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국문)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본 유적은 국가철도공단에서 보성~임성리간 철도건설 사업 구간에서 조사된 유적으로 행정구역상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 927번지 일원에 해당된다. 발굴조사는 2017년 10월부터 2020년 3월 27일까지 실시되어 지석묘 21기, 원삼국시대 옹관묘 5기, 삼국시대 석곽묘 2기 등 총 28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
우리나라는 고인돌 왕국이라고 할 만큼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남아 있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으로 지석묘라고도 한다. 지석묘는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북방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인 기반식(바둑판식‧남방식),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개석식으로 나뉜다. 전남지역에서는 주로 기반식과 개석식 지석묘가 확인되고 있다.
  
조사가 완료된 후 상석과 매장주체부 또는 매장주체부가 비교적 양호하게 잔존한 지석묘 10기를 이곳으로 이전 • 복원  전시하고 있다.  
+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은 국가철도공단의 보성~임성리 철도건설구간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으로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 산52번지 일원에 위치한다. 2017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를 통해 청동기 시대 고인돌 21기, 마한 옹관묘 5기, 백제 석곽묘 2기 등 총 28기의 무덤 유구가 조사되었으며, 청동기 시대 집자리와 마한 집자리 등 생활 유구도 가까운 곳에서 확인되었다.
  
'''경작지 조성으로 훼손되어 비교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석묘를 대상으로 분류하면 상석이 잔존한 지석묘(1·3·7·8·9호)와 상석이 확인되지 않은 지석묘(11·14·17·20호)로 구분된다.  
+
조사된 고인돌 21기 중 형태가 잘 남아 있는 고인돌 10기를 이곳으로 옮겨 복원‧전시하고 있다.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석묘들은 상석 아래에 지석을 놓은 기반식(6호)과 매장주체부인 석곽 상부에 개석을 놓고 상석을 배치한 개석식(1·3·7·9·11호), 매장주체부 없이 구획석과 묘역석만으로 구성된 지석묘(8호)로 구분된다.''' 상석이 잔존하는 지석묘의 경우 기반식 1기를 제외하며 모두 개석식으로 확인되는 것에서 개석식이 주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묘역은 대체로 방형으로 추정되는데, 판석과 할석을 이용하여 축조되었다. 매장주체부는 축조방식에 따라 석관형, 석곽형, 판석과 할석 양자를 혼용한 것 등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공열토기, 석검, 석부, 석촉, 관옥, 반월형석도, 유구석부, 합인석부가 출토되었다.
+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은 기반식 1기를 제외하면 모두 개석식으로, 공열토기, 석검, 석촉, 관옥, 반달돌칼, 유구석부, 합인석부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동안 해남에서 지석묘 조사가 활발하지 못하여 그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서 영산강 중하류지역의 지석묘 구조 및 입지와 그 범주를 같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무병식석검과 유구석부 등의 출토유물로 보아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의 축조 시기는 청동기 시대 중후반으로 추정된다.
 
 
그간 해남지역에서의 지석묘 조사가 미진하여 그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서 영산강 중하류지역의 지석묘 구조 및 입지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소략하지만 무병식석검과 유구석부 등을 통해서 대체로 청동기시대 중후반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영문===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but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them in the world.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but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them in the world.
 +
These dolmens were first discovered in Deokjeong-ri Village during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ection of the Gyeongjeon Railway Line stretching from Mokpo to Boseong. Excavation of the site began in October 2017 and was completed on March 27, 2020. The excavation confirmed the remains of 21 dolmens, five urn tomb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1st century BCE-4th century CE), and two stone-lined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4th century CE-668 CE). Among them, ten of the dolmens with relatively well-preserved capstones or burial chambers were relocated to their current site to be exhibited.
 +
Among these ten dolmens, nine dolmens are unsupported capstone-type, which consists of a capstone on top of an underground stone burial chamber, and one dolmen is go board-type, which consists of a large capstone placed over small, vertical supporting stone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hole design earthenware, a stone dagger, a stone axe, a stone arrowhead, a tubular jade bead, a half-moon-shaped stone sword, a grooved adze, and a clam-shaped stone axe.
 +
Because dolmens had not been studied intensively in the Haenam region, it was difficult to discern the structure of these dolmens. However, through this excavation, they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in the mid- and downstream sections of the Yeongsangang River, which flows into the West Sea via Mokpo about 30 km to the northwest of Deokjeong-ri. Although few artifacts were unearthed, some of them, such as the stone dagger without tang and grooved adze, help date the site to the mid- to late Bronze Age.
  
