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디지털스토리텔링 2024 2차 데이터 목록

KHS DH wiki

수업: 디지털스토리텔링

  1차 데이터 목록


본 데이터 목록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4학년도 1학기 수업 <디지털스토리텔링> 수강생들이 부여·공주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역사와 문화를 심층적인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 정보를 조사 및 추출하여 데이터화한 2차 결과물입니다. 기존의 데이터에 각 데이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웹사이트 URL을 더하였고, 개체들의 분류를 세분화하여 공주·부여 문화유산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였습니다.

id class groupName label 설명 Relation infoUrl
고려삼은 Actor 단체 고려삼은(高麗三隱) 고려 후기 절의를 지킨 세 학자의 총칭 이색은 고려삼은 중 한 사람이다. Url
생육신 Actor 단체 생육신 조선전기 단종을 위하여 절의를 지킨 6인의 문신. 김시습, 원호, 이맹전, 조려, 성담수, 남효온이 해당함. 생육신에는 김시습이 해당한다. Url
신라_선화공주 Actor 왕실인물 신라 선화공주(善花公主) 삼국유사에 신라 진평왕의 셋째 딸로 기록되어있다. 서동설화의 주인공이자 무왕의 부인이다. 선화공주 진평왕의 셋째 딸이다 Url
백제_매형공주 Actor 왕실인물 백제 매형공주(妹兄公主) 성왕(聖王)의 딸이자 위덕왕(威德王)의 여자 형제로, 명문에 의하면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의 사리를 공양한 인물. 매형공주(妹兄公主)는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의 사리를 공양하였다.
백제_무령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무령왕 백제의 제25대 국왕이다. 수리시설 정비·확충과 호적체계 정비로 안정적 국가 운영의 토대를 마련했다. 무령왕은 무령왕릉에 안치되었다. Url
백제_무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무왕 백제의 30대 왕 무왕이 서동요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Url
백제_문주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문주왕 백제 제22대 왕이다. 문주왕은 공산성으로 천도하였다. Url
백제_법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법왕 삼국시대 백제의 제29대(재위:599~600) 왕이자 무왕의 아버지이다. 무왕은 법왕의 아들이다 Url
백제_성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성왕(聖王) 백제의 제26대 왕으로, 사비성(泗沘城)으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고 하였으며 관산성(管山城) 싸움에서 전사한 인물. 성왕(聖王)은 위덕왕(威德王)의 아버지다.
백제_위덕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위덕왕(威德王) 백제의 제27대 왕으로, 고구려의 침공을 막아 내고 중국 각지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며 신라를 침공한 인물. 위덕왕(威德王)은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을 만들었다.
백제_의자왕 Actor 왕실인물 백제 의자왕 641년~660년에 재위했던 백제의 제31대 왕. 의자왕은 백제 사비시기의 왕이다. Url
이곡 Actor 인물 이곡(李穀) 고려 후기「죽부인전」, 『가정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색의 아버지이다. Url
이색 Actor 인물 이색(李穡) 고려 말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에 그려졌다. Url
정몽주 Actor 인물 정몽주(鄭夢周) 성리학에 밝았던 고려 말기 문신 겸 학자. 정몽주는 고려삼은 중 한 사람이다. Url
허목 Actor 인물 허목(許穆)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을 도서에 언급한 인물이다. Url
길재 Actor 인물 길재(吉再) 고려 후기의 성리학자. 길재는 고려삼은 중 한 사람이다. Url
김구 Actor 인물 김구(金九) 광복 이후 대한민국 시절까지 활약한 독립운동가. 김구는 마곡사와 관련이 있다.
김시습 Actor 인물 김시습(金時習) 조선전기 『매월당집』, 『금오신화』, 『만복사저포기』 등을 저술한 학자. 생육신의 한 사람.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서 보내다 입적했다. 생육신의 한 분으로, 21세 때에 수양대군(후의 세조)의 왕위찬탈 소식을 듣고 불교에 입문하여 만년을 무량사에서 보내다 입적했다.
김시습은 무량사와 관련이 있다.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만년을 보냈다. 김시습은 무량사에서 인생의 만년을 보냈다.
사비천도 Event 사건 사비천도(泗沘遷都) 538년(성왕 16) 백제 성왕이 도읍지를 웅진(熊津: 충청남도 공주)에서 사비(泗沘: 충청남도 부여)로 옮긴 사건. Url
공주_무령왕릉 Place 무덤 공주 무령왕릉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능. 사적이다.
충남 공주시 송산리 고분군 내에 있는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
무령왕릉은 무령왕의 무덤이다.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다.
