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Mongsanhwasang yukdoboseol (Preachings on Six Realms by Buddhist Monk Mongsan) of Daegaksa Temple, Wanju |
|
대표명칭 |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
---|---|
영문명칭 | Mongsanhwasang yukdoboseol (Preachings on Six Realms by Buddhist Monk Mongsan) of Daegaksa Temple, Wanju |
한자 | 完州 大覺寺 蒙山和尙六道普說 |
주소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로 678-238 (봉동읍, 대각사) |
지정(등록) 종목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40호 |
지정(등록)일 | 2016년 12월 9일 |
분류 | 기록유산/전적류/목판본/사찰본 |
수량/면적 | 1책 |
웹사이트 |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중국의 승려 몽산화상 덕이(蒙山和尙 德異, 1231~1308 추정)가 설법한 내용을 모은 책이다. 덕이는 13세기 중국 원나라의 임제종을 대표하는 고승으로, 그의 선(禪) 사상은 고려 후기에 수용된 이후 조선 중기까지 이어졌다.
이 책은 중생들이 도를 닦아 성인(聖人)의 지위에 들어가기를 권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업보에 따라 윤회(輪回)하는 여섯 가지 길, 곧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六道)와 성문, 연각, 보살, 불의 사성(四聖) 등 총 십계(十界)에 관한 설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각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선조 원년(1568)에 논산 쌍계사에서 만든 경판으로 간행하였다. 국내외에 남아있는 판본 중 쌍계사본으로 알려진 것은 이 책 외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1점이 유일하다.
영문
Mongsanhwasang yukdoboseol (Preachings on Six Realms by Buddhist Monk Mongsan) of Daegaksa Temple, Wanju
This book kept at Daegaksa Temple is a woodblock printing of Preachings on Six Realms by Buddhist Monk Mongsan (Mongsanhwasang yukdoboseol) that was published in the Joseon period (1392-1910).
Preachings on Six Realms by Buddhist Monk Mongsan is a compilation of the teachings of the Chinese Buddhist monk Mengshan (K. Mongsan, presumably 1231-1308). Mengshan is the representative thinker of the 13th-century Linji school of Yuan China. His teachings of Meditative Buddhism were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lat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918-1392) and remained influential until the mid-Joseon period.
In this book, Mengshan teaches that one should pursue enlightenment through the cultivation of the mind. The book guides the reader through all ten realms of existence in the Buddhist cosmology, which consist of the six realms of karmic rebirth, namely hells, hungry ghosts, beasts, demi-gods (asuras), humans, and gods, as well as the four higher states of attained enlightenment, namely sravakas, pratyekabuddhas, bodhisattvas, and buddhas.
This copy was published using printing woodblocks made in 1568 at Ssanggyesa Temple in Nonsan. Another copy made using the same woodblocks is kept at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영문 해설 내용
대각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것이다.
『몽산화상육도보설』은 중국의 승려 몽산화상(1231~1308 추정)이 설법한 내용을 모은 책이다. 몽산은 13세기 중국 원나라의 임제종을 대표하는 고승으로, 그의 선(禪) 사상은 고려 후기에 수용된 이후 조선 중기까지 이어졌다.
이 책은 중생들에게 도를 닦아 성인(聖人)의 지위에 들어가기를 권하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업보에 따라 윤회하는 여섯 가지 길, 즉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상의 육도(六道)와 성문, 연각, 보살, 불의 사성(四聖) 등 총 십계(十界)에 관한 설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각사 소장본은 1568년에 논산 쌍계사에서 만든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같은 판본을 1점 소장하고 있다.
용어 참고
- 육도(六道) - six destinies: Six kinds of rebirth in saṃsāra that are undergone by sentient beings in accord with their good or evil actions carried out in their previous lifetimes.
- hell 地獄 (Skt. naraka-gati 地獄道)
- hungry ghost 餓鬼 (Skt. preta-gati 餓鬼道)
- animal 畜生 (Skt. tiryagyoni-gati 畜生道)
- asura 修羅 (Skt. asura-gati 修羅道)
- human 人間 (Skt. manuṣya-gati 人間道)
- god 天 (Skt. deva-gati 天道)
- 사성(四聖) - four kinds of sages
- sravaka, pratyekabuddha, bodhisattva and buddha
- 십계(十界) - ten realms
- Ten divisions of the unenlightened and enlightened worlds, according to level. These are the realms of: hell-being 地獄 (地獄界), hungry ghost 餓鬼 (餓鬼界), animal 畜生 (畜生界), asura 阿修羅 (阿修羅界), human 人間 (人間界), god 天上 (天上界), śrāvaka 聲聞 (聲聞界), pratyekabuddha 緣覺 (緣覺界), bodhisattva 菩薩 (菩薩界) and Buddha 佛 (佛界). The six realms from hell-being to god are the unenlightened 凡夫 realms and the four from śrāvaka to Buddha are enlightened 聖; thus 'six unenlightened, four enlightened' 六凡四聖.
