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 계림사 석조나한좌상
김천 계림사 석조나한좌상 Stone Seated Arhat of Gyerimsa Temple, Gimcheon |
|
대표명칭 | 김천 계림사 석조나한좌상 |
---|---|
영문명칭 | Stone Seated Arhat of Gyerimsa Temple, Gimcheon |
한자 | 金泉 鷄林寺 石造羅漢坐像 |
주소 |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동부1길 212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21호 |
지정(등록)일 | 2014년 10월 20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김천 계림사 석조나한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이 불상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깨달음을 얻은 제자인 나한을 나타낸 것으로 여겨진다. 원래 인근 산기슭에 있었는데 계림사 경내로 옮겨 모셨다고 한다.
높이 170cm, 너비 170cm, 두께 30cm 크기의 바위 표면에 나한의 모습이 3cm 정도 깊이로 얕게 양각되어 있다. 나한은 결가부좌하고 앉아 머리에 귀를 덮는 두건을 쓰고 있고, 두 손은 깍지를 낀 채 엄지를 맞대고 있다. 이러한 손 모양은 다른 불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두건을 쓴 불상도 현재 남아 있는 사례가 매우 적다.
영문
Stone Seated Arhat of Gyerimsa Temple, Gimcheon
This Buddhist sculptur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at the turn of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It is presumed to depict an arhat, or a person who has attained enlightenment through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t is said that the sculpture was originally located at the foot of the nearby mountain and was later moved to be enshrined inside Gyerimsa Temple.
The image is carved in relief at a depth of about 3 cm on a boulder measuring 170 cm in height, 170 cm in width, and 30 cm in depth. The arhat is depicted seated with his legs crossed. His hands are clasped together with his thumbs pressed against each other. This hand gesture has not been seen in other Buddhist sculptures. He wears a hood over his head, which is also uncommon among extant Buddhist sculptures.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고려 말에서 조선 초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아 깨달음을 얻은 제자인 나한을 나타낸 것으로 여겨진다. 원래 인근 산기슭에 있었는데 계림사 경내로 옮겨 모셨다고 한다.
높이 170cm, 너비 170cm, 두께 30cm 크기의 바위 표면에 나한의 모습이 3cm 정도 깊이로 얕게 양각되어 있다. 나한은 결가부좌하고 앉아 머리에 귀를 덮는 두건을 쓰고 있고, 두 손은 깍지를 낀 채 엄지를 맞대고 있다. 이러한 손 모양은 다른 불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두건을 쓴 불상도 현재 남아 있는 사례가 매우 적다.
참고자료
- 김천 계림사 석조나한좌상, 『김천의 문화재』, 78쪽. (김천시청 제공 자료)
- [류혜숙의 여행스케치] 김천 개령면 감문산 계림사, 영남일보, 2015.07.24.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50724.010360818190001 → 이미지 출처 / 계림사(鷄林寺)는 도리사와 직지사를 창건한 아도화상이 신라 눌지왕 때인 419년에 초창했다고 전해진다. 창건 이후 조선 후기에 중창될 때까지 계림사의 자세한 연혁은 전해지지 않는다. 순조 때 중창이 있었고, 1922년에 중건되었으며, 현재의 건물들은 1990년대의 것이라 한다. 계림사의 창건에는 이 산의 기를 누르기 위해 아도화상이 절을 짓고 닭 천 마리를 기르면 나쁜 일이 사라질 것이라 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의 말대로 절을 짓고 닭을 기르자 안 좋은 일들은 모두 사라졌고, 이후 닭 기르기를 대신해 절 이름을 계림사(鷄林寺)로 고쳤다 한다. / 대웅전 옆 노천에 마애불이 한 분 계신다. 작은 절집이지만 꼭꼭 숨겨진 것처럼 자리하고 계신다. 높이가 170㎝, 두께 30㎝가량의 바위 표면에 3㎝ 정도의 깊이로 얇게 부조된 부처님이시다. 10년쯤 전, 인근 산기슭에 묻혀 있던 것이 홍수 때 발견되어 계림사에 모셨다 한다. 머리에 두건을 쓰고 결가부좌한 모습으로 대부분 흐릿한데 손만이 뚜렷하다. 앙상한 두 손을 깍지 끼고 엄지를 맞대고 있는 수인으로 이 마애불을 제외하고는 알려진 바가 없다고 한다. 두건을 쓴 모습도 그 예가 매우 드물어 희귀한 마애불로 여겨진다. 조성 연대는 알 수 없지만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로 추정하고 있다. 두 손을 모은 모습이 너무나 간절하다. 누구의 기원이 깃들었기에 저리도 간절할까. 아주 빼어난 솜씨는 아니지만, 자꾸만 바라보게 되는 모습이다. 석공의 소원 같기도 하다.
- 김천 계림사, 낭만적 이데아, 네이버 블로그, 2019.10.23. https://blog.naver.com/pjk3108/221686032437 → 마애지장보살은 절 마당 왼편 언덕 위 솔숲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 홍수로 인해 토사가 쓸려 내려와 발견되었다고 한다. 옛 절터 기슭에 자리하고 있던 불상은 2004년에 현재의 장소로 이안하여 모시고 있다고 한다. (이 포스팅 외에 정확한 날짜가 언급된 기록이 없으므로 본문에는 2000년대 초반으로 작성함 / 확인 요)
- 동부리 마애지장보살석불좌상, 디지털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0556
- 서울 승가사 석조승가대사좌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