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진도청용사소장불교전적.jpg
 
|사진=진도청용사소장불교전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2830000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2830000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대표명칭=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영문명칭=
+
|영문명칭=Buddhist Books and Documents Kept at Cheongyongsa Temple, Jindo
 
|한자=珍島 靑龍寺 所藏 佛敎典籍
 
|한자=珍島 靑龍寺 所藏 佛敎典籍
 
|주소=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교동리 289-1번지
 
|주소=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교동리 289-1번지
37번째 줄: 36번째 줄:
  
 
===영문===
 
===영문===
'''Buddhist Books and Documents of Cheongyongsa Temple, Jindo'''
+
'''Buddhist Books and Documents of Cheongnyongsa Temple, Jindo'''
  
This collection of 146 books kept at Cheongyongsa Temple include Buddhist scriptures and general literature. They were donated by the monk Dohun, who was appointed abbot of Cheongyongsa Temple in 2002,
+
This collection of 146 books and documents kept at Cheongnyongsa Temple include Buddhist scriptures and general Buddhist literature donated by the Master Dohun, who was appointed abbot of Cheongyongsa Temple in 2002.
  
Dohun became a monk at Daeheungsa Temple in the 1960s. Over the years he recieved scriptures from his teachers, texts given to him to take care of by those who he studied with, and who was appointed After he was  this collection came under the care of the temple.  
+
These documents were passed down to Master Dohun by his teachers and others with whom he studied since he became a monk in the 1960s at Daeheungsa Temple.  
  
These books consist of books which Monk Dohun who was appointed the abbot of Cheongyongsa Temple in 2002 after becoming a monk in , received from his teachers while studying the scriptures, books given by the people he studied with for the sake of preservation, and artifacts of the founding monks of Jinhaksa Temple in Haenam.
+
Among the books, 36 of them are scriptures from three texts. They include two versions of the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printed from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t the tur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and one partial copy of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printed at the end of the Chinese Yuan dynasty (1279-1398) from Northern Song dynasty-period (960-1127) Buddhist canon woodblocks. The paper quality and form of the Avatamsaka Sutra texts suggest that they were enshrined in a Buddhist statue after they were printed. All of the scriptures are rare and therefore valuable cultural heritages.  
 
+
Out of them, two categories of the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are part of Tripitaka Koreana and were printed between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dynasties. Around 10 books of scriptures of the same time are such precious woodblocks that they have currently been designated as treasures. Suggesting by the quality of the pap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pe, it’s indicated that after the printing they have been enshrined inside a Buddha statue for quite a time.  
+
The other 110 books are part of 26 different texts. They include texts published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t various temples such as Yongcheonsa in Damyang, Ssangbongsa in Hwasun, Ansimsa in Hwasun. They are valuable resources in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publishing in the Jeollanam-do regio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re are also books dating to the 1630s that include Hangeul alphabet annotations to the classical Chinese text, and are therefore valuable resources for the study of Korean linguistics.
 
 
One category of the Chinese Buddhist canon,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is part of the Buddhist canon made during the Song period (960-1279) of China and an important resource that cannot be commonly found even in China.  
 
 
 
Other remaining rare woodblocks were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s (1592-1598). They were published in various places such as Yongcheonsa Temple in Damyang, Ssangbongsa Temple in Hwasun, Ansimsa Temple in Hwasun Dongbok, and are aided in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literature publishing in the Jeollanam-do area during the Joseon period. Especially, since the books published in the 1930s have transcriptions in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Hangeul transcription sidedot patterns, they are a valuable resource for linguistics study.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청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장경류와 일반 불서(佛書) 등 모두 29종 146책이다.  
+
청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장경류와 일반 불서(佛書) 등 모두 146책이다. 이 서적들은 2002년 청용사의 주지로 부임한 도훈 스님이 기증한 것이다.
 
 
이 서적들은 2002년 청용사의 주지로 부임한 도훈 스님이 1960년대에 대흥사로 출가하여 경전 공부를 할 때 스승들로부터 전해 받은 것, 함께 수학했던 사람들이 보존을 위해 전해 준 것, 해남 진학사 창건주의 유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운데 『화엄경(華嚴經)』 2종은 고려대장경의 일부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인쇄된 것이다. 현재 이와 동일한 경전 10여 책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매우 귀중한 판본이다. 종이의 품질과 형태적 특징으로 보아 인쇄된 뒤에 한동안 불상 안에 넣어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
서적들은 도훈 스님이 1960년대에 대흥사에서 출가한 이후, 스승들, 함께 수학했던 사람들로부터 전해 받은 것이다.
  