Url
공주_송산리_고분군 Place 무덤 공주 송산리 고분군 충남 공주시 금성동 산5-1번지에 위치한 백제 고분군 공주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벽돌무덤 · 굴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Url
부여_능산리_고분군 Place 무덤 부여 능산리 고분군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왕족의 무덤군.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능산리형 석실을 가진다. Url
부여_능안골_고분군 Place 무덤 부여 능안골 고분군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고위 귀족의 무덤군. 부여 능안골 고분군은 능산리형 석실을 가진다. Url
부여_염창리_고분군 Place 무덤 부여 염창리 고분군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하위 귀족의 무덤군. 부여 염창리 고분군은 능산리형 석실을 가진다. Url
부여_왕릉원 Place 무덤 부여 왕릉원 부여나성 바로 밖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백제 사비시기 왕실의 능묘군 부여 왕릉원은 부여에 위치한다.
갑사 Place 사찰 갑사(甲寺)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사에 있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사찰. 갑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
고란사 Place 사찰 고란사 부소산 북쪽기슭의 백마강 좌안에 자리한 정면 7칸, 측면 4칸의 법당과 요사의 건물로 이루어진 사찰. 고란사는 부소산에 위치한다. Url
동학사 Place 사찰 동학사(東鶴寺)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계룡산에 있는 남북국시대에 창건한 사찰. 동학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되었다.
공주_마곡사 Place 사찰 마곡사(麻谷寺)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위치한 사찰. 마곡사는 공주시 사곡면에 위치한다.
부여_무량사 Place 사찰 부여 무량사(無量寺)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무량사는 남북국시대에 창건되었다.
무량사는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부여의 사찰이다.
Url
신원사 Place 사찰 신원사(新元寺)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에 있는 삼국시대 사찰.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의 서쪽에 위치한 사찰
신원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되었다.
신원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사찰이다.
Url
익산_미륵사 Place 사찰 익산 미륵사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최대의 사찰. 무왕 대에 창건한 것으로 알려짐 익산 미륵사는 백제시대의 탑이다. Url
계룡산 Place 계룡산 공주시와 대전광역시 논산시에 위치하고 있음. 계룡산에는 갑사, 신원사, 동학사가 위치한다.
만수산 Place 만수산 부여군 외산면과 보령시 미산면, 성주면의 경계를 이루는 산. 만수산에는 무량사가 위치한다.
부소산 Place 부소산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있는 산. 부소산은 백제가 사비로 천도하였을 때 중심지 역할을 했다. Url
태화산 Place 태화산 공주시 사곡면 북서쪽 경계에 위치하고 있음. 태화산에는 마곡사가 있다.
공주_공산성 Place 산성 공주 공산성 충남 공주시 산성동 2번지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도성
충남 공주시 산성동에 자리하고 있는 백제 웅진기의 왕성이다.
삼국시대에 건립된 백제 도성이다.
공산성은 백제부흥운동의 거점지였다.
Url
논산_노성산성 Place 산성 논산 노성산성(論山 魯城山城) 충남 논산시 노성면 송당리에 위치한 백제 때 산 정상부분을 돌로 둘러쌓아 만든 테뫼식 산성. 백제와 신라가 서로 마주했던 마지막 방어지에 해당하는 산성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계속 사용한 주요 방어지역이었던 곳. Url
논산_외성산성 Place 산성 논산 외성산성(外城山城) 충남 논산-대전간 1호 국도변 산등성이에 자리한 산성으로, 해발 118m지점의 산봉우리를 빙 둘러 흙으로 쌓음. 논산에서 연산으로 통하는 길목의 중요한 위치에 세워진 삼국시대의 성. Url
논산_황산성 Place 산성 논산 황산성(黃山城) 충남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에 위치한 산봉우리를 빙둘러 돌로 쌓은 산성. 연산평야와 논산평야가 내려다보이는 곳으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시기에 걸쳐 사용됨. Url
논산_황화산성 Place 산성 논산 황화산성(論山皇華山城) 충남 논산시 등화동에 위치한 구릉형 야산에 있는 산성으로, 계곡을 포함하여 쌓은 토성. 백제 때에는 사비와 은진 주변을 지키기 위한 방어거점의 하나로, 조선시대에는 봉수대로 이용됨. Url
부소산성 Place 산성 부소산성 백마강 남쪽 부소산을 감싸고 쌓은 산성으로 사비시대의 도성(都城)이다. 부여 부소산성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Url
부여_가림성 Place 산성 부여 가림성(扶餘 加林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위치한 백제의 수도였던 웅진성과 사비성을 지키기 위하여 금강 하류 부근에 쌓은 석성. 백제 때 쌓은 성곽 가운데 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유일한 성이고, 옛 지명을 알 수 있는 유적으로 매우 중요. Url
부여_나성 Place 산성 부여 나성(扶餘 羅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염창리에 위치한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둘레 8㎞의 성. 부여나성은 청산성·청마산성과 함께 수도보호를 위한 외곽방어시설로 중요한 성. Url
부여_석성산성 Place 산성 부여 석성산성(扶餘 石城山城) 충남 부여군 석성면 현내리에 위치한 백제의 수도 사비 남쪽 외곽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산성. 사비성이 함락된 뒤에도 당나라군과 신라 및 백제부흥군이 치열한 전투를 했던 곳으로 유서 깊은 유적. Url
부여_증산성 Place 산성 부여 증산성(扶餘 甑山城)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에 위치한 성왕 16년(538) 수도를 사비로 옮기고 나서 수도를 보호하기 위해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산성. 백제 부흥운동군의 한 거점으로도 여겨지는 중요한 산성. Url
부여_청마산성 Place 산성 부여 청마산성(扶餘 靑馬山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에 위치한 당시 수도였던 사비를 방어하기 위하여 쌓은 백제의 산성. 성의 둘레는 약 5~6㎞이고, 흙과 돌로 쌓은 산성. Url
부여_청산성 Place 산성 부여 청산성(扶餘 靑山城)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에 위치한 부소산 동쪽 500m 지점의 낮은 구릉 위에 있는 백제의 흙으로 쌓아만든 산성. 백제의 수도 사비를 보호하기 위해 부소산성과 연결하여 쌓았던 보조산성. Url
국립부여박물관 Place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국립박물관.
