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거창황산마을옛담장.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4413802590000 거창 황산마...)
(차이 없음)

2019년 11월 17일 (일) 11:13 판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Old Walls of Hwangsan Village, Geochang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영문명칭 Old Walls of Hwangsan Village, Geochang
한자 居昌 黃山마을 옛 담牆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1길 109-6 등 (황산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259호
지정일 2006년 6월 19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기타 시설물/기타 시설물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마을일원 담장
웹사이트 거창 황산마을 옛 담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거창신씨 집성촌인 황산마을 25여 채 기와집에 둘러져 있는 흙과 자연석으로 쌓은 토석담 형태의 옛 담장이다.

황산마을은 주변 지형의 황토백산黃土白山에서 유래되었으며, 신수이愼守彛가 마을 터를 잡고 번성하였다. 영남의 대표적인 양반촌으로 손꼽히는 마을이다.

마을 내 주택들은 대부분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건립된 것으로 지방 사대부가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마을의 담장은 대개 토석담으로 활처럼 휜 담장길이 고가들과 어우러져 고즈넉하면서도 절제된 풍경을 이룬다. 물빠짐을 위해 아랫단 60~90cm 정도를 커다란 돌로 쌓고 그 위에 황토와 작은 돌을 교대로 질서 있게 쌓아 올렸다. 담장 위에는 대부분 한식 기와를 올렸다.

마을 내 신씨고가, 황강고택 등 지정 문화재와 어울려 전체가 옛 모습 그대로 유지되어 전통마을로 관리보존 되고 있다.

영문

Old Walls of Hwangsan Village, Geochang


영문 해설 내용

황산마을의 옛 담장은 조선 후기의 학자인 신수이(1688-1768)가 이 지역에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던 18세기 무렵부터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담장은 마을의 25여 채 기와집들 사이로 구불구불한 골목을 형성하고 있다.

흙과 자연석을 섞어 쌓았는데, 아래 60-90cm 높이까지는 커다란 돌로 쌓아 물이 잘 빠지도록 했고, 그 위에 작은 돌과 황토를 교대로 쌓아 올렸다. 맨 위에는 기와를 올렸다. 활처럼 휜 담장길이 고가들과 어우러져 고즈넉한 풍경을 이룬다.

이 마을은 거창신씨 집성촌으로 번성하였으며, 영남 지역의 대표적인 양반촌으로 손꼽힌다. 마을에 남아있는 주택들은 대부분 19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건립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