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로 구성된 삼세불이다. 삼세불이란 시공간적인 삼세의 부처님이라는 뜻이다. 즉 석가여래는 현세불이면서 이 세계의 부처님이고, 약사여래는 동방(東方)의 부처님이면서 과거불이며, 아미타여래는 서방(西方)의 부처님이면서 미래불을 나타낸다.

세 불상은 모두 승려조각가 녹원(鹿元)의 주도 하에 총 11명의 승려조각가가 참여하여 1655년에 제작되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녹원의 작품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불상이다. 육계가 드러나지 않는 반구형 머리, 역사다리꼴 얼굴형, 두텁게 표현한 옷주름 등에서 세 불상이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석가여래는 양옆의 불상보다 크게 조성해서 주불임을 강조하였다.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2009년 개금을 하던 중 석가여래의 내부에서 경전과 발원문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삼세불이란 시공간적인 삼세의 부처님이라는 뜻이다. 즉 석가여래는 현세불이면서 이 세계의 부처님이고, 약사여래는 동방(東方)의 부처님이면서 과거불이며, 아미타여래는 서방(西方)의 부처님이면서 미래불을 나타낸다. -> 삼세불이란 시공간적인 삼세의 부처님이라는 뜻이다. 즉 석가여래는 이 세계의 부처님이면서 현세불이고, 약사여래는 동방의 부처님이면서 과거불이며, 아미타여래는 서방의 부처님이면서 미래불을 나타낸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3. 읽기쉬운문안 자문위원
    • 2009년 불상에 새롭게 금박을 입히는 과정 경전과 조성시기를 알 수 있는 발원문과 경전을 포함한 복장물이 불상 내부에서 발견되었다. 불상 조성 관련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발원문을 통해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존불좌상의 조성시기는 1655년이며, 조성을 주도했던 승려 장인은 녹원을 포함한 11명임을 알 수 있다. 녹원은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장인으로, 그가 조성한 존상은 현재 기장 장안사와 합천 해인사 등에 남아있다.
    • 석가여래삼존불좌상 관련 부연 설명 필요 -> 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전반적인 얼굴모습과 옷주름 조각 방식은 동일하지만, 중앙의 석가여래좌상은 좌우협시보다 크게 조성하였다. 석가여래좌상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으며, 좌우협시인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는 대칭적으로 설법인을 하고 있다.
    • 마지막 문단에는 성주사 불상의 의의를 간략히 밝힐 필요가 있음. -> 조성연대와 불상 조성을 주도했던 승려장인을 확인할 수 있는 창원 성주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17세기 중반 불교조각사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작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2차 수정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로 구성된 삼세불이다. 삼세불이란 시공간적인 삼세의 부처님이라는 뜻이다. 즉 석가여래는 현세불이면서 이 세계의 부처님이고, 약사여래는 동방(東方)의 부처님이면서 과거불이며, 아미타여래는 서방(西方)의 부처님이면서 미래불을 나타낸다.

2009년 불상에 새롭게 금박을 입히던 중 석가여래 내부에서 경전과 발원문 등의 복장유물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세 불상 모두 승려조각가 녹원(鹿元)을 포함한 총 11명의 승려조각가가 참여하여 1655년에 제작되었음이 밝혀졌다. 녹원은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장인으로, 그가 조성한 불상은 현재 기장 장안사와 합천 해인사 등에 남아 있다. 성주사의 이 삼불상은 지금까지 알려진 녹원의 작품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불상이며, 17세기 중반 불교조각사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작으로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

세 불상은 육계가 드러나지 않는 반구형 머리, 역사다리꼴 얼굴형, 두텁게 표현한 옷주름 등에서 동일한 특징을 보인다. 석가여래는 양옆의 불상보다 크게 조성해서 주불임을 강조하였다. 석가여래의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