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진성이씨 두솔원재사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안동 진성이씨 두솔원재사
Dusorwonjaesa Ritual House of the Jinseong Yi Clan, Andong
안동 진성이씨 두솔원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진성이씨 두솔원재사
영문명칭 Dusorwonjaesa Ritual House of the Jinseong Yi Clan, Andong
한자 安東 眞城李氏 兜率院齋舍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학가산온천길 143-15 (서후면 명리)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8호
지정(등록)일 2011년 6월 2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안동 진성이씨 두솔원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두솔원재사는 안동에 처음 정착한 진성 이씨인 송안군 이자수(松安君 李子脩)의 묘소를 관리하고 묘제를 지내는 곳이다. 재사 북서쪽의 언덕에 이자수와 부인의 묘소가 있다. 두솔원이라는 명칭은 재사가 위치한 마을의 이름에서 따왔다. 조선 시대에 이 마을에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관원이나 선비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운영하던 두솔원이라는 여관이 있었다.

이자수는 진성 이씨의 시조 이석의 아들이며, 고려 시대의 문신이다. 충숙왕 17년(1330)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고, 공민왕 10년(1361)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워 공신이 되었다. 원래 진보(지금의 청송 지역)에 살고 있었으나, 말년에 마라촌(지금의 안동 풍산읍 마애리)으로 이주하였으며, 이후 안동 지역에 진성 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두솔원재사를 처음 지은 시기는 알 수 없다. 원래 재사 뒤쪽 밭이 있는 자리에 있었으나 1700년대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지금의 건물은 2017년 대대적으로 고쳐 지은 것이다.

영문

Dusorwonjaesa Ritual House of the Jinseong Yi Clan, Andong

Dusorwonjaesa Ritual House is used for the preparation of veneration rituals and the maintenance of the tomb of Yi Ja-su, a civil official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who became the first person of the Jinseong Yi Clan to settle in Andong. The tomb of Yi Ja-su and his wife is located on the hill to the northwest of the ritual house.

Yi Ja-su was the son of Yi Seok, the founder of the Jinseong Yi Clan.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330 and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In 1361, he was bestowed with the title of meritorious subject for his contribution in the defeat of the Red Turban invasion in 1359. Originally from Jinbo (present-day Cheongsong), Yi moved to Marachon Village (present-day Maae-ri, Pungsan-eup, Andong) in his later years. His descendants have lived in the Andong area ever since.

It is unknown when Dusorwonjaesa Ritual House was first established. It is said to have been moved in the 18th century to its current location from its original location on the site of the field behind the house. The house underwent a large-scale renovation in 2017.

The name Dusorwonjaesa means “Ritual House of Dusorwon,” referring to the name of an inn that was located in the village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Operated by the government, the inn served as accommodation for officials and literati traveling long distances.

영문 해설 내용

두솔원재사는 고려시대의 문신이자 진성이씨 중 안동에 처음 정착한 이자수의 묘소를 관리하고 묘제를 준비하는 곳이다. 재사 북서쪽의 언덕에 이자수와 부인의 묘소가 있다.

이자수는 진성이씨의 시조 이석의 아들이다. 1330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지냈고, 1361년 홍건적의 침입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워 공신이 되었다. 원래 진보(지금의 청송 지역)에 살고 있었으나, 말년에 마라촌(지금의 안동 풍산읍 마애리)으로 이주하였고, 이후 안동 지역에 진성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두솔원재사를 처음 지은 시기는 알 수 없다. 원래 재사 뒤쪽 밭이 있는 자리에 있었으나 18세기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고 한다. 지금의 건물은 2017년 대대적으로 고쳐 지은 것이다.

두솔원이라는 이름은 재사가 위치한 마을의 이름에서 따왔다. 조선시대 이 마을에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관원이나 선비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에서 운영하던 두솔원이라는 여관이 있었다.

