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도동서원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천 도동서원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Gimcheon
김천 도동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천 도동서원
영문명칭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Gimcheon
한자 金泉 道東書院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리 481-2
지정(등록) 종목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63호
지정(등록)일 2018년 7월 16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원
수량/면적 1동, 130.97㎡
웹사이트 김천 도동서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도동서원은 선조 21년(1588)에 이숭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에서 시작되었으며, 영조 47년(1771)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서원을 건립하였다. 정조 12년(1788)에 이숙기, 이호민을 모셨고, 정조 21년(1797)에는 이숙함과 이후백을 추가로 모셨다.

도동서원은 이숭원(李崇元), 이숙기(李淑琦), 이숙함(李淑瑊), 이호민(李好悶), 이후백(李後白) 등 연안이씨 가문의 선조 5명을 기리던 서원이다. ‘다섯 현인을 모신 서원’이라는 뜻에서 ‘오현원(五賢院)’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고종 5년(1868)에 서원철폐령이 내려지면서 고종 6년(1869)에 강당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훼철되자 연안이씨 후손들은 선조를 모시는 제향공간과 교육을 담당하는 강학공간을 분리하였다. 상좌원리에는 고종 34년(1897) 경덕사를 세워 이숭원의 영정(경상북도 유형문화재)을 모셨고, 이숙기의 위패는 상원리에 기존 사당인 관락사를 중수하여 모셨다. 도동서원이 있던 자리에는 1918년 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이경균(李璟均)이 강당인 명례당(明禮堂)을 다시 지었다. 현재 경내에는 외문과 명례당만 남아 있다.

영문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Gimcheon

A Confucian academy, called seowon in Korean, is a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usually combined the functions of a Confucian shrine and a lecture hall.

Dodongseowon Confucian Academy was dedicated to five ancestors of the Yeonan Yi Clan, namely Yi Sung-won (1428-1491), Yi Suk-gi (1429-1489), Yi Suk-ham, Yi Ho-min (1553-1634), and Yi Hu-baek (1520-1578). The academy was also known by the name Ohyeonwon meaning “Academy of the Five Sages.”

The history of the academy goes back to 1588 when a shrine was built to venerate Yi Sung-won. In 1771, the shrine was moved to this location and expanded into a Confucian academy. Yi Suk-gi and Yi Ho-min were added in 1788 and Yi Suk-ham and Yi Hu-baek were added in 1797.

In 1869, the academy was demolished when most Confucian shrines and academies were shut down by a nationwide decree. so the descendants of the clan decided to separate the veneration and educational spaces. In 1897, the descendants of Yi Sung-won built Gyeongdeoksa Shrine in Sangjwawon-ri Village where they lived to enshrine their ancestor’s portrait (Gyeongsangbuk-do 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ddition, the spirit tablet of Yi Suk-gi was moved to Gwallaksa Shrine in Sangwon-ri Village, where his descendants lived. In 1918, the scholar and prominent lead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Yi Gyeong-gyun (1850-1922) built a lecture hall called Myeongnyedang here at the former site of the academy, which remains to this day along with a gate quarters.

영문 해설 내용

서원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교육기관으로, 선현 제향과 교육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도동서원은 이숭원(1428-1491), 이숙기(1429-1489), 이숙함, 이호민(1553-1634), 이후백(1520-1578) 등 연안이씨 가문의 선조 5명을 기리던 서원이다. ‘다섯 현인을 모신 서원’이라는 뜻에서 ‘오현원’이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도동서원의 역사는 1588년 이숭원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에서 시작되었고, 1771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 서원을 건립하였다. 1788년에는 이숙기와 이호민을, 1797년에는 이숙함과 이후백을 추가로 모셨다.

1869년 서원철폐령으로 서원이 헐리자 연안이씨 후손들은 선조를 모시는 제향공간과 교육을 담당하는 강학공간을 분리하기로 하였다. 이숭원의 후손들이 주로 모여 사는 상좌원리에는 1897년 경덕사를 세워 이숭원의 영정(경상북도 유형문화재)을 모셨고, 이숙기의 위패는 그의 후손들이 사는 상원리 관락사에 옮겨 모셨다. 도동서원이 있던 자리에는 1918년 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이경균(1850-1922)이 강당인 명례당을 다시 지었다. 현재 경내에는 외문과 명례당만 남아 있다.

