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동 도림강당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3일 (목) 17:1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오미동 도림강당
Dorimgangdang Lecture Hall in Omidong
오미동 도림강당,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대표명칭 오미동 도림강당
영문명칭 Dorimgangdang Lecture Hall in Omidong
한자 五美洞 道林講堂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9호
지정(등록)일 1982년 2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오미동 도림강당,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해설문

2016 국문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과 그 자제 8형제의 위패를 모신 사당(祠堂)인 추원사(追遠祠)의 부속 강당이다. 강당은 순조(純祖) 5년(1805)에 세워졌다.

조선 후기 건물로서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지붕의 구조가 특이하다. 이러한 지붕은 향교나 명륜당, 서원의 강당에 간혹 사용되기도 하였다. 추원사는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으로 일반적인 사당의 격식을 따르고 있다.

2021 국문

초안

이 건물은 조선시대의 학자 김대현(金大賢, 1553~1602)과 그의 여덟 아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인 추원사(追遠祠)의 부속 강당이다. 사당은 순조 5년(1805)에 세워졌고, 추원사는 이듬해에 세워졌다.

강당 건물은 중앙에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다. 지붕을 직각으로 교차해 H자형으로 구성하는 특이한 구조로 만들었다. 이러한 형태는 학문에 전념하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향교의 명륜당이나 서원의 강당 등 강학 공간에 간혹 사용되었던 것이다.

강당 뒤편에 자리한 추원사는 일반적인 사당의 격식을 따르고 있으며, 담장 밖에는 제사 준비를 위한 전사청(典祀廳)과 관리인이 사용하는 건물인 고직사(庫直舎)가 있다.

김대현은 풍산김씨의 종택인 허백당 종택((虛白堂 宗宅, 국가민속문화재 제284호)을 세우며 가학에 힘썼던 인물이다. 김대현의 맏아들 김봉조(金奉祖, 1572~1630)를 포함한 그의 여덟 아들은 모두 소과(小科)에 해당하는 진사시에 합격했으며, 이 중 다섯 명이 대과(大科)에 합격했다. 인조는 이들 형제를 ‘팔련오계(八蓮五桂)‘라고 칭하고, 대과에 합격한 다섯 명을 특별히 ’오미(五美)‘라고 하여 이들의 고향에 ’오미동’이라는 지명을 하사했다고 한다.

  • 김대현과 아들들에 대한 이야기 요약 혹은 삭제 여부 검토 필요함.

1차 수정

2016 영문

Dorimgangdang Lecture Hall in Omidong

This is the lecture hall of Chuwonsa, a shrine for Kim Dae-hyeon (1553-1602), a scholar of the mid-Joseon period, and his eight sons.

Built in 1805, the lecture hall has been preserved in its original architectural style. In particular, its roof shows a unique design in which three gables form an H-shaped roof ridge as seen from above. This type of roof was occasionally used for lecture halls of local Confucian Schools and Confucian academies.

The village’s name “Omi,” literally meaning “Five Beauties,” is said to be based on this family, as five of Kim Dae-hyeon’s eight sons successfully passed the state examinations.


참고자료

  • 오미동 도림강당,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16 -> 무엇보다 도림강당의 지붕 형식이 독특한데, 전체적으로 보면 ‘공(工)’자형의 용마루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공’자형의 지붕은 학문에 전념하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향교의 명륜당이나 서원의 강당 등 강학 공간에서 간혹 찾아볼 수 있다. / 추원사는 강당의 후면 우측에 높은 단을 조성하여 동향으로 앉히고 낮은 토석 담장으로 둘러쌓았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을 한 일반적인 묘우 건물의 격식을 따르고 있으나 이익공(二翼工)으로 격식을 높였다. 담장 밖에 방 1칸과 마루 1칸으로 구성된 전사청이 있고, 그 남쪽에 강당이 배치되어 있으며, 동쪽의 1단 낮은 곳에 고직사가 놓여 있다.
  • 팔련오계(八蓮五桂) 각주 정보, 고전번역원 DB 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0531A_0510_010_0040&jusokId=D001&wordHL=%E5%85%AB%E8%93%AE -> 김숭조(金崇祖)를 포함한 8형제가 생진과에 입격하고 그중 5명이 문과에 급제하였으므로 일컬은 말이다. 이로 인하여 세거지인 안동 풍산(豐山)의 오릉동(五陵洞)을 오미동(五美洞)으로 고쳤다고 한다. 그의 형들은 김봉조(金奉祖), 김영조(金榮祖), 김창조(金昌祖), 김경조(金慶祖), 김연조(金延祖), 김응조(金應祖), 김술조(金述祖), 김염조(金念祖)인데, 김봉조, 김영조, 김연조, 김응조는 문과에 급제하였다. 김술조는 요절하였다.
  • 팔련오계의 아버지, 김대현, 디지털안동문화대전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C010201
  • 안동 허백당 종택 항목 참조 -> 이 집은 조선시대의 문신이자 풍산김씨 11세손인 김양진(1467-1535, 호: 허백당)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이란 한 집안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이 집이 위치한 오미리는 조선 초기에 김양진의 증조부인 김자순이 입향하면서 풍산김씨의 집성촌이 되었다. 원래 김양진의 증손인 김대현(1553-1602)이 처음 종택을 건립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현재의 집은 김대현의 아들 김봉조(1572-1630)가 1600년에 다시 지은 것이다.
  • 오미동 도림강당, 사진이 좋다, 다음 블로그 https://blog.naver.com/kgh4857/220364981069 -> 2015 사진.
  • <참고>김대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8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