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Historic House of the Sajikgong Branch of the Yean Yi Clan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영문명칭 Historic House of the Sajikgong Branch of the Yean Yi Clan
한자 禮安李氏 司直公派 舊宅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127-25 (하리1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68호
지정(등록)일 1986년 12월 11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사직공파 구택은 예안 이씨 7세손 이영(李英)이 살던 집으로 중종 20년(1525)에 지었다고 한다.

이영은 조선 시대 문신인 사직공 이필간(司直公 李弼幹)의 맏아들이다. 이영은 당시 개혁 정치를 펼치던 조광조 등 사림 세력과 가깝게 교류하였다. 그러나 중종 14년(1519) 기묘사화가 일어나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동생인 이전, 이훈과 함께 아버지의 외가가 있던 풍산 지역으로 이주하였다. 이후 이필간은 예안 이씨 사직공파 파조*로 받들어졌으며, 풍산 우렁골(지금의 상리리와 하리리 지역)은 예안 이씨 후손들이 500년 이상 대대로 살면서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

이 집은 규모는 작지만, 조선 시대 경상북도 지방 주택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중문채**, 사랑채, 안채가 안마당을 가운데 두고 ‘口’ 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앞쪽 오른편에 위치한 사랑채는 1925년에 수리되었다고 한다. 안채에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방이 있고, 양쪽 날개채에는 각각 부엌과 고방***이 있다.


  • 파조(派祖): 같은 갈래에서 갈리어 나온 파(派)의 첫 번째 조상
  • 중문채: 중문(中門)이 있는 집채
  • 고방(庫房): 세간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 두는 곳

영문

Historic House of the Sajikgong Branch of the Yean Yi Clan

This historic house is said to have been built in 1525 by Yi Yeong (1482-?) of the Yean Yi Clan.

Yi Yeong was the eldest son of the civil official Yi Pil-gan (?-1514), also known as Sir Sajikgong. Yi Yeong and his two younger brothers Yi Jeon (1486-1529) and Yi Hun (1489-1552) had close ties with a group of a reform-oriented Confucian elite that became a target of political prosecution during the Literati Purge of 1519. To escape prosecution, the brothers moved to Ureonggol Village (present-day Sangni-ri and Hari-ri Villages) in Pungsan, the hometown of their paternal grandmother. Ever since then, their descendants have lived in the area, with their father as the progenitor of the local family branch.

Despite its small scale, this house is a well-preserved example of a typical upper-class residential house of the Gyeongsangbuk-do region. It consists of an inner gate quarters, a men’s quarters, and a women’s quarters, which together form a square layout with a courtyard in the middle. The men’s quarters, located in the front to the right, is said to have been repaired in 1925. The women’s quarters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underfloor-heated rooms on either side, and a kitchen and a storeroom in its wings.

영문 해설 내용

이 구택은 예안이씨 이영(1482-?)이 살던 집으로 1525년에 지었다고 한다.

이영은 조선시대 문신인 사직공 이필간(?-1514)의 맏아들이다. 이영은 당시 개혁 정치를 펼치던 사림 세력과 가깝게 교류하였다. 그러나 1519년 사화가 일어나 선비들이 화를 당하자 동생인 이전(1486-1529), 이훈(1489-1552)과 함께 아버지의 외가가 있던 풍산 우렁골(지금의 상리리와 하리리 지역)로 이주하였다. 이후 이 지역에 예안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고, 이필간은 예안이씨 사직공파 파조로 받들어졌다.

이 집은 규모는 작지만, 조선시대 경상북도 지방 주택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다. 중문채, 사랑채, 안채가 안마당을 가운데 두고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앞쪽 오른편에 위치한 사랑채는 1925년에 수리되었다고 한다. 안채에는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방이 있고, 양쪽 날개채에는 각각 부엌과 고방이 있다.

참고자료

  •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3700680000 -> 조선 중종 때 기묘사화가 일어나자 어지러운 세파를 피하여 서울에서 이곳으로 내려온 예안 이씨 7대손 이영 선생이 머물던 곳이다. 중종 20년(1525)경에 지은 것으로 전하며, 안동에서 살고 있는 예안 이씨의 큰집이었으나 1925년에 현 소유자가 사서 사랑채를 수리했다고 한다. 앞면 6칸·옆면 5칸의 ㅁ자형 집으로 비록 규모는 작으나 조선시대 이 지방의 전형적인 중·상류주택의 유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앞면 중앙에 중문을 두고 오른쪽으로 사랑방과 사랑마루를 두었다. 뒤에 위치한 안채는 중앙에 대청을 두고 좌우에 상방과 안방을 배치한 구성이다. 안채 대청 앞의 기둥은 네모기둥으로 기둥 아래를 위보다 굵게하여 강하게 하였다.
  •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911 -> 1925년 현재 소유자인 이용흠의 아버지가 매입하여 사랑채를 수리하였다고 한다. 예안이씨 사직공파 구택은 정면 6칸, 측면 5칸의 ‘ㅁ’자형 집이다. 정면 가운데에 나 있는 중문간(中門間)에 들어서면 안마당 폭을 가득 메운 안대청 2칸이 중앙에 자리 잡고 있다. 안대청의 배면에 달려 있는 띠장널창은 좌측의 문틀이 우측보다 좀 더 크며, 위틀에 가운데설주의 홈 흔적이 남아 있다. 가운데설주는 창틀 가운데에 세운 가는 기둥으로 이런 창을 영쌍창이라 하며, 18세기 이후부터 거의 자취를 감춘 고식에 속하는 창호 형식이다. 안대청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방과 안방을 두고 상방 앞으로는 부엌·고방·두지가 좌익사(左翼舍)를, 안방 앞으로는 부엌·고방이 우익사(右翼舍)를 이루게 하였다. 안방 뒷벽에는 벽장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면에는 쪽마루가 마련되어 있다. 중문간 좌측으로는 마구간과 모방을 배열하고, 우측에는 사랑 공간을 두었다. 사랑 공간은 사랑방 1.5칸과 사랑 대청 1칸이 좌우로 나란히 놓여 있다. 사랑 공간의 정면 모두에는 쪽마루를 깔았다. 건물의 구조 양식은 자연석 기단 위에 막돌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운 민도리 형식의 3량가(三樑架)에 서산각지붕을 얹었다.
  • 『2016년도 제2차 민속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문화재청, 2016.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29744&bbsId=BBSMSTR_1019&mn=NS_03_03_04
  • 상리리 예안이씨 집성촌,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163
  • 이필간, 디지털도봉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dobong.grandculture.net/dobong/toc/GC04900678 -> 이필간(李弼幹)[?~1514]은 예안 출신으로 예안 이씨(禮安李氏) 안동파(安東派)의 파조(派祖)이다. 할아버지는 세종(世宗)조에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이온(李韞)이며, 아버지는 좌찬성(左贊成) 이신(李愼), 어머니는 선공감 부정(繕工監副正) 조안도(趙安道)의 딸 정경부인(貞敬夫人) 양주 조씨(楊州趙氏)이다. 은풍 신씨(殷豐申氏)와의 사이에서 네 아들을 두었다. 음보(蔭補)로써 어모장군 행충무위부사직(禦侮將軍行忠武衛副司直)을 지냈으며 한양 동소문(東小門) 밖 소용동(所用洞)에 거주하다가 1514년(중종 9)에 세상을 떠났다. 기묘사화(己卯士禍)를 계기로 이필간의 아들들이 이필간의 신위를 안동 풍산현으로 옮겨 사당에 모시고 예안 이씨 파조로 추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