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사회과 지역화 교재 디지털 스토리텔링
목차
[숨기기]강좌 개요
- 강좌명: 여주 사회과 지역화 교재 디지털 스토리텔링
- 교육일시 : 2024년 7월 4일, 11일, 18일
- 담당 강사: 박현정
- 강의 장소:여주 **초등학교
경기도 여주가 갖고 있는 문화 역사 자원을 토대로 나에게 의미있는 자료를 발굴하고 기록함으로 나만의 디지털스토리텔링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스토리텔링한 자료를 메타버스를 통하여 전시를 해본다.
강의 일정
차수 | 일시 | 강의내용 | 교재/참고자료 |
---|---|---|---|
1 | 2024/07/04 | 여주 이야기 스토리텔링 | |
2 | 2024/07/11 | 위키 기본문법,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기 | 서호납줄갱이 |
3 | 2024/07/18 | 여주 이야기 디지털 스토리텔링 | 예_여주박물관.lst,여주박물관_명성황후.lst, 예_여주문화유산_아이콘포함.lst, 예_신륵사.lst,뒤늦게_지킨_약속.lst,예_여주박물관.lst,여주박물관_명성황후.lst |
수강생
1차시 7월 4일
- 주제: 스토리텔링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어보기
- 일상의 이야기를 디지털로 바뀌는 과정을 체험하면서 디지털전환에 대해 인식해볼 수 있다.
- 주제 정하기: 여주_지역화_교재_자원
♣예:
2차시 7월 11일
- 주제: 디지털 스토리텔링으로 네트워크 만들어보기
- 예: 김여주.lst
- 데이터를 만들어가는 과정 익히기
- 협동하여 만들기-클래스 정의하고 규칙 지키기, 관계어 규칙을 친구와 같이 만들고 따르기
- 참고자료: 수원박물관 이야기
- 아이콘 참고1, 아이콘 참고2
- 여주시 사진 DB
3차시 7월 18일
- 주제: 여주 이야기를 디지털 스토리텔링해보기
- 참고자료: 여주_신륵사이야기
조별 프로젝트
조이름 | 여주의 문화유산조 | 신륵사조 | 여주박물관조 |
---|---|---|---|
1차시 스토리텔링 | |||
2차시 나의 첫 그래프 | 송촌초꼬북이.lst 송촌초닭박사.lst 송촌초박윤수.lst |
송촌초 원종우.lst 송촌초제로제로킴킴.lst 송촌초은하.lst 송촌초라면.lst |
송촌초김가원.lst 송촌정나윤.lst 송촌초강정음.lst 송촌초경규리.lst |
3차시 디지털스토리텔링 | 여주_전설_이야기 | 여주_신륵사_이야기 | 여주_박물관_이야기 |
수업자료
저작권 교육
디지털 스토리텔링(Digital Storytelling)[1]
- 위키문법배우기
- 연습예시
- 디지털 환경에서 다양한 디지털 어셋(텍스트, 이미지, 영상, 3D 모델 등)을 가지고,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는 콘텐츠를 만들어 내는 행위.
- 디지털 원어민은 ‘의미있는’ 데이터의 세계에서 자신의 흥밋거리를 발견하고, 호기심을 키워가며, 자유롭게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방법으로 세상에 대해 공부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지식 세계를 구축.
관련사이트
- 여주시사
- 여주8경
- 수원박물관
- e-뮤지엄
- 한국민족문화대과사전
- 캔바(canva): 이미지&동영상 디자인
- 타입캐스트: AI 성우와 가상인간 콘텐츠 만들기
- 스튜디오d-id: AI 동영상 만들기 사이트
- 인문정보학 wiki
- 국가유산 디지털 콘텐츠 경진대회
메타버스관련
- 스페이셜
- 모질라허브[2]
- 3D 어셋 자료*
♣관련 3D를 사용할시 꼭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