충청남도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금성로 5 (동남리)에 있는 국립중앙박물관 산하 국립 박물관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은 주로 부여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을 전시한다.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을 소장한 곳이다.
백제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 국립 박물관이다.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 금동대향로를 소장하고 있다.
Url
국립익산박물관 Place 소장처 국립익산박물관 전라북도 익산시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국립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은 왕궁리오층석탑 금동제 불입상을 소장하고 있다.
공주_석장리_유적 Place 유적지 공주 석장리 유적 충남 공주시 장기면 석장리 98번지 외 15필지에 위치한 유적지 석기시대 구석기의 집터 · 석기 · 토기 등이 발굴된 유물산포지. 한데유적 · 화석산포지. Url
부여_궁남지 Place 유적지 궁남지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宮苑池)이다. 별궁 인공 연못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궁남지는 '서부후항'목간의 출토지이다.
궁남지는 별궁의 연못으로 부여의 정치적 모임, 행사의 장소였을 가능성이 높게 여겨진다.
Url
백제역사유적지구 Place 유적지 백제역사유적지구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위치한 문화유산으로 8곳으로 구성됨 부여 왕릉원은 백제역사유적지구에 포함된다 Url
부여_관북리_유적 place 유적지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군 부여읍에 위치한 백제 추정 왕궁지. 부여 관북리 유적은 부여 석조의 출토지이다.
부여_군수리_사지 Place 유적지 부여 군수리 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19번지에 위치힌 백제의 절터 부여 군수리에 자리하고 있는 백제의 절터이다. Url
부여_능산리사지 Place 유적지 부여 능산리사지 부여나성과 부여능산리고분군 사이에 위치한 백제시대 절터유적
창왕(위덕왕)이 아버지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567년에 조성한 백제의 왕실사찰터.
부여 능산리사지는 부여에 위치한다.
부여 능산리 사지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부여_송국리_유적 Place 유적지 부여 송국리 유적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에 위치한 우리나라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대규모 취락유적. 부여 송국리 유적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부여_왕흥사지 Place 유적지 부여 왕흥사지 충남 부여군 규암면 신리에 있는 왕흥사의 옛터
왕흥사(王興寺)는 백제 부여에 있던 사찰로 577년에 세워졌으나, 660년 백제 멸망 후에 폐허가 되어 현재는 절 터만 남아 있다.
부여 왕흥사지에서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부여의 왕흥사지가 지정되었다.
Url
부여_정림사지 Place 유적지 부여 정림사지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시기(538-660)의 중심 사찰이 있던 자리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사찰
충남 부여군 부여음 동남리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찰터
백제시대 사찰터로 세계유산등재심사 통과
부여 정림사지는 부여에 위치한다.
정림사지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백제 사찰이다.
부여 정림사지에는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과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있다.
정림사지는 부여 중심부의 있는 사찰로 중심사찰로써의 기능을 했을것으로 보인다.
Url
부여_화지산_유적 Place 유적지 부여 화지산 유적 (扶餘 花枝山 遺蹟) 백제 의자왕 대에 건립된 이궁지(離宮址)인 망해정(望海亭)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는 곳이다. 부여 화지산 유적은 궁남지의 동쪽에 위치한다 Url
익산_미륵사지 Place 유적지 익산 미륵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금마면에 있는 미륵사의 사찰터 삼국유사에 익산 미륵사지의 설화가 등장한다 Url
익산_왕궁리유적 Place 유적지 익산 왕궁리유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에 있는 백제의 궁터 유적. 익산 왕궁리유적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Url
지선리_고분군 Place 유적지 지선리고분군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앞트기식돌방무덤, 굴식돌방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지선리고분군은 부여군 외산면에 위치한다. Url
인천_감리서_감옥 Place 장소 인천 감리서 감옥 김구가 탈옥한 감옥. 김구가 인천 감리서 감옥에서 탈옥했다.