중국대장경 1종은 『대반야경(大般若經)』으로 중국의 북송 시대에 판각한 대장경의 일부이며, 중국에서도 흔히 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
이 가운데 36권의 책은 세 종류의 불경이다. 『화엄경(華嚴經)』 2종은 고려대장경의 일부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인쇄된 것이고, 1종은 『대반야경(大般若經)』으로 중국의 북송 시대에 판각한 대장경의 일부이다. 화엄경은 종이의 품질과 형태적 특징으로 보아 인쇄된 뒤에 한동안 불상 안에 넣어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경전들은 모두 흔히 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밖에도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희귀한 판본들이 남아있다. 간행한 곳도 담양 용천사, 화순 쌍봉사, 화순 동복 안심사 등으로 다양하여, 조선시대 전남 지방의 불서 간행 사정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특히 1630년대에 간행된 서적들은 한글 표기 및 한글 표기 방점이 있어 국문학 연구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
나머지 110권의 책은 26종의 불서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담양 용천사, 화순 쌍봉사, 화순 안심사 등 다양한 곳에서 간행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자료들은 조선시대 전남 지방의 불서 간행 사정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특히 1630년대에 간행된 서적들은 한글 표기를 포함하고 있어 국문학 연구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70번째 줄: 63번째 줄:
 
[[분류:시도유형문화재]]
 
[[분류:시도유형문화재]]
 
[[분류:불교전적]]
 
[[분류:불교전적]]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Buddhist Books and Documents Kept at Cheongyongsa Temple, Jindo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영문명칭 Buddhist Books and Documents Kept at Cheongyongsa Temple, Jindo
한자 珍島 靑龍寺 所藏 佛敎典籍
주소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교동리 289-1번지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3호
지정일 2005년 7월 13일
수량/면적 146책(대장경류 3종 36축, 불서 26종 110책)
웹사이트 진도 청용사 소장 불교전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청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교 관련 서적으로, 대장경류와 일반 불서(佛書) 등 모두 29종 146책이다.

이 서적들은 2002년 청용사의 주지로 부임한 도훈 스님이 1960년대에 대흥사에서 출가하여 경전 공부를 할 때에 스승들로부터 전해 받은 것과 함께 수학했던 사람들이 보존을 위해 전해 준 것과 해남 진학사 창건주의 유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가운데 『화엄경(華嚴經)』 2종은 고려 대장경의 일부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인쇄한 것으로 현재 이와 같은 경전 10여 책을 보물로 지정하고 있을 정도로 매우 귀중한 판본*이다. 종이의 품질과 형태적 특징으로 보아 인쇄한 뒤에 한동안 불상 안에 넣어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대장경 1종은 『대반야경(大般若經)』으로 중국의 북송 시대에 판각한 대장경의 일부이며, 중국에서도 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밖에도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한 희귀한 판본들이 남아 있다. 간행한 곳도 담양 용천사, 화순 쌍봉사, 화순 동복 안심사 등 다양하여 조선 시대 전남 지방의 불서 간행 사정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특히 1630년대에 간행한 서적들은 한글 표기 및 한글 표기 방점이 있어 국문학 연구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 판본 : 목판으로 인쇄한 책

영문

Buddhist Books and Documents of Cheongnyongsa Temple, Jindo

This collection of 146 books and documents kept at Cheongnyongsa Temple include Buddhist scriptures and general Buddhist literature donated by the Master Dohun, who was appointed abbot of Cheongyongsa Temple in 2002.

These documents were passed down to Master Dohun by his teachers and others with whom he studied since he became a monk in the 1960s at Daeheungsa Temple.

Among the books, 36 of them are scriptures from three texts. They include two versions of the Avatamsaka Sutra (The Flower Garland Sutra) printed from the Tripitaka Koreana woodblocks at the tur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and one partial copy of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Perfection of Transcendental Wisdom) printed at the end of the Chinese Yuan dynasty (1279-1398) from Northern Song dynasty-period (960-1127) Buddhist canon woodblocks. The paper quality and form of the Avatamsaka Sutra texts suggest that they were enshrined in a Buddhist statue after they were printed. All of the scriptures are rare and therefore valuable cultural heritages.

The other 110 books are part of 26 different texts. They include texts published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t various temples such as Yongcheonsa in Damyang, Ssangbongsa in Hwasun, Ansimsa in Hwasun. They are valuable resources in th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Buddhist publishing in the Jeollanam-do regio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re are also books dating to the 1630s that include Hangeul alphabet annotations to the classical Chinese text, and are therefore valuable resources for the study of Korean linguistics.

영문 해설 내용

청용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대장경류와 일반 불서(佛書) 등 모두 146책이다. 이 서적들은 2002년 청용사의 주지로 부임한 도훈 스님이 기증한 것이다.

이 서적들은 도훈 스님이 1960년대에 대흥사에서 출가한 이후, 스승들, 함께 수학했던 사람들로부터 전해 받은 것이다.

이 가운데 36권의 책은 세 종류의 불경이다. 『화엄경(華嚴經)』 2종은 고려대장경의 일부로,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인쇄된 것이고, 1종은 『대반야경(大般若經)』으로 중국의 북송 시대에 판각한 대장경의 일부이다. 화엄경은 종이의 품질과 형태적 특징으로 보아 인쇄된 뒤에 한동안 불상 안에 넣어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경전들은 모두 흔히 볼 수 없는 귀중한 자료이다.

나머지 110권의 책은 26종의 불서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담양 용천사, 화순 쌍봉사, 화순 안심사 등 다양한 곳에서 간행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자료들은 조선시대 전남 지방의 불서 간행 사정을 연구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특히 1630년대에 간행된 서적들은 한글 표기를 포함하고 있어 국문학 연구 자료로도 가치가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