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우정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10일 (수) 05:17 판 (참고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만우정
만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만우정
한자 晩愚亭
주소 경북 안동시 임하면 수곡리 산44번지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7호
지정(등록)일 1985년 8월 5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만우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 건물은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낸 정재(定齋) 류치명(柳致明, 1777~1861)이 학문을 하던 곳으로 조선 고종(高宗) 22년(1855)에 건립된 정자이다. 현판은 대원군(大院君)의 친필이다. 원래 임하면 사의동에 위치했으나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1988년 이 곳으로 이전하여 보수하였다.

정자는 높은 자연석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되어있는데, 좌측을 통칸방으로 꾸미고 우측 2칸에는 우물마루를 놓았다. 기둥은 둥근 것과 네모난 것을 혼용하였는데 대청부분을 강조한 집으로 홑처마 팔작기와집이다.

이 건물은 5량가로 동자(童子)형태의 대공(臺工)을 세운 장식성이 없는 간결한 구조이며, 소박한 정자이다.

수정 국문

초고

이 건물은 조선시대 문신 류치명(柳致明, 1777~1861)이 1857년(철종 8)에 강학공간으로 건립한 정자이다.

류치명의 본관은 전주이고 1805년(순조 5)에 과거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1853년(철종 4) 병조 참판이 되었다. 1855년(철종 6) 사도세자(思悼世子)의 추존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탄핵을 받고 7월에 유배된 뒤 그 해 11월에 석방되었다. 1857년 그의 문인들이 지어준 만우정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고, 1861년에 별세하였다. 그는 퇴계 이황(李滉, 1501-1570)의 학통을 계승하여 많은 학자들을 배출하였고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의 문인인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쓴 현판 외에도 당대 글씨로 유명했던 신헌(申櫶, 1810-1884),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 등이 쓴 현판이 있다. 원래 임하면 사의동에 위치했으나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1988년 이 곳으로 이전하여 보수하였다.

정자의 이름을 ‘만우(晩愚)’라고 지은 것은 여든 넘은 나이에 정자를 지어 풍경도 늦고 계책도 늦었으니 스스로를 비웃는 뜻을 깃들이고자 해서이다.

1차 수정

만우정은 조선시대의 문신 류치명(柳致明, 1777~1861)이 1857년에 강학공간으로 건립한 정자이다. 원래 임하면 사의동에 있었으나,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1988년에 이곳으로 옮겨 보수하였다.

류치명은 1805년에 과거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1853년 병조참판이 되었다. 1855년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의 추존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탄핵을 받고 7월에 유배된 뒤 그 해 11월에 석방되었다. 1857년 그의 문인들이 지어준 만우정에서 후진 양성에 전념하였다. 이황(李滉, 1502~1570)의 학통을 계승하여 많은 학자들을 배출하였고 여러 저술을 남겼다.

정자의 이름을 ‘만우(晩愚)’라고 지은 것은 여든 넘은 나이에 정자를 지어 풍경도 늦고 계책도 늦었으니 스스로 어리석다고 비웃는 의미이다. 정자 안에는 류치명의 제자인 이원조(李源祚, 1792~1871)가 쓴 현판 외에도 당대 글씨로 유명했던 신헌(申櫶, 1810~1884),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 등이 쓴 현판이 남아 있다.

참고자료

  • 김지은, 「정재 류치명의 문인록과 문인집단의 분석」, 『조선시대사학보』 85, 조선시대사학회, 2018.
  • 『晩愚亭約案』

→ 위의 자료를 통해 만우정의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다. 그의 문인들이 1857년(철종 8)에 강학공간으로 건립하였다.

  • 『승정원일기』 철종 6년 7월 26일 정해.
  • 『철종실록』 권7, 철종 6년 4월 2일 갑오; 철종 6년 11월 6일 을축.

→ 위의 기사를 통해 류치명이 유배된 배경 및 날짜, 석방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 만우정 현판과 관련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에는 이원조가 현판을 썼다고 되어 있고, 기존 국문에는 흥선대원군의 친필이라고 되어 있는데 확인 결과 현판이 여러 개 였음을 알 수 있다.

  • 『定齋集』 卷2, <晩愚亭記>

→ 만우정이라 이름 지은 뜻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