계룡산_중악단 Place 장소 계룡산 중악단 조선시대 계룡산 산신에게 제를 올리기 위해 건립된 목조 건물. 계룡산 중악단은 신원사에 위치한다. Url
낙화암 Place 장소 낙화암 부여 백마강변의 부소산 서쪽 낭떠러지 바위. 낙화암은 부소산에 위치한다. Url
백화정 Place 장소 백화정 백제 멸망 당시 절벽에서 떨어져 죽었다는 궁녀들의 원혼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정자. 백화정은 부소산에 위치한다. Url
부여_여흥민씨_고택 Place 장소 부여 여흥민씨 고택 충청지역 고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 충남지역의 고택의 대표적 예시 Url
공주시_계룡면 Place 지역 공주시 계룡면 공주시 남부에 위치하고 있음 공주시 계룡면에는 계룡산이 있다.
공주시_사곡면 Place 지역 공주시 사곡면 공주시 중북부에 위치하고 있음 공주시 사곡면에는 태화산이 위치한다.
백제 Place 지역 백제 삼국의 하나로, 한반도 중서부에 위치했으며 660년에 멸망한 고대국가.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명문을 통해 중국과 교류하였음을 알 수 있음. 백제는 중국과 교류하였다.
부여군_외산면 Place 지역 부여군 외산면 충청남도 부여군 서북단에 위치하고 있음. 부여군 외산면에는 만수산이 위치한다.
충청남도_부여군 Place 지역 부여 부여는 수려한 자연경관과 함께 백제 문화의 유물·유적이 산재해 있는 문화 관광지이다. 부여는 생황, 정치, 종교적 문화유산이 위치한 장소이다. Url
공주향교 Place 향교 공주향교 (公州鄕校) 조선 인조 원년(1623)에 지금의 위치인 충남 공주시 교동으로 옮겨진 향교 공주향교는 충남 공주시 교동에 위치하여 태조 시절 지어졌다. Url
부여향교 Place 향교 부여향교 (扶餘鄕校) 조선 전기에 세워 갑오개혁 이전까지 교육의 기능을 한 향교 부여향교는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위치한다. Url
석성향교 Place 향교 석성향교 (石城鄕校) 조선 전기에 세워 갑오개혁 이전까지 교육의 기능을 한 향교 석성향교는 충남 부여군 석성면 석성리에 위치한다. Url
임천향교 Place 향교 임천향교 (林川鄕校) 숙종 14년(1688)에 충남 부여군 임천면으로 옮겨진 향교 임천향교는 충남 부여군 임천면에 위치해 있다. Url
홍산향교 Place 향교 홍산향교 (鴻山鄕校) 인조 21년(1643)에 향교의 위치가 높아 지금의 충남 부여군 홍산면에 위치하게 된 향교 조선 중종 대에 처음 세워 선조 대와 광해군 대에 고쳐 지었다. 인조 21년(1643)에 향교의 위치가 너무 높아 평지인 지금 있는 자리로 옮겼다. Url
공주_갑사_대웅전 Architecture 건축물 공주 갑사 대웅전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사찰 건물 갑사 대웅전은 삼국시대에 창건된 신라 사찰 건물이다. Url
공주_마곡사_대광보전 Architecture 건축물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공주 마곡사의 중심 법당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은 공주 마곡사의 중심 법당이다. Url
공주_마곡사_대웅보전 Architecture 건축물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공주 마곡사에 있는 조선 중기의 2층 법당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은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뒤편에 위치한다. Url
공주_마곡사_영산전 Architecture 건축물 공주 마곡사 영산전 공주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 공주 마곡사 영산전은 공주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법당이다. Url
부여_무량사_극락전 Architecture 건축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2층 불전으로 구성된 무량사의 중심건물.
무량사는 신라시대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무량사는 신라시대에 범일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무량사 극락전은 무량사에 위치한다.
무량사 극락전은 부여의 대표적인 사찰중 하나이다.
무량사 극락전은 부여의 대표적인 사찰중 하나이다.
