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Bongseosa Temple, Seocheon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영문명칭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Bongseosa Temple, Seocheon
한자 舒川 鳳棲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주소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호암리 195
지정번호 보물 제1751호
지정일 2012년 2월 22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있는 불상이다. 아미타여래는 죽은 사람을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상징한다.

발원문에 따르면, 이 불상은 광해군 11년(1619)에 수연(守衍)이 제작한 것이다. 수연은 17세기 초 충청도, 전라도, 경기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 조각가이다. 이 불상은 수연이 제작한 여러 불상 가운데 이른 시기의 작품으로, 네모진 얼굴에 독특한 인상, 작은 머리에 비해 긴 상반신과 넓은 가슴의 신체 비례, 두꺼운 옷 주름에서 오는 묵직한 중량감 등 수연 작품의 초기 경향을 잘 보여 준다.

영문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Triad of Bongseosa Temple, Seocheon

This Buddhist triad consists of Amitabha (the Buddha of the Western Paradise) in the center, flanked by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and Mahasthamaprapta (Bodhisattva of Wisdom and Strength). It is believed that all beings who call the name of Amitabha while reflecting on his meritorious virtues can be reborn in the Buddhist paradise of the West.

According to a written vow found inside one of the statues, the triad was made in 1619 by a sculptor-monk named Suyeon. Suyeon was active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Chungcheong, Jeolla, and Gyeonggi regions. This particular triad is known to be his oldest extant work. The triad shows characteristics of Suyeon’s early works, such as small square faces, unusual facial features, disproportionately long upper bodies, and broad chests, as well as the stately look created by the deep creases of the robes.

영문 해설 내용

이 삼존불은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양옆의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져 있다. 아미타여래는 극락정토의 부처로, 아미타여래의 공덕을 기리고 그의 이름을 염(念)하는 모든 중생들은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삼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 따르면, 1619년 승려 조각가인 수연(守衍)이 제작한 것이다. 수연은 17세기 초 충청도, 전라도, 경기도 지역에서 활동하였으며, 이 삼존상은 수연이 제작한 여러 불상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이다. 네모진 얼굴, 독특한 인상, 작은 머리에 비해 긴 상반신과 넓은 가슴의 신체 비례, 두꺼운 옷주름에서 오는 묵직한 중량감 등 수연 작품의 초기 경향을 잘 보여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