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이 불상들은 중앙에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를 본존으로 하고 왼쪽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과 오른쪽에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이 좌우에서 협시하는 아미타삼존의 형식을 하고 있다.

아미타불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여래는 ‘진리로부터 진리를 따라서 온 사람’이라는 뜻으로 부처의 덕성을 표현하는 열 가지 이름 중 하나이다. 그리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며,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의미한다.

불상 안에서 발견된 발원문(發願文)을 통해 정확한 조성시기와 조성주체, 시주자 등 조성과 관련된 기록이 전해진다. 이 삼존상은 1619년에 완성되었으며, 17세기 전반에서 중반까지 활동한 수연(守衍)이라는 조각승에 의해 만들어졌다. 그는 여러 불상들을 제작하였는데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그의 초기 조각적 경향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이 삼존상은 17세기 전반기에 추구했던 대중적 평담미와 수연이 추구한 중량감 있는 형태미를 잘 보여주고 있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1차 수정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양옆에서 협시하는 삼존불이다. 아미타여래는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며,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의미한다.

이 삼존상은 1619년에 완성되었으며,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수연(守衍)이라는 승려 조각가에 의해 만들어졌다. 수연이 제작한 여러 불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그의 초기 조각적 경향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이다.

또한 이 삼존상은 17세기 전반기에 추구했던 대중적 평담미와 수연이 추구한 중량감 있는 형태미를 잘 보여주고 있는 불상으로 평가된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1
    • 아미타, 관세음, 대세지 보살의 의미를 굳이 설명할 필요가 있을지 의문임. 이 세 상을 합쳐 ‘아미타삼존’이라 부르는 것은 경전상에 이미 언급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별도 존상으로서의 의미가 중요한 것이 아님.
    • 삼존상에서 발견된 복장 유물 중 발원문을 통해 1619년 조각승 수연(守衍)이 제작한 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을 만든 수연은 17세기 전반에서 중반에 걸쳐 활동한 조각승으로서, 이 불상은 수연의 작품 중에서도 전반기에 제작된 상에 속한다.
  2. 분야별 자문위원2
    • 극락전에는 본존인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대세지와 관음보살의 아미타삼존상이 봉안되어 있다.
    • 삼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는 1619년 조각승 수연(守衍)이 제작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네모진 얼굴에 독특한 인상, 작은 머리에 비해 긴 상반신과 넓은 가슴의 신체 비례, 두꺼운 옷주름에서 오는 묵직한 중량감 등 수연의 조각적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 수연은 태전(太顚)을 도와 김제 금산사 독성상(1615) 제작 참여를 시작으로 현진과 함께 왕실발원의 서울 지장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1622)을 제작했으며, 이후 강화 전등사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1623), 익산 숭림사 영원전 지장시왕상(1624), 강화 전등사 명부전 목조지장삼존상과 시왕상(1636), 예산 수덕사 대웅전 석가여래삼불좌상(1639)을 조성했다.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은 수연의 가장 이른 작품으로 초기 불상 양식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2차 수정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양옆에서 협시하는 삼존불이다. 아미타여래는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며,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의미한다.

삼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따르면, 1619년 승려 조각가인 수연(守衍)이 제작했다고 한다. 수연은 17세기 전반 충청도, 전라도, 경기도 지역에서 활동하였으며, 이 삼존상은 수연이 제작한 여러 불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네모진 얼굴에 독특한 인상, 작은 머리에 비해 긴 상반신과 넓은 가슴의 신체 비례, 두꺼운 옷주름에서 오는 묵직한 중량감 등 수연 작품의 초기 경향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