These dolmens were first discovered in Deokjeong-ri Village during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ection of the Gyeongjeon Railway Line stretching from Mokpo to Boseong. Excavation of the site began in October 2017 and was completed on March 27, 2020. The excavation confirmed the existence of 21 dolmens, five urn tomb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1st century BCE-4th century CE), and two stone-lined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4th century CE-668 CE). The dolmens were found to have been significantly damaged due to agricultural land cultivation. Among them, ten of the dolmens with relatively well-preserved capstones and burial chambers were relocated to their current site to be exhibited.
+
=='''개별안내판'''==
 
+
* [[1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1호 지석묘]]
Three dolmen structures were identified among those which were well preserved. These include go board-type (Dolmen No. 6), unsupported capstone-type (Dolmen Nos. 1, 3, 7, 9), and non-burial-type (Dolmen No. 8). Go board-type dolmens consist of a large capstone placed over small, vertical supporting stones, while unsupported capstone-type dolmens consist of a capstone on top of an underground stone burial chamber. Non-burial-type dolmens have only perimeter and boundary stones with no burial chamber. Among the dolmens with extant capstones, all but Dolmen No. 6 were unsupported capstone-type dolmens. The boundary of each dolmen was defined with stone slabs and rough-hewn stones and is presumed to be square in shape in most cases. Burial chambers with differing construction techniques were identified, including stone cist chambers, stone-lined chambers, and chambers using a mix of stone slabs and rough-hewn stone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hole design earthenware, a stone dagger, a stone axe, a stone arrowhead, a tubular jade bead, a half-moon-shaped stone sword, a grooved adze, and a clam-shaped stone axe.
+
* [[3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3호 지석묘]]
 
+
* [[6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6호 지석묘]]
Because dolmens had not been studied intensively in the Haenam region, it was difficult to discern the structure of these dolmens. However, through this excavation, they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in the mid- and downstream sections of the Yeongsangang River, which flows into the West Sea via Mokpo about 30 km to the northwest of Deokjeong-ri. Although few artifacts were unearthed, some of them, such as the stone dagger without tang and grooved adze, help date the site to the mid- to late Bronze Age.
+
* [[7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7호 지석묘]]
 +
* [[8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8호 지석묘]]
 +
* [[9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9호 지석묘]]
 +
* [[11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11호 지석묘]]
 +
* [[14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14호 지석묘]]
 +
* [[17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17호 지석묘]]
 +
* [[20호 지석묘(해남 덕정리 지석묘군)|20호 지석묘]]
  
 
=='''갤러리'''==
 
=='''갤러리'''==

2021년 7월 20일 (화) 20:22 기준 최신판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
Dolmens in Deokjeong-ri, Haenam
대표명칭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
영문명칭 Dolmens in Deokjeong-ri, Haenam
한자 海南 德鼎里 支石墓群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 927번지 일원



해설문

국문

우리나라는 고인돌 왕국이라고 할 만큼 세계에서 고인돌이 가장 많이 남아 있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이 만든 무덤으로 지석묘라고도 한다. 지석묘는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북방식)과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인 기반식(바둑판식‧남방식),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개석식으로 나뉜다. 전남지역에서는 주로 기반식과 개석식 지석묘가 확인되고 있다.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은 국가철도공단의 보성~임성리 철도건설구간에서 발굴조사된 유적으로 전라남도 해남군 계곡면 덕정리 산52번지 일원에 위치한다. 2017년 10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진행된 발굴조사를 통해 청동기 시대 고인돌 21기, 마한 옹관묘 5기, 백제 석곽묘 2기 등 총 28기의 무덤 유구가 조사되었으며, 청동기 시대 집자리와 마한 집자리 등 생활 유구도 가까운 곳에서 확인되었다.

조사된 고인돌 21기 중 형태가 잘 남아 있는 고인돌 10기를 이곳으로 옮겨 복원‧전시하고 있다.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은 기반식 1기를 제외하면 모두 개석식으로, 공열토기, 석검, 석촉, 관옥, 반달돌칼, 유구석부, 합인석부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그동안 해남에서 지석묘 조사가 활발하지 못하여 그 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서 영산강 중하류지역의 지석묘 구조 및 입지와 그 범주를 같이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무병식석검과 유구석부 등의 출토유물로 보아 해남 덕정리 지석묘군의 축조 시기는 청동기 시대 중후반으로 추정된다.

영문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but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them in the world. These dolmens were first discovered in Deokjeong-ri Village during prepa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section of the Gyeongjeon Railway Line stretching from Mokpo to Boseong. Excavation of the site began in October 2017 and was completed on March 27, 2020. The excavation confirmed the remains of 21 dolmens, five urn tomb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1st century BCE-4th century CE), and two stone-lined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4th century CE-668 CE). Among them, ten of the dolmens with relatively well-preserved capstones or burial chambers were relocated to their current site to be exhibited. Among these ten dolmens, nine dolmens are unsupported capstone-type, which consists of a capstone on top of an underground stone burial chamber, and one dolmen is go board-type, which consists of a large capstone placed over small, vertical supporting stones. Excavated artifacts include hole design earthenware, a stone dagger, a stone axe, a stone arrowhead, a tubular jade bead, a half-moon-shaped stone sword, a grooved adze, and a clam-shaped stone axe. Because dolmens had not been studied intensively in the Haenam region, it was difficult to discern the structure of these dolmens. However, through this excavation, they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in the mid- and downstream sections of the Yeongsangang River, which flows into the West Sea via Mokpo about 30 km to the northwest of Deokjeong-ri. Although few artifacts were unearthed, some of them, such as the stone dagger without tang and grooved adze, help date the site to the mid- to late Bronze Age.

개별안내판

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