문맥요소
Nodes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몽산화상육도보설 | Record |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 | |
완주_대각사_몽산화상육도보설 | Object | 완주_대각사_몽산화상육도보설 | |
덕이 | Actor | 덕이(德異,_1231-1308) | |
임제종 | Concept | 임제종 | |
은진_쌍계싸 | Place | 은진_쌍계사 | |
한국학중앙연구원 | Plac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조맹부 | Actor | 조맹부(趙孟頫_1254-1322) | |
H35-0240-0000 | heritage | (전라북도_유형문화재_제240호)_완주_대각사_몽산화상육도보설 |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
몽산화상육도보설 | 은진_쌍계사 | publisher |
완주_대각사_몽산화상육도보설 | 몽산화상육도보설 | type |
완주_대각사_몽산화상육도보설 | H35-0240-0000 | isDesignatedAs |
몽산화상육도보설 | 덕이 | contributor |
덕이 | 임제종 | isRelatedTo |
몽산화상육도보설 | 한국학중앙연구원 | currentLocation |
몽산화상육도보설 | 조맹부 | isRelatedTo |
참고자료
-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502400000 → 몽산화상육도보설은 몽산화상 덕이가 일체유심조의 입장에서 중생들이 업인에 따라 윤회하는 여섯 가지 길, 곧 지옥ㆍ아귀ㆍ축생ㆍ아수라ㆍ인간ㆍ천상 등의 육도와 성문ㆍ연각ㆍ보살ㆍ불의 사성 등 모두 십계(十界)를 설법한 내용을 모은 책이다. 13세기 중국의 임제종을 대표하는 몽산화상의 선사상이 고려 후기에 수용된 이후 조선중기까지 이어지며 『몽산화상법어약록』과 함께 한문본과 언해본이 전국에서 간행되었고 1432년(세종 14), 1472년(성종 3), 1490년(성종 21), 1497년(연산군 3) 판본 등이 알려져 있다. 국내외에 남아있는 현전본 중 은진 쌍계사본으로 알려진 것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1점이 유일하고, 사찰에서 이 서책을 소장하는 사례로도 전국에서 유일하기에 그 희소성과 특수성이 인정되며, 책의 내용 중에 원대 후기에 유행했던 조맹부의 서체와 원대의 선사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 디지털완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wanju.grandculture.net/wanju/toc/GC07000594 →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은 중생(衆生)으로 하여금 범부(凡夫)의 자리를 벗어나 성인(聖人)의 지위에 들어가기를 권하기 위해 지은 불서(佛書)로 조선시대에 널리 유통된 선종 관련 서적이다. 완주 대각사 몽산화상육도보설은 1568년(선조 1) 충청도 논산 은진(恩津)의 쌍계사(雙溪寺)에서 간행되었다. 1책 24장으로 25㎝×17㎝이며, 상하대흑구(上下大黑口)로 사주단변(四周單邊)[글 둘레에 하나의 선으로 테두리를 쳐 놓은 것]이며, 반곽(半郭)[글이 담긴 테두리 안쪽 면] 19.3×13.7㎝, 6행 13자이고, 무계(無界)[본문의 각 줄 사이를 구분하기 위해 그은 선이 없음]로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판심 중간에 있는 물고기 꼬리 문양인 어미의 바탕이 검은색이고, 위·아래의 어미가 서로 마주 보고 있는 형태]이다. 이 책은 당초 원(元)나라 때의 고승이었던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가 설법한 내용을 모은 것이다. 인간들이 업인(業因)에 따라 윤회(輪回)하는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인간(人間)·천상(天上)의 육도(六道)와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菩薩)·불(佛)의 사성(四聖)을 더한 십계(十界)에 관한 내용이 들어 있다. 핵심 내용은 첫째 만일 사람이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를 알고자 한다면 마땅히 법계성(法界性)[진여의 이치와 일치한 부처의 참모습이니, 빛도 없고 모양도 없는 근본 체성]을 꿰뚫어야 하고, 일체가 오직 마음의 지은 바임을 알아야 하며, 둘째 마음이란 신령하고 고요하고 묘(妙)해서 모든 성현의 조(祖)요, 일체법의 종(宗)으로서, 이런 마음이 발현되어 육법(六法)과 사성(四性)이 나타난다고 했다. 셋째 육도의 중생이 인과(因果)를 믿지 않고 나쁜 업을 지으면 삼악도(三惡道)에 떨어진다는 점을 밝히면서, 인과법을 믿고 도를 닦아 성인의 과정에 들어갈 것을 권했다.
