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
조선 전기에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 터[요지]다. 1420~1440년대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발굴조사 결과 반지하식과 오름식 가마* 터 4곳이 확인되었다.
  
===수정 국문===
+
출토 자기는 대부분 분청사기와 문양이 없는 회청사기이며, 백자가 소량 출토되었다. 사발과 접시가 가장 많고 종지, 잔, 병 등이 섞여 있었다. 이곳에서 발견된 자기의 양식과 특징은 경기도 광주 도수리 6호와 변천리 17호 가마터 자기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
====초고====
+
----
 
+
* 오름식 가마: 경사면에 터널 모양으로 축조한 가마. 등요(登窯)라고 함.
====1차 수정====
 
  
 
===영문===
 
===영문===
33번째 줄: 33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
+
=='''참고 자료'''==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6월 29일 (월) 17:19 판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
디지털포천문화대전
대표명칭 화현리 분청사기 가마터
한자 花峴里 粉靑沙器 窯址
주소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 화동로184번길 39
지정번호 포천시 향토유적 제52호
지정일 1986년 4월 9일
소유자 산림청



해설문

국문

조선 전기에 분청사기를 굽던 가마 터[요지]다. 1420~1440년대에 운영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발굴조사 결과 반지하식과 오름식 가마* 터 4곳이 확인되었다.

출토 자기는 대부분 분청사기와 문양이 없는 회청사기이며, 백자가 소량 출토되었다. 사발과 접시가 가장 많고 종지, 잔, 병 등이 섞여 있었다. 이곳에서 발견된 자기의 양식과 특징은 경기도 광주 도수리 6호와 변천리 17호 가마터 자기와 유사한 점을 보인다.


  • 오름식 가마: 경사면에 터널 모양으로 축조한 가마. 등요(登窯)라고 함.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