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해설 내용)
33번째 줄: 33번째 줄:
 
   
 
   
 
===영문===
 
===영문===
 +
'''Buddhist Stele with Inscription of "Muin Year" and Pedestal at Yeonhwasa Temple, Sejong'''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불비상이란 불상이 새겨진 비석 형식의 상을 말한다.  
+
이 불비상은 연꽃 모양으로 장식된 대좌와 불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지붕 모양의 덮개돌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비상은 세종시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는 독특한 양식이다.  
  
이 불비상은 연꽃으로 장식된 받침대와 함께 전해진다. 1961년 연화사 부근 쌍류리(雙流里, 일명 권터굴)의 생천사터에서 수습되었다고 한다.  
+
1961년 연화사 부근 쌍류리의 생천사터에서 연화사 칠존불비상(보물 제65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원래는 지붕 모양의 덮개돌도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사각 기둥의 네 면을 다듬어 불상을 조각하였다.  
+
앞면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양옆에 나한상과 보살상이 2구씩 조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반가사유상과 양옆에 공양하는 자세의 보살상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옆면은 3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여래상을 새기고 하단에는 만(卍)자 무늬로 장식한 난간과 계단을 새겼다. 가운데 부분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불비상이 만들어진 때로 추정되는 '무인년(戊寅年)'이라는 글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때는 678년으로 추정된다. 크기는 가로 22.5㎝, 세로 52.4㎝, 두께 16㎝이다.
  
''앞면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양옆에 나한상과 보살상이 2구씩 서 있고, 뒷면에는 반가사유상과 좌우에 꿇어 앉아 본존불을 공양하고 있는 자세를 한 보살상 1쌍이 있다.''
+
이 불비상은 조각 기법을 볼 때 백제 출신 유민들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옆면은 3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여래상을 새기고 하단에는 만(卍)자 무늬로 장식한 난간과 계단을 두었다. 중간 부분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 중 ‘무인년(戊寅年)이라는 글자를 작품이 만들어진 시기로 보고 있으며, 이때는 678년으로 추정된다.
 
 
 
이 불비상은 세종시(구 연기 지방)를 중심으로 발견되는 독특한 양식이다. 이 불비상은 조각 기법을 볼 때 백제 출신 유민들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 기울임꼴 수정 고민 - 예시 (앞면의 본존불은 오른손은 가슴 앞까지 들어 올리고 왼손은 왼쪽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내려놓은 모습으로, 이는 아미타불이 설법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양 옆에는 나한상과 보살상이 2구씩 서 있다. / 뒷면은 본존불과 좌우에 보살상이 있는 구도이다. 본존불은 사각형의 대좌 위에서 오른손으로 턱을 받치고 왼손을 오른쪽 발목에 얹은 자세를 하고 있고, 양쪽의 보살들은 꿇어 앉아 본존불을 공양하고 있는 자세이다.)
 
* 국문 2차 수정 원고 중 ; 불비상은 연기 지방을 중심으로 발견되는 이 지역의 독특한 양식으로 알려져 있다. / 함께 발견된 연화사 칠존불비상(보물 제650호)을 비롯하여, 단 7점의 불비상이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2020년 8월 22일 (토) 04:24 판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Buddhist Stele with Inscription of "Muin Year" and Pedestal at Yeonhwasa Temple, Sejong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영문명칭 Buddhist Stele with Inscription of "Muin Year" and Pedestal at Yeonhwasa Temple, Sejong
한자 世宗市 蓮花寺 戊寅銘佛碑像 및 臺座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연화사길 28-1(월하리 1047)
지정번호 보물 제649호
지정일 1978년 12월 7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대좌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좌
웹사이트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연화사 무인명불비상*은 사각 모양으로 불상과 명문이 새겨져 있고, 대좌*와 함께 전해지고 있다. 원래는 지붕 덮개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불비상은 1961년 연화사 부근 쌍류리(雙流里, 일명 권터굴)의 생천사 터에서 연화사 칠존불비상(보물 제65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불상의 형태는 사각기둥을 네 면으로 다듬었는데, 앞면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양옆에 나한상과 보살상이 2구씩 조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반가사유상과 양옆에 공양하는 자세의 보살상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옆면은 3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여래상을, 가운데는 글을 새겼고, 하단에는 만(卍)자 무늬로 장식한 난간과 계단이 있다. 크기는 가로 22.5㎝, 세로 52.4㎝, 두께 16㎝이다.

이 불비상은 세종시(구 연기군)를 중심으로 발견되는 독특한 양식으로, 조각의 기법이나 명문 등을 통해 볼 때 신라 문무왕 18년(678)에 백제 유민들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비상(碑像): 비석 모양의 돌에 불상을 조각하거나 또는 글을 적은 것.
  • 대좌(臺座): 불상을 올려놓는 대.

영문

Buddhist Stele with Inscription of "Muin Year" and Pedestal at Yeonhwasa Temple, Sejong

영문 해설 내용

이 불비상은 연꽃 모양으로 장식된 대좌와 불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는 지붕 모양의 덮개돌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비상은 세종시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되는 독특한 양식이다.

1961년 연화사 부근 쌍류리의 생천사터에서 연화사 칠존불비상(보물 제650호)과 함께 발견되었다.

앞면에는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양옆에 나한상과 보살상이 2구씩 조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반가사유상과 양옆에 공양하는 자세의 보살상이 1구씩 새겨져 있다. 옆면은 3단으로 나누어, 상단에는 여래상을 새기고 하단에는 만(卍)자 무늬로 장식한 난간과 계단을 새겼다. 가운데 부분에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불비상이 만들어진 때로 추정되는 '무인년(戊寅年)'이라는 글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때는 678년으로 추정된다. 크기는 가로 22.5㎝, 세로 52.4㎝, 두께 16㎝이다.

이 불비상은 조각 기법을 볼 때 백제 출신 유민들이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자료

  • 문화재대관 - 불교조각 1, 문화재청, 2016 ->몸돌 윗부분에 나 있는 네모 형태의 홈은 원래의 지붕돌을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몸돌과 받침 돌도 처음부터 함께 조성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받침돌 윗부분과 몸돌 아래 부분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 불비상이 조성되던 문무왕 18년(678)경에는 신라에서 아미타정토신앙과 미륵사상이 공존하면서 유행하던 시기이다. 무인명 불비상은 이러한 도상적인 특징과 함께 백제 유민에 의해 조성된 중 요한 기년명 불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고 하겠다.
  •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06490000&pageNo=1_1_1_1 ⇒ 전반적 내용 참고
  • 무인명석불상부대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조사연구자료. http://www.heritage.go.kr/heri/cul/hubBankDetail.do?expId=20151006000000408772 ⇒ 불비상 재료 및 크기 참고
  • 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세종시 연화사 무인명불비상 및 대좌&ridx=0&tot=8466 ⇒ 원 위치 정보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