Url
삼충사 Architecture 건축물 삼충사 백제의 충신인 성충(成忠:?∼656), 흥수(興首:?∼?), 계백(階伯:?∼660)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957년에 세웠으며 1981년에 중건하였다 삼충사는 부여의 사찰로 문화재자료이다. Url
수북정 Architecture 건축물 수북정 이 정자는 조선 광해군때 양주목사를 지낸 김흥국(1557-1623)이 벼슬을 버리고 은거할 때 건립한 정자로, 그의 호를 따서 수북정이라 하였다. 부여의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Url
영일루 Architecture 건축물 영일루 백제 때 축조된 부여 부소산성(사적)의 동대(東臺)에 유존하던 건물지에 홍산문루(鴻山門樓)를 옮겨와 세웠다. 이곳에서는 부여 청마산성(사적)이 멀리 바라다 보이며, 남쪽으로는 백마강을 건너 임천면(林川面)에 있는 백제 때의 부여 가림성(사적)과 구룡평야가 조망된다. Url
부여_당_유인원_기공비 Object 기념비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 신라 문무왕 3년(663)에 당나라 장수 유인원(劉仁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이다. 부여 당 유인원 기공비는 충청남도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는 신라시대의 비석이다. Url
부여_보광사지_대보광선사비 Object 기념비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고려시대에 보광사를 크게 일으켜 세운 원명국사 충감의 공적이 새겨져 있는 비이며, 1963년에 국립부여박물관으로 옮겨졌다.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는 충청남도 부여군 성주산의 보광사터에 있던, 고려시대의 비석이다. Url
공주_갑사_철당간 Object 물품 공주 갑사 철당간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철당간. Url
공주_마곡사_소조사천왕상 Object 물품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사찰 입구 천왕문에 봉안된 사천왕상은 수미산 중턱에 살며 동서남북 네 곳에서 불법 및 불국토를 수호하는 호법신(護法神)이다. Url
공주_마곡사_포교당_범종 Object 물품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 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마곡사 포교당 내에 있는 조선 후기의 청동 범종. Url
공주_충청감영_측우기 Object 물품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공주의 충청감영, 즉 금영(錦營)에 설치된 측우기 조선시대 측우기 Url
동학사_목조_석가여래삼불_좌상_복장전적 Object 물품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된 보물 공주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에서 발견된 불서들이다.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임진왜란 직후인 1606년에 조성된 불상이다.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에 위치한다. Url
무량사_동종 Object 물품 무량사 동종 Url
부여_무량사_오층석탑_출토_유물 Object 물품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유물 1971년 무량사 오층석탑에 대한 해체·복원 작업중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무량사 오층석탑에서 발견된 9점의 유물이다. Url
무령왕_발받침 Object 물품 무령왕 발받침 Url
무령왕릉_석수 Object 물품 무령왕릉 석수 백제시대의 석수. 국보 무령왕릉 석수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Url
무령왕릉_지석 Object 물품 무령왕릉 지석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 국보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Url
미수기언_책판 Object 물품 미수기언 책판 조선 후기의 문신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의 시문집인 『미수기언(眉叟記言)』을 간행하기 위해 판각한 책판 Url
백제_금동대향로 Object 물품 백제 금동대향로 Url
부여_능산리사지_석조사리감 Object 물품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백제 시기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된 백제의 명문사리감.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이 발굴되었다.
부여 능산리 사지 석조 사리감은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되었다.
부여_무량사_석등 Object 물품 부여 무량사 석등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이다. 부여 무량사 석등은 무량사 내부에 있다. Url
부여_석조 Object 물품 부여 석조 백제 왕궁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을 저장하는 용도의 석조물. 부여 석조는 국립부여박물관의 소장품이다.
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Object 물품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백제시대 사리장엄구이자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리기 Url
산수봉황무늬벽돌 Object 물품 산수봉황무늬벽돌 백제 사비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도교 사상을 나타낸 벽돌 Url
서부후항_목간 Object 물품 서부후항 목간 서부후항에 사는 사달사라는 사람의 생활을 기록한 목간. '서부후항'목간은 국립부여박물관의 소장품이다. Url
송국리식_토기 Object 물품 송국리식 토기 청동기시대에 충청도와 전라도의 서부지방에서 만들어져 사용된 민무늬토기. 송국리식 토기는 부여 송국리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Url
왕궁리_오층석탑_도금은제_금강경판 Object 물품 왕궁리오층석탑 도금은제 금강경판 익산 왕궁리유적 오층석탑 1층 지붕돌 윗면 사리구멍에서 발견된 세로 17.4cm, 가로 14.8cm 크기인 19장의 경판. 왕궁리오층석탑 도금은제 금강경판은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Url
월인석보_목판 Object 물품 월인석보 목판 1569년(선조 2)에 새긴 『월인석보』 권21의 목판. 월인석보 목판은 갑사에 위치한다. Url
익산_미륵사지_서탑_출토_사리장엄구 Object 물품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 Url
중부_목간 Object 물품 중부 목간 백제 지역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목간. 부여 관북리 유적은 '중부'목간의 출토지이다. Url
공주_갑사_대적전_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Object 불상 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 대적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이다. 2013년 12월 20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28호로 지정되었다. Url
부여_군수리_금동보살입상 Object 불상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936년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금동보살 군수리사지에서 발견된 보살상이다. Url
부여_군수리_석조여래좌상 Object 불상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936년에 충청남도 부여 군수리의 백제 절터를 조사할 때 발견된 불상 군수리사지에서 발견된 불상이다. Url
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Object 불상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완벽한 조형미를 보여주며 내려뜬 눈과 입가의 미소는 보살상이 지니는 자비로움을 전신에 넘쳐흐르게 하는 백제 말기의 우수한 불상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의 절터에 묻혀 있던 무쇠솥에서 다른 하나의 관음보살입상과 함께 발견된 보살상 Url
부여_정림사지_석조여래좌상 Object 불상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정림사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 Url
왕궁리_오층석탑_금동제_불입상 Object 불상 왕궁리 오층석탑 금동제 불입상 익산 왕궁리유적 오층석탑 기단부 주춧돌의 사리 구멍에 안치되어 있던 불상. 왕궁리오층석탑 금동제 불입상은 익산 왕궁리유적에서 출토되었다. Url
공주_가척리_석탑 Object 석탑 공주 가척리 석탑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청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 불탑. 공주에 위치한 고려시대 석탑. Url
공주_갑사_승탑 Object 석탑 공주 갑사 승탑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
충청남도 공주시 갑사로 567-3 (계룡면)에 위치한 삼국시대 신라 사찰 승탑
갑사 승탑은 갑사에서 관리한다.
