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현Story2024-2
KHS DH wiki
목차
[숨기기]백제시대 공예품과 무형유산
에피소드 1: 백제금동대향로와 무형유산
Episode 1 Korean Narrative:
옛날 백제시대,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국보 백제금동대향로는 그 시대의 찬란한 금속 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산이었다. 이 향로는 도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아 봉황문 문양이 새겨져 있으며, 의례에 자주 사용되었다. 금속으로 제작된 이 향로는 밀랍주조법과 수은아말감기법을 활용해 만들어졌다.
오늘날, 백제금동대향로는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전하고 있다. 금속을 주재료로 한 두석장, 장도장, 유기장 등의 공예는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김극천, 김기호, 김수영 등 여러 장인들의 손에 의해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김기호는 금박장을 통해 도투락댕기와 드림댕기를 제작하였으며, 김수영은 청동 수각 향로를 제작하며 자신의 기술력을 발휘했다. 이들은 모두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금속 공예 장인들이다. 임규헌은 금속활자장의 전승교육사로서 그의 아들 임인호와 함께 직지심체요절 3만자를 제작하며 그 가치를 높이고 있다.
백제금동대향로가 보여주는 예술과 기술의 유산은 오늘날에도 살아 숨 쉬며, 그 아름다움과 장인 정신은 후대에도 전해질 것이다. 이수현 시리즈의 첫 번째 이야기로, 우리는 이들의 작품이 가진 역사적 의미와 문화적 가치를 다시금 되새기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게 된다.
에피소드 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과 무형유산
Episode 2 Korean Narrative:
백제시대의 부여 능산리사지에서는 석조사리감이라는 특별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은 석재로 만들어졌고, 불교와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백제의 매형공주와도 연관이 있는 이 석조사리감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보로 지정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백제시대의 위대한 왕이었던 위덕왕과 그의 자매인 백제 매형공주와 관련 있는 유산은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출토된 석조사리감은 바로 이 시대의 예술적이고 종교적인 유산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석조사리감은 석장이라는 전통적 기술과 관련이 있다. 석장은 석구조물과 석조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의상과 이재순은 이 석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들의 기술은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석장은 단순한 공예가 아닌, 백제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중요한 매개체다. 이는 부여 능산리사지와 국립부여박물관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그 가치를 알리고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을 통해 우리는 과거의 역사를 되새기고, 그 속에서 새로운 통찰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공예품은 백제시대의 문화와 유산, 그리고 그 속에서 빚어진 다양한 인연들을 현대인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에피소드 3: 부여 외리 출토 문양전과 무형유산
Episode 3 Korean Narrative:
한때 백제의 영광을 누렸던 시대, 그곳에는 흙과 장인 정신이 함께 엮인 이야기가 있었다. 백제 시대의 유물인 '백제 무늬벽돌'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흙으로 만들어진 이 벽돌은 부여 외리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이는 단순한 유물이 아니라, 보물로 지정된 유산이었다.
이 벽돌의 아름다움은 부여 외리 문양전 일괄에서 그 정수를 보여주며, 장식으로도 쓰였다. 벽돌을 만든 이들은 번와장과 제와장 같은 공예 기술을 전수받은 장인들이다. 이중에서도 김창대는 제와장의 보유자로, 이 기술을 지키고 발전시켰다. 그의 노력 덕분에 제와장은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김일만은 옹기장의 보유자이며, 그의 아들 김경식은 사기장의 전승교육사다. 김정옥은 김경식의 아버지로서 사기장을 전수받았고, 사기장은 국가무형유산으로 남아있다. 이처럼 장인들의 관계는 긴밀하며 그들의 기술은 대대로 이어져 왔다.
