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8일 (화) 00:20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Hanging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Rocana Buddha)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영문명칭 Hanging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Rocana Buddha)
한자 興國寺 盧舍那佛 掛佛幀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보물 제1331호
지정일 2002년 1월 2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불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흥국사 노사나불 괘불탱,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법당 앞뜰의 괘불대에 걸어 놓고 예배를 드리기 위해 만든 걸개 그림 형태의 대형 탱화로서, 그림 중앙에는 화려한 보관을 쓴 노사나불이 두 손을 어깨 위까지 들어 좌우로 벌리고 있으며 보관 중앙에는 화염무늬에 둘러싸인 여섯 불상이 장식되어 있다. 위에는 노사나불과 관련이 있는 천궁과 같은 건물의 처마 끝이 표현되어 있고 아래에는 좌우로 보탑이 배치되어 있다.

1759년 당시 최고 화승으로 꼽히던 의겸과 더불어 비현이 참여해 그렸는데, 뒷면에 보수한 기록이 남아 있어 당시 괘불 제작의 실태를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수정 국문

초고

괘불은 사찰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할 때 야외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데 쓰였다.

이 괘불은 광명을 상징하는 노사나불을 나타낸 것으로, 1759년에 비현과 12인의 화승이 함께 조성하였다. 비현은 18세기 후반 전라도에서 활동하였으며, 17세기 최고의 승려 화가로 꼽히는 의겸의 계보를 잇는 화승이다.

그림의 주인공인 노사나불은 연꽃대좌를 밟고 서서 어깨까지 두 손을 들고 양쪽으로 벌리고 있는 모습으로, 화면을 꽉 채워 단독으로 배치하였다.

거대하고 화려한 몸광배와 둥근 머리광배를 갖춘 노사나불은 머리에 불꽃 무늬 등으로 장식된 보관을 쓰고 있는데, 보관 중앙에는 6위의 화불이 조각되어 있다. 가슴에는 ‘만(卍)’자를 표현한 커다란 장신구가 표현되어 있다.

그림의 아래쪽 좌우에는 가득 찬 구름을 표현한 후 흰색의 보탑을 배치하였다. 화면 위쪽에는 건물의 처마 끝을 묘사했는데, 이는 노사나불이 머무르며 설법하는 공간인 천궁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불화 하단 중앙에는 괘불탱의 조성 시기와 봉안 장소, 시주자의 명단과 발원 내용을 기록한 화기가 남아있다. 또한 불화의 뒷면에도 후대에 괘불을 보수하면서 기록한 화기가 남아 있어 당시 괘불 제작의 실태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진본은 현재 흥국사 경내에 있는 의승수군 유물전시관 내의 괘불함에 보관되어 있다.

참고 자료

→그림 상세 정보 확인 가능

→ 그림 제작 화승 ‘비현’에 대한 설명 + 그림 간단히 언급되어 있음.

→노사나불, 천궁 등에 대한 개념 확인

→화면 바탕 재질 문제 (기존 삼베 22폭 연결되어 있다고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