참고자료

  • 김천 도동서원, 『김천의 문화재』, 81쪽. (김천시청 제공 자료)
  • 연안이씨, 디지털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0740 → 연안이씨 김천 입향조는 중시조로부터 5세(世)인 이보정과 이말정이다. 이보정의 후손은 김천시 구성면 상좌원리에, 이말정의 후손은 구성면 상원리와 부항면 사등리에 집성촌을 이루면서 상좌원파(上左院派)를 형성했다. 이보정은 조선 전기 병조판서와 대제학을 역임했고 이들 이숭원(李崇元)은 성종 때 예빈소윤(禮賓少尹)을 지낸 뒤 구성면 상원리에 입향했다. 이말정의 4남인 이숙기(李淑琦)는 호조판서를 지내고, 좌리공신으로 녹권되는 등 조선 말까지 명문가로서 김천의 대표적인 사대부가로 불렸다.
  • 상원리·상좌원리 연안이씨 문중 가례, 디지털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dir/GC03201642 -> 붕당과정에서 남인계열에 선 상좌원리에서는 노론계를 따른 맞은편 상원리 연안이씨와 정치, 학문적으로는 차이를 보였으나 관혼상제를 비롯한 예(禮)에서 큰 차이는 없었다.
  • 도동서원, 서원연합회. http://www.seowonstay.com/bbs/board.php?bo_table=slist&wr_id=1022 → 1648년(인조 26) 연안 이씨 문중은 상좌원리의 현조이자 불천위인 충간공 이숭원을 제향하기 위해 도동서원을 건립하였다. 이후 1771년(영조 47)에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 그 해 이숭원을 불천위로 하여 정양공 이숙기를, 1796년(정조 20) 이숙기의 증손이면서 예조판서를 지낸 문희공 이호민을, 다음 해 이숙기의 동생 문장공 이숙함을, 이숙기의 증손 문청공 이후백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5명이 배향되면서 도동서원(道洞書院)은 ‘오현원(五賢院)’이라 불리기도 했다. 1871년(고종 8)에 서원철폐령의 실시로 훼철되었다. 훼철 과정에서 제향 공간과 강학 공간을 분리하여 유지·지속시키고자 했다. 훼철 직후 상좌원리 충간공파 종중은 이숭원의 영정을 이장원의 재실이었던 충효당에 임시로 이전하였다. 그 뒤 1897년(고종 14) 상좌원에 경덕사를 세워 이숭원의 영정[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69호, 현재 명칭 이숭원 초상화]을 모셨다. 현재 경덕사에는 이숭원뿐 아니라 상좌원리의 중시조 이장원[1560~1649], 도동서원 건립에 노력한 이민관을 배향하고 있다. 상원리 종중에서는 이숙기의 위폐를 이숙기 후손들이 거주하는 원터마을로 옮겨 명성재[별칭 경호영당]에 모셨다. 그 뒤 1918년 이경균[1850~1922]의 주도로 도동서원 옛 강당터에 명례당을 재건하여,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 이숭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920
  • 이숙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874
  • 이숙함(이숙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4884
  • 이호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549
  • 이후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6655
  • 이시애의 난 진압 공신록에 오른 이숙기 선생 불천위 모셔, 경북일보, 2011.06.02.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1149 → 이 마을에 연안이씨들이 세거하게 된 것은 조선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1395~1461)이 낙향하면서부터다. 이말정은 지품에 내려온지 얼마안돼 감천이 범람하면서 가옥과 전답이 침수되자 거창군 모곡면(못질)으로 이사했다. 이후 다시 지품으로 돌아와 별세했다. / 그의 다섯 아들 중 숙황, 숙형, 숙규, 숙기는 문과에, 숙함은 무과에 각각 급제해 요직에 등용되면서 국가와 사회의 동량이 됐다. 불천위 이숙기(1429~1489)는 이말정의 넷째아들로 본관은 연안이고 시호는 정양이다. 1453년(단종1) 진사시에 2등으로 합격했고 같은해 무과에 장원급제했으며 이조참판과 호조참판을 지냈다. 이시애의 난을 진압할 당시 전북장군 강순 휘하의 맹폐장으로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절충장군에 특진되고 적개공신 1등에 책록됐다. 이숙기는 공신책록을 통해 나라에서 부조의 명을 내린 국천불위다. 매년 음력 11월 4일이 불천위 기일이며 그 비위의 기은 음력 4월 10일이다. 종택에서는 고조고비위 3위를 포함해 총 11회의 4대조 기제사를 모시고 있으며 정월 설날과 팔월추석에는 차사(茶祀)를 지낸다. 예전에는 단오와 한식에도 제사를 지냈으나 현재는 지내지 않는다고 한다.
  • [종가] 34. 김천 연안 이씨 정양공파, 경북일보, 2016.11.06.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975507 → 김천시 구성면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연안 이씨는 정양공 이숙기를 현조로 하는 정양공파와 충간공 이숭원을 현조로 하는 충간공파로 갈라진다. 원래 연안 이 씨는 지금의 서울시 중구 필동 일대를 기반으로 세거해왔으나, 1400년 무렵 연성부원군 이말정이 김천시 구성면 지품 마을에 터를 잡으면서 김천지역에 세거하기 시작했다. 이말정의 후손들은 지품 마을의 인근으로 점차 확산해 갔는데, 특히 황계천을 사이에 둔 상원리와 상좌원리에 밀집해 있다. 그중에서도 상원리에는 정양공파 후손들이, 상좌원리에는 충간공파 후손들이 터를 잡았다.
  • [甘川 百五十里를 가다 .24] 구성면 이숭원 초상화, 영남일보, 2013.09.24.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30924.010150744530001 -> (요약)방계 후손 이호민의 꿈에 이숭원이 나타난 이후 문중의 후손들이 세거하던 상좌원리의 도동서원으로 초상화가 모셔졌다. / 이숭원의 초상화는 19세기 중반 서원철폐령으로 상좌원리의 충효당으로 옮겨졌다. 1897년 후손인 학계(鶴溪) 이규성(李圭性)이 경덕사를 지어 영정과 위패를 모시면서 지금의 자리에 오게 됐다.
  • 김천 도동서원, 사랑이 메아리치는 집, 다음 블로그, 2020.01.26. https://blog.daum.net/kakhabang/2371 → 서원 사진 비교적 상세 / 충효당, 경덕사 정보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