참고자료

  • 두솔원재사, 진성이씨 대종회 http://www.jinseong.org/ -> 이 재사가 있는 곳은 원래 객관(客館)이 있던 곳이었다. 속명으로는 ‘두실원’이라 부른다. 재사는 당초 재사 뒤 밭에 있다가 삼 백여 년 전에 현 위치로 옮겼다 한다. 전설에 의하면, 10월 14일에 재계하는데, 제사 음식이 정결치 못한 일이 있었다. 그런데 한 밤중에 호랑이가 이 집을 타넘고 다닌 이변이 있었다 한다. ‘두솔원재사(兜率院齋舍)’라고 쓰여진 현판 1개가 마루 위에 걸려 있다. 21세 후손 이대석씨가 22년째 재사를 관리하고 있다. 묘소는 재사 뒤편에 있다. 재사 입구에는 송안군 유허비 1기가 서 있다.
  • 안동 진성 이씨 두솔원 재사,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30006 -> 안동 진성 이씨 두솔원 재사는 진성 이씨 안동 입향조인 송안군(松安君) 이자수(李子脩)의 묘소와 묘제를 받들기 위해 지은 재실이다. 2011년 6월 2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588호로 지정되었다. 1700년대에 현재 위치로 이건하였다고 전해지지만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다. 다만 부재의 상태와 평면 형태, 창호의 구성 수법 및 부재의 치목 기법 등에서 1700년대 재실 건축물의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건축적 완성도는 약하지만 건축 형식이나 수법에서 고식을 찾을 수 있고, 평면 형태가 주거 건축과 유사한 점 등은 안동 지역의 다양한 재실 건축의 유형을 보여 준다.
  • 안동 진성이씨 두솔원재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5880000 -> 두솔원재사는 1700년대에 현지로 이건하였다고 전해지며 정확한 년대는 알 수 없다. 다만 부재의 상태등과 평면형태, 창호의 구성수법 및 부재의 치목기법 등으로 미루어 보아 이건시기와 부합하다고 보여 지며 이건당시의 모습을 많이 가지고 있다. 전체적인 모습은 소박한 재실건물이며, 목부재에 헛구멍이 많은 등 현재의 보존상태가 좋지 않고 이건시 배면 창호가 일부 변형된 부분은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적 완성도가 약함에도 불구하고 건축형식이나 수법에서 고식을 찾을 수 있고, 평면형태가 주거건축과 유사한 점 등은 안동지역의 다양한 재실건축의 유형을 보여주는 예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근년에 개조된 문을 복원하고 부설된 가설창고를 없앤다면 가치가 충분하다.
  • 송안군묘소 시제를 다녀와서, 오토산, 다음 블로그, 2019.11.12. https://blog.daum.net/uh512/12392 -> 송안군은 진성이씨 시조 이석(李碩)의 아들로, 안동 마라촌(마애)로 옮겨 살았던 안동 입향조로,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안사공신 송안군(安社功臣 松安君)에 봉해지고 서후면 명리에 묻혔다. 두솔원재사는 송안군묘소 아래 위치하며 1700년경에 옮겨지었다는 전설이 있으나 상고할 문헌이 없고 300여년이 넘는 건물로 건축구조와 역사성을 고려하여 2011년 경상북도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재사가 바람에 씻기고 퇴락하여 기울어져 있는 상태로 전체적인 보수가 시급한 상태에서 대종회장님의 적극적인 추진으로 도비 6억원의 예산으로 2017년부터 전면보수 중에 있으며(2019년 포스팅) 중수기는 22세손 이동수 안동문화원장이 썼다.
  • (참고) 삽짝풍수, https://blog.naver.com/kwongunho/30166034832 -> 이자수의 산소는 안동시 서후면 명리 마을에 있다. <중략> 진성이씨 『오가세록』의 이자수 묘갈기에 “공의 묘소는 안동부 서쪽 두실원 뒷골에 있는데, 예로부터 묘갈이 없어 상하 두위에서 어느 것이 고위이고 어느 것이 비위인지 판단하지 못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때문인 듯 실제로 두 묘 모두에 갈석을 세워 놓았다.
  • 명리,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0228 -> 도솔원(兜率院)은 조선 세조(世祖) 때 관원이나 선비들이 왕래하다가 날이 저물면 묵던 여관인 도솔원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원은 역과 역 사이 인가가 드문 곳에 설치했던 국가에서 운영하는 일종의 여관으로 안동 지역에는 안기역을 포함하여 7개의 역과 제비원을 비롯한 17개의 원이 설치되어 있었다. 『영가지』에 따르면, 도솔원 동쪽에는 높이 2.3m가량의 미륵불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직전에는 불상에서 간장 같은 땀이 흐르고 배꼽에서는 샘처럼 솟아 국난을 미리 예견하기도 했다는 전설이 전해 온다.
  • 진성이씨, 디지털안동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andong.grandculture.net/andong/toc/GC02401126
  • 이자수, 디지털청송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cheongsong.grandculture.net/cheongsong/toc/GC06800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