- 몽산화상육도보설,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보물 제1737호, 성주사 소장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17370000 → 『蒙山和尙六道普說(몽산화상육도보설)』은 원나라의 고승인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가 중생에게 업인(業因)에 따라 윤회하는 지옥ㆍ아귀(餓鬼)ㆍ축생(畜生)ㆍ아수라(阿修羅)ㆍ인간(人間)ㆍ천상(天上)의 육도(六道)와 성문(聲聞)ㆍ연각(緣覺)ㆍ보살(菩薩)ㆍ불(佛)의 사성(四聖)을 더한 십계(十界)를 설하여 범부의 자리를 벗어나 성인의 지위에 들어갈 것을 권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는 불서(佛書)이다. 이 『몽산화상육도보설』은 홍치(弘治) 10年(1497, 연산군 3) 8월에 전라도 진안(鎭安)에 있는 용출산(聳出山) 현암(懸庵)에서 개판(開板)되었다. 판서본의 필서와 새김이 정교하며 새기자 바로 찍어내서 인쇄가 깨끗하다. 불분권 1책의 목판본으로 판식은 사주단변(四周單邊)에 반곽의 크기는 20.1×13.5cm이며, 계선은 없고 행자수(行字數)는 6행13자이다. 판구는 상하대흑구(上下大黑口)에 상하내향흑어미(上下內向黑魚尾)이다. 본문에는 필사한 구결(口訣) 표시가 있고, 난외에도 주(註)가 기록되어 있다. 표지는 선장(線裝)으로 개장(改裝)되었고 보존상태는 표지와 판심부분의 마멸·훼손(磨滅·毁損)을 제외하면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종래 알려진 조선전기의 세종 14(1432)년 판본, 성종 21년(1490)의 황해도 서진지 자비령사판본(黃海道 瑞眞地 慈悲嶺寺版本), 중종 4년(1509) 대광사판본(大光寺版本) 등의 수암(殊菴) 필서본과는 달리 이 『몽산화상육도보설(蒙山和尙六道普說)』은 1497년(연산군 3) 8월에 전라도 진안에 있는 용출산 현암에서 간행한 목판본으로 정교하고 인쇄가 선명한 점에서 판각 후 초쇄본으로 판단된다. 권말에는 간행기록과 함께 시주자 명단과 연판(鍊板) 및 각수(刻手)가 명시되어 있어 조선 전기의 불교학 및 서지학 연구에 귀한 자료가 된다.
- 몽산화상육도보설(보물 제1737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0946 → 보물 제1737호. 몽산의 여러 보설들을 선별하여 우리나라에서 편집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동일한 서명으로는 우리나라에만 전한다. 『몽산화상보설』이라는 서명의 책이 중국의 북경도서관에 소장된 사실로 보아 『몽산화상육도보설』은 그 책의 일부분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몽산의 어록과 저술을 간행한 고려의 고승은 거의 조계종에 속하고, 이들은 고려말기부터 조선 초기에 이르는 조계종에서 가장 중요한 법통을 이룩하게 된다. 이렇게 이 책을 통하여 국내에서의 몽산화상의 위상과 함께 당대의 선불교의 경향을 알 수 있는 것이다.
- [인물로 읽는 한국禪사상사] <38> 선원사와 몽산덕이의 선풍, 불교신문, 2018.11.29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70589 → 덕이는 원나라 때 선승으로, 그가 활동하던 시대는 송나라가 망하고 원나라로 접어들 때다. 덕이는 고려의 승려, 재가불자들과 서신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다. 동안(動安) 거사 이승휴(1224˜1301년)에게 서신으로 법어를 보냈고, 이승휴도 답사를 보냈는데, 이 내용이 <동안거사집>에 전한다. 앞에서 언급한 수선사 10세인 혜감국사 만항(萬恒, 1249~1319년)과 일연의 법을 이은 보감국사 혼구(混丘, 1250~1322년)도 덕이의 법을 찬탄했다. 특히 1296년 충렬왕과 고위관리 10여명은 원나라에 들어가 휴휴암을 찾아 덕이에게 법문을 직접 듣기도 했으며, 나옹혜근과 천희 등 고려 말기 고승들도 덕이의 유적지를 찾았다. <몽산화상법어약록>은 조선 초기 신미(信眉) 혜각존자(慧覺尊者, 1403~1480년)가 한글로 초역(抄譯)했다. <몽산법어>는 현재까지 우리나라 간화선의 지침서로 널리 유통되고 있으며, 덕이본 <육조단경>은 강원 교재로 사용되고, 이외 <몽산화상육도보설>, <제경촬요>, <몽산행실기>, <행적기>, <염불화두법> 등 그의 거의 모든 저작이 국내에서 발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