이근복은 번와장의 보유자로, 그의 아들 이주영에게 전승 교육을 시켰다. 이러한 교육은 단순히 기술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장인 정신을 함께 전수하는 과정이다. 번와장 또한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마침내, 흙이라는 재료는 사기장, 제와장, 그리고 번와장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백제의 문화유산을 빛내고 있다. 이 모든 관계 속에서 각자의 역할을 다해 온 사람들이 있었기에 오늘날 우리는 이 소중한 유산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에피소드 4: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과 무형유산
Episode 4 Korean Narrative:
옛날 옛적, 백제시대의 부여군 규암면 규암리라는 작은 마을에서 중요한 문화유산이 발견되었다. 이 보물은 바로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이었다. 이 작품은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이 유물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가적으로 중요한 국보로 지정되었다. 금속을 다루는 장인들은 오랜 시간 동안 여러 가지 공예 기술을 발전시켜 왔다. 그 중에서도 금속활자장, 두석장, 유기장, 장도장 같은 기술이 특히 주목받았다. 이러한 기술들은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금박장의 대가 김기호는 이 전통 기술의 보유자로 인정받아, 금속과의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두석장의 김극천과 박문열, 장도장의 박종군, 유기장의 김수영과 이봉주, 금속활자장의 임규헌과 임인호도 각자의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들 장인은 기술을 후손에게 전수하며, 전통을 이어가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 한국의 전통 공예와 문화유산은 세대를 넘어 전해지며, 그 가치를 계속해서 빛내고 있다. 각자의 분야에서 열정을 다하는 장인들이 있기에 우리의 문화유산은 더욱 풍부하고 강건하게 이어질 것이다.
에피소드 5: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사리공양구와 무형유산
Episode 5 Korean Narrative:
옛 백제의 땅, 부여의 국립부여박물관은 한때 불교의 성지였던 왕흥사지에서 발굴된 사리기들을 소장하고 있다. 이 사리기들은 백제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불교와 깊은 연관이 있다. 특히 금제 사리병과 은제 사리호, 청동제 사리함은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의 일부로, 그 정교한 제작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유물들이다.
이 소중한 유물들은 금속으로 만들어졌으며, 이와 같은 공예에는 다양한 무형유산 장인들이 있었다. 금박장의 김기호와 두석장의 김극천, 유기장의 김수영은 각각 금속 공예의 보유자로서 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임규헌은 금속활자장 전승교육사로서 밀랍주조법과 같은 전통 기술을 다음 세대에 전수하고 있다.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여러 공예들 중 금박장과 금속활자장, 두석장, 유기장, 장도장은 그 특별함을 인정받고 있다. 이들 공예는 단순한 기술 이상의 것이며, 역사와 문화를 아우르는 중요한 유산이다. 박문열과 박종군, 한상봉 같은 장인들은 이러한 전통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이야기의 중심에는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공양구가 있으며, 이는 백제시대의 불교 예술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이곳에 모인 다양한 장인들과 유물들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며 한국의 문화유산을 더욱 빛나게 하고 있다.
에피소드 6: 부여 석조와 무형유산
Episode 6 Korean Narrative:
옛날 백제시대에, 부여라는 아름다운 땅에 특별한 돌 조각이 탄생했다. 이 돌 조각은 부여 석조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은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백제시대의 장인들은 석재를 이용하여 이 석조를 만들어 생활 속에서 사용했습니다. 부여 석조는 보물로 지정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 석조는 석구조물의 일부로서, 석장의 기술을 통해 완성되었다.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석장은 한국 전통 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석조를 만들기 위해 석조각이라는 공예가 사용되었고, 이는 석장의 세심한 손길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전통 공예를 보존하고 이어가는 데에는 두 명의 장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의상과 이재순 두 사람은 모두 석장의 보유자로서, 오랜 세월 동안 전통 기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고 있다. 그들의 노력을 통해 석장의 기술은 오늘날까지도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석재와 석장은 서로 깊은 관계가 있으며, 석재는 석장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변신한다. 이렇듯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며, 국립부여박물관은 이러한 유산들을 보호하고 널리 알리고자 한다.
백제시대의 유산인 부여 석조는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며, 그 역사적 가치와 예술성을 계속해서 전해주고 있다. 이 이야기는 우리의 과거와 현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소중한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