갑사 대웅전은 삼국시대에 제작된 신라 사찰 승탑이다.
Url
공주_마곡사_오층석탑 Object 석탑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공주 마곡사에 세워져 있는 고려시대 오층석탑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은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앞에 위치한다. Url
무량사_김시습_부도 Object 석탑 무량사 김시습 부도 김시습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
무량사 김시습 부도는 무량사에 위치한다. 무량사 김시습 부도는 김시습과 관련이 있다.
무량사김시습부도는 무량사에서 소유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Url
부여_무량사_오층석탑 Object 석탑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무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 보물.
탑은 백제탑의 우아한 선과, 신라탑의 장중함을 모두 이어받아 조성한 것이라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무량사 오층석탑은 고려전기에 건립된 불탑이다.
백제와 통일신라의 석탑 양식을 조화시켜 만든 고려 전기의 탑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백제의 옛 땅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으로 백제의 기법이 이어졌고 통일신라의 시대적인 양식도 계승되었다.
Url
부여_장하리_삼층석탑 Object 석탑 부여 장하리 삼층석탑 충남 부여군 장암면 장하리 536번지에 위치한 고려시대 석탑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석탑으로, 전체적으로 탑신의 몸돌이 높고 지붕돌은 지나치게 넓어 안정감이 없어 보인다. 정림사지오층석탑을 모방하였다고는 하지만 조형감각이나 수법에서 훨씬 떨어지는 작품이다.
부여에 위치한 고려시대 석탑이다. 백제계 양식의 석탑
충청·전라도에는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양식을 모방한 백제계 석탑이 몇 개 전하고 있는데 이 탑 역시 그런 계열에 속하는 탑이다.
Url
부여_정림사지_오층석탑 Object 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터에 세워져 있는 석탑
충청남도 부여군 정림로 83에 위치한 삼국시대 백제 탑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지에서 관람할 수 있다.
정림사지 내에 있는 백제 석탑이다.
Url
신원사_오층석탑 Object 석탑 신원사 오층석탑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에 있는 고려전기 5층 석조 불탑 Url
익산_미륵사지_석탑 Object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Url
만복사저포기 Object 작품 만복사저포기 조선 전기에 김시습이 지은 한문소설. 김시습은 만복사저포기를 저술하였다.
매월당집 Object 작품 매월당집 조선 전기 문인 김시습의 시가와 산물을 엮어 간행된 시문집. 김시습은 매월당집을 저술하였다.
목은집 Object 작품 목은집(牧隱集) 고려 말·조선 초의 학자·정치가 이색(李穡)의 시문집. 이색이 작성한 시문집이다. Url
목은화상기 Object 작품 목은화상기(牧隱畵像記)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이 편찬한 책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언급된 도서이다.
미수기언 Object 작품 미수기언(眉嫂記言)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이 편찬한 책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언급된 도서이다. Url
금오신화 Object 작품 금오신화 김시습이 조선시대에 지은 전시소설이자, 조선 최초의 한문 소설집. 김시습은 금오신화를 저술하였다.
갑사_삼신불괘불탱 Object 회화 갑사 삼신불괘불탱 갑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갑사 삼신불괘불탱은 갑사에 위치한다. Url
공주_갑사_석가여래삼세불도_및_복장유물 Object 회화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갑사 대웅전의 삼세불상 뒤쪽에 후불화로 봉안된 삼세불도 및 삼세불도 발견 복장유물 Url
마곡사_석가모니불_괘불탱 Object 회화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Url
무량사_미륵불_괘불탱 Object 회화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조선 인조 5년에 그려진 대형 불교그림.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은 무량사에 위치한다. Url
신원사_노사나불_괘불탱 Object 회화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신원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Url
신원사_노사나불괘불탱 Object 회화 신원사 노사나불괘불탱 신원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신원사 노사나불괘불탱은 신원사에 위치한다. Url
이색_초상-영모영당본 Object 회화 이색 초상-영모영당본 고려 말 문신 목은 이색의 초상화 영모영당본이다. Url
고려시대_관복 Clothing 복장 고려시대 관복 나라에서 정한 벼슬아치의 정복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에서 이색이 입고 있는 복식이다. Url
은제관모장식 Clothing 복식 은제관모장식 백제시대에 주로 쓰인 은제 유물. 은제관모장식은 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출토되었다. Url
비단 Clothing 직물 비단 견직물을 총칭하는 용어.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이 비단으로 만들어졌다. Url
삼국유사 Record 문헌 삼국유사 고려시대에 편찬된 한국 고대의 사상을 전하는 역사서로, 삼국사기에서 찾아보기 힘든 불교 관련 사료, 신화, 설화 등을 삼국유사에 수록하였다. 서동요는 삼국유사에 수록되어있다 Url
국보_갑사_삼신불괘불탱 Heritage 국보 [국보] 갑사 삼신불괘불탱 갑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갑사 삼신불괘불탱(사물)은 국보이다. Url
국보_무령왕_발받침 Heritage 국보 [국보] 무령왕 발받침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된 왕의 발을 받치기 위한 장의용 나무 발 받침이다. 무령왕 발받침은 무령왕릉 목관 안에서 발견되었다. Url
국보_무령왕릉_석수 Heritage 국보 [국보] 무령왕릉 석수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백제 때 만들어진 석수로, 무덤 수호의 관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공주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석수로, 무덤 앞에 세워두거나 무덤 안에 놓아두는 돌로 된 동물상이다.
