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S21KU 개인 과제

DH Edu
이동: 둘러보기, 검색

← 메인 페이지

기사 선정 이유

서울 지하철 역명의 유래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구축한 쟈철탔조에서 저는 특히 6호선과 7호선에 대한 조사를 담당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 이름은 어떻게 역명이 되었나'를 하나의 세부 주제로 삼아 탐구하였는데, 개인 과제에서는 이를 조금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고자 하였습니다. 6호선과 7호선을 통틀어 '~입구'가 아닌 학교명 자체가 병기역명으로 등록된 역은 1. 6호선 월곡(동덕여대)역 2. 7호선 공릉(서울과학기술대학교)역 3. 7호선 어린이대공원(세종대학교)의 세 가지였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탐구 문제를 '~(학교명)은 병기역명으로 적절한가?'로 설정하고 '지도상의 거리'의 관점에서 지하철역과 학교를 살펴보았습니다. 1. 역 그리고 학교가 위치한 지명의 유사성 2. 지도상에서 역과 학교 사이의 직선 거리 3. 지도상에서 역에서 학교까지 도보로 걸리는 거리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각 지하철역을 분석하고 세 역의 특징을 비교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월곡(동덕여대)역과 동덕여자대학교, 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어린이대공원(세종대)역과 세종대학교라는 제목의 세 가지 개인 기사를 완성하였습니다. 나아가 지역 편입이라는 다소 특이한 지명 유래를 가진 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유래가 된 지명 '공릉동'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작성 기사 목록

  1. 월곡(동덕여대)역과 동덕여자대학교
  2. 공릉(서울과학기술대)역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3. 어린이대공원(세종대)역과 세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