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용인 미평리 약사여래입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이 불상은 화강암으로 만든 여래입상으로 병의 치유를 기원하면 약을 주는 '의왕불(醫王佛)'로 불린다. 또 미륵부처가 서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 마을을 ‘미륵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석불 앞에는 자연석으로 된 불단이 있고 불상의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본래는 불당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의 높이는 4.3m이다. 석불은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는데, 머리 위에는 자연석의 보개(寶蓋)가 다른 돌로 만들어져 놓여 있다. 얼굴은 신체에 비해서 큼직한 편으 로 민머리[素髮]에는 지혜를 상징하는 상투 모양의 육계(肉髻)가 있고, 이마의 중앙에는 백호(白毫)가 표현되었으며, 눈꼬리가 길게 표현된 초승달형의 눈, 오뚝한 코, 입 등이 묘사되어 있다. 두 귀는 짧게 표현되었는데, 목에는 번뇌·업(業) 고통을 상징하는 삼도(三道)가 돌려져 있다. 옷(法衣)은 양쪽 어깨를 덮은 통견(通肩)으로 U자형의 옷 주름이 흩러내리고 있다. 두 손은 가슴 앞에 두었으며, 왼손에는 깨끗한 물이 감로수를 담는 정병을 들고 있다. 민머리 위에 넓적한 보개(寶蓋)를 얹는 불상 양식은 고려 시대 이래의 지방 석불 양식으로 긴 눈, 주먹코, 길게 다문 입, 달라붙은 큼직한 귀, 체격에 비해 빈약하게 처리된 팔과 손 등의 표현에서 지방의 토속적인 특징이 잘 나타난다. 보병(寶甁)을 잡은 손은 안성 대농리 석불입상과 더불어 이 지방 약사 석불상의 한 특징을 보여준다.

수정 국문

초고

이 불상은 중생의 질병을 고쳐준다고 여겨지는 약사여래불이 서 있는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화강암으로 제작되었으며 병의 치유를 기원하면 약을 주는 ‘의왕불(醫王佛)’로 불린다. 또 미륵부처가 서 있는 마을이라 하여 이 마을을 ‘미륵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불상의 높이는 4.3m로 용인 지역의 불상 중 가장 큰 규모이며, 얼굴이 긴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는 짧아서 3등신 정도로 보인다.

돌기둥 같은 신체에 머리에는 다듬지 않은 원형에 가까운 갓을 쓰고 있다.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 있으나 발등은 노출되어 있다. 불상 앞에는 넓은 자연석을 두어 불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 불상의 가장 큰 특징은 왼손에 작은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는 것이다. 관음보살의 물건으로 알려진 정병을 부처가 들고 있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데, 관에서 주도한 것이 아니라 민간이 주도하여 만드는 과정에서 이러한 생소한 불상이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차 수정

이 불상은 약사여래를 나타낸 것으로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약사여래는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고 수명을 연장해주며, 재난에서 벗어나게 하고 음식과 옷을 제공해준다고 여겨진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이러한 특성 때문에 예로부터 일반 민중들의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불상은 높이가 4.3m이다. 얼굴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체는 짧아서 3등신 정도로 보인다. 머리에는 다듬지 않은 원형에 가까운 갓을 쓰고 있다. 양손은 가슴에 놓여있고 왼손에는 작은 병을 들고 있다.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 있으나 발등은 노출되어 있다. 불상 앞에는 넓은 자연석을 두어 불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자문의견

  1. 불교문화재 위원1
    • 첫 문장에서 불상이 어떤 시대에 제작된 불상인가를 표현해주는 것이 좋을 듯...따라서 가급적 문구를 제시할 때 시대, 어떤 불상? 어떤양식? 순으로 설명되면 좋겠음
    • 불상은 사람이 만든것인데 스스로 행위를 하고 있는 듯한 표현임 예: 갓을 쓰고 있다
  2. 불교문화재 위원2
    • 기술은 대체로 객관적으로 되어 있으나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 있으나 발등은 노출되어 있다.” 라는 서술은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 사진을 보면 두 발을 별석으로 따로 만들었던 것이 노출된 것으로 보이므로 사실 관계를 확인하여 기술을 수정하기 바란다.
    • 애초에 문화재 지정명칭이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정병을 들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이를 “약사”라고 추정한 근거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지정 명칭을 바꾸기 어렵다는 것을 전제로 약사여래에 맞춘 설명은 적절하다.
    • 민간신앙을 반영한다는 해당 문화재의 가치를 간략하게 추가하는 게 좋겠다.

2차 수정

이 불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약사여래불상이다. 약사여래불은 불교에서 모든 중생의 질병을 고쳐주고 오래살게 해주며 재난에서 벗어나게 하고 음식과 옷을 제공해주는 존재로 알려져 있어 사람들로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어왔다.

화강암으로 만든 이 불상은 높이가 4.3m이다. 얼굴이 상당히 크고 상대적으로 신체가 짧아서 3등신 정도로 보인다. 머리에는 다듬지 않은 원형으로 보이는 갓을 올렸다. 양손은 가슴에 놓았으며 왼손에는 영험한 감로수가 든 작은 병이 들려져 있다. 불상 앞에는 넓은 자연석을 두어 불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불상 주변에 돌기둥이 있는 점으로 보아, 과거에는 불상을 모셨던 불당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