무령왕릉_석수 는 국보_무령왕릉_석수 로 지정되었다.
무령왕릉 석수는 무령왕의 무덤 통로에서 발견되었다.
Url
국보_무령왕릉_지석 Heritage 국보 [국보] 무령왕릉 지석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지석이다.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왕과 왕비의 장례를 지낼 때 땅의 신에게 묘소로 쓸 땅을 사들인다는 문서를 작성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넣은 매지이다.
무령왕릉_지석 은 국보_무령왕릉_지석 으로 지정되었다.
무령왕릉 지석은 무령왕과 왕비의 지석으로 무령왕릉에서 2매가 발견되었다.
Url
국보_백제_금동대향로 Heritage 국보 [국보] 백제 금동대향로 부여 능산리사지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발견된 백제의 향로
1996년 5월 30일 국보로 지정된 7세기 초 백제의 금동향로.
부여 능산리 백제시대 절터에서 출토된 불전에 향을 피울 때 쓰는 향로
부여 능산리사지에서 백제 금동대향로가 발굴되었다.
백제 금동대향로는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출토되었다.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 백제의 유물이다.
Url
국보_부여_규암리_금동관음보살입상 Heritage 국보 [국보]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부여군 규암면 절터에서 발견된 머리에 작은 부처가 새겨진 관을 쓴 관음보살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 백제의 유물이다. Url
국보_부여_왕흥사지_출토_사리기 Heritage 국보 [국보]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 백제시대 사리장엄구이자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리기 부여 왕흥사지 출토 사리기는 청동제사리합과 은제사리호, 금제사리병으로 구성된다. Url
국보_부여_정림사지_오층석탑 Heritage 국보 [국보]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에 세워져 있는 오층석탑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과 남북으로 마주본다. Url
국보_신원사_노사나불_괘불탱 Heritage 국보 [국보]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화엄종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을 대신하여 노사나불이 영취산에서 설법하는 장면인 영산회상을 그린 괘불. 신원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신원사 내에 있는 조선 불교그림이다. Url
국보_익산_미륵사지_서탑_출토_사리장엄구 Heritage 국보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2009년 익산 미륵사지 서탑 심주석(心柱石)의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유물 / 국보 사리장엄구는 익산 미륵사지 서탑에서 출토되었다. Url
국보_익산_미륵사지_석탑 Heritage 국보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에 있던 3개의 탑 중 서쪽에 위치한 탑 / 국보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익산 미륵사지에 위치한다 Url
국보_익산_왕궁리_오층석탑_사리장엄구 Heritage 국보 [국보]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Url
보물_공주_갑사_석가여래삼세불도_및_복장유물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는 18세기 초,중반 전라도를 중심으로 경상과 충청 지역에서 활동한 당대 대표적 화사인 의겸(儀謙)이 제작한 불화이다.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Url
보물_공주_갑사_승탑 Heritage 보물 [보물] 갑사 승탑 고려시대에 건립된 석조 불탑. 갑사 승탑(사물)은 보물이다. Url
보물_공주_갑사_철당간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갑사 철당간 갑사(甲寺) 동남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이 당간은 통일신라시대의 당간으로는 유일한 것이다. 공주 갑사 철당간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Url
보물_공주_마곡사_대광보전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Url
보물_공주_마곡사_대웅보전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Url
보물_공주_마곡사_소조사천왕상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Url
보물_공주_마곡사_영산전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마곡사 영산전 Url
보물_공주_마곡사_오층석탑 Heritage 보물 [보물]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Url
보물_동학사_목조_석가여래삼불_좌상_복장전적 Heritage 보물 [보물]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복장전적은 동학사 대웅전에 봉안된 보물 공주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에서 발견된 불서들이다. 동학사 목조 석가여래삼불 좌상 복장전적(사물)은 보물이다. Url
보물_마곡사_석가모니불_괘불탱 Heritage 보물 [보물]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공주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야외 의식용 괘불화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은 공주 마곡사에 위치한다. Url
보물_무량사_김시습_부도 Heritage 보물 [보물] 무량사 김시습 부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의 사리를 모신 부도이다./김시습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 무량사김시습부도는 무량사에서 소유와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무량사 김시습 부도는 보물이다.
