIDAS Heritage, SPECTRUM

LOD 시맨틱웹 디지털 큐레이션

국채보상운동

연구대상자료 기록물: 1907-1910 국채보상운동 및 관련 기록물

그림: 보도추이도표1.png


기록물 현황 과 유형별 특징

생산자별 민간생산 정부 공기관 언론기관 단체모임 기타
71 121 2,260 120
연도별 1907 1908 1909 1910
1,806 286 45 123
유형별 국한문수기 국한문인쇄 한문수기 한문인쇄 일문수기 영문
6 11 70 4 121 90

온톨로지 설계와 DB 구축

  • 역사기록물에 관련된 지식요소를 온톨로지로 설계.

스토리주제별 큐레이션 설계

연구의 가능성 검토

  • 연대별 의병, 모금, 운동등 사건 상황의 변화 가시화(1907. 1908, 1909, 1910 년)가능성 모색
  • 연표
  • 주제별 (모금운동진행 기록물, 참가자명단과 금액등 언론보도내용. 관련인물과 스토리, 한국-일본-영국 국제관계)
  • 지도
  • 지역별 참가자 수, 모금액의 분포와 인구대비 참가율.

그림: Small군별인구비순.png

결론

  • (디지털 아카이빙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으로 취약한 디지털자원을 선별적으로 기록하고 영구보존한다.
  • (보존과 활용) 영역연구의 결실인 지식자산을 보존과 미래 활용에 맞도록 통합적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 지속적 보존과 검색, 활용목적.
  • (시맨틱웹) 디지털적 지식의 내용은 백과사전적으로 무한히 연결되어, 유물 실체와 디지털적 재현물, 해석 콘텐트등이 통합지식자원화 된다.
  • (온톨로지 구축)대상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온톨로지를 구축함. 지식요소간의 관계를 CIDOC CRM 형의 관계형 데이터로 구축한다.
  • (빅데이터 역사학) 디지털인문학이 바꾸는 문화유산 연구 활용 파라다임: 이론과 프로젝트, 미래 방향 정리.
  • (디지털 큐레이션) 지식요소를 선별, 처리, 제작, 관리하는 권위있고 신뢰받는 전문적 디지털 큐레이팅의 미래 중요한 역할로 부상함.
  • (콘텐트 큐레이션) 사업적등의 목적에 맞게 정보를 편집, 생산함.
  • (디지털 큐레이션) 인문학적 스토리/내러티브를 조합, 제작하는 (production)하는 큐레이션.
  • 통합적 데이터 모델로 구축된 국채보상운동의 지식요소들은 학문영역을 초월하여 당시의 상황을 드러낸다.
  즉 그동안의 분야별 연구에서 누락되거나 소홀히 다루어진 막후의 국제관계와 주요 인물들의 숨겨진 역할, 
  중국, 일본, 한국의 지식인들 간의 교류는 인문학적 공동체(Republic of Letters)(편지공화국 / 문예공화국)을 이루어 개화기에
  국민 계몽과 국권회복 운동에 큰 자극이 되었슴을 밝힌다. 디지털역사학 접근법의 새로운 성과물의 사례이다. 


참고자료

reference


연구자 인적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