보물_무량사_미륵불_괘불탱 Heritage 보물 [보물]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 조선 인조 5년에 그려진 대형 불교그림. 무량사 미륵불 괘불탱(사물)은 보물이다. Url
보물_부여_무량사_오층석탑_출토_유물 Heritage 보물 [보물] 무량사 오층석탑 출토 유물 Url
보물_부여_군수리_금동보살입상 Heritage 보물 [보물]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Url
보물_부여_군수리_석조여래좌상 Heritage 보물 [보물]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Url
보물_부여_무량사_극락전 Heritage 보물 [보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사에 있는 조선시대 에 창건된 사찰건물.
2층 불전으로 구성된 무량사의 중심건물.
무량사 극락전은 무량사에 있는 사찰 건물이다.
무량사 극락전(사물)은 보물이다.
보물_부여_무량사_석등 Heritage 보물 [보물] 부여 무량사 석등 무량사 법당 앞뜰에 세워져 있는 8각 석등이다. 부여 무량사 석등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Url
보물_부여_무량사_오층석탑 Heritage 보물 [보물] 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무량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5층 석조 불탑. 보물. 무량사 오층석탑은 고려전기에 건립된 불탑이다. Url
보물_부여_정림사지_석조여래좌상 Heritage 보물 [보물]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 고려시대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정림사지에 남아 있는 석조불상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은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남북으로 마주본다. Url
보물_산수봉황무늬벽돌 Heritage 보물 [보물] 산수봉황무늬벽돌 백제 사비시대 미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도교 사상을 나타낸 벽돌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한 백제의 유물이다. Url
보물_월인석보_목판 Heritage 보물 [보물] 월인석보 목판 1569년(선조 2)에 새긴 『월인석보』 권21의 목판. 월인석보 목판(사물)은 보물이다. Url
보물_이색_초상-영모영당본 Heritage 보물 이색 초상-영모영당본 고려 말 문신 목은 이색의 초상화 영모영당본이다. 이색 초상-영모영당본은 부여군의 문화유산이다. Url
세계유산_백제역사유적지구 Heritage 세계유산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 Url
문화유산자료_백화정 Heritage 충청남도문화유산자료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백화정 Url
문화유산자료_수북정 Heritage 충청남도문화유산자료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수북정 조선 광해군(1608∼1623) 때 양주목사를 지낸 김흥국(1557∼1623)이 이곳에 와 살면서 지은 정자로 이름은 김흥국의 호를 따서 지은 것이다. Url
문화유산자료_영일루 Heritage 충청남도문화유산자료 영일루 Url
문화유산_공주_갑사_대적전_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Heritage 충청남도유형문화유산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공주 갑사 대적전에 있는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이다. 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은 갑사에서 볼 수 있다. Url
문화유산_공주_마곡사_포교당_범종 Heritage 충청남도유형문화유산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 공주 마곡사(麻谷寺)의 포교당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이다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은 조선시대 유물이다. Url
문화유산_신원사_오층석탑 Heritage 충청남도유형문화유산 신원사 오층석탑 신원사에 있는 고려전기 5층 석조 불탑.
계룡산의 산신제단(山神祭壇)인 중악단(中嶽壇) 남쪽에 서 있는 5층 석탑
신원사 오층석탑은 신원사에 위치한다.
신원사 내에 있는 고려 석탑이다.
Url
충청남도_유형문화유산_부여_무량사_동종 Heritage 충청남도유형문화유산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무량사 동종 무량사 동종은 임진왜란 후 무량사 중창 불사 시에 조성된 범종이다. 무량사 동종은 무량사 내부에 있다. Url
능산리형_석실 Concept 개념용어 능산리형 석실 육각형 또는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묘실의 형태. 능산리형 석실은 사비 백제 시대에 채용되었다. Url
예서 Concept 개념용어 예서(隸書) 중국 남북조 시대의 서체로,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감실의 좌우 양쪽에 예서(隸書)풍의 글자가 10자씩 새겨져 있음. 예서(隸書)는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감실의 좌우 양쪽에서 볼 수 있다.
사비시대 Time 시대 사비시대 538년 성왕(재위 523년∼554년)은 사비(지금의 부여)로 도읍을 옮기고 국호를 남부여라고 칭한 시기 국립부여박물관은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중심으로 전시가 진행된다.
서동요 Work 향가 서동요 신라 진평왕 때 백제 무왕이 지었다는 향가. 백제 무왕이 소년시절에 서동으로서 신라 서울에 들어가 선화공주를 얻으려고 지어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서동요는 무왕이 만들었다 Url
목은 별칭 목은(牧隱) 소나 양을 치는 목자(牧者)처럼 숨어 살고 싶다는 뜻 목은은 이색의 호이다. Url
포은 별칭 포은(圃隱) 채마밭에서 채소나 가꾸며 숨어 살고 싶다는 뜻 포은은 정몽주의 호이다. Url
야은 별칭 야은(冶隱) 풀무질이나 하며 대장장이로 숨어 살고 싶다는 뜻 야은은 길재의 호이다.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