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계룡산 중악단
공주 계룡산 중악단 Jungakdan Shrine in Gyeryongsan Mountain, Gongju |
|
대표명칭 | 공주 계룡산 중악단 |
---|---|
영문명칭 | Jungakdan Shrine in Gyeryongsan Mountain, Gongju |
한자 | 公州 鷄龍山 中嶽壇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양화리 산8번지 |
지정(등록) 종목 | 보물 제1293호 |
지정(등록)일 | 1999년 3월 2일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일곽(3동) |
웹사이트 | 공주 계룡산 중악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공주 계룡산 중악단은 조선 시대에 계룡산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운 건축물이다.
계룡산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것은 1394년(태조 3)부터라고 한다. 무학대사(無學大師)의 꿈에 신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계룡산 신원사 경내에 계룡단(鷄龍壇)이라는 단을 쌓은 후 제사를 올린 것이 그 시초이다. 이후 1651년(효종 2)에 폐지되었다가 1879년(고종 16) 명성황후(明成皇后)의 명으로 다시 세우면서 중악단(中嶽壇)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계룡산이 북쪽 묘향산의 상악단(上嶽壇)과 남쪽 지리산의 하악단(下嶽壇)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현재 상악단과 하악단은 사라졌고, 중악단만이 남아 있다. 중악단의 건물은 대문간채, 중문간채, 본전(本殿)을 일직선상에 배치했으며, 중문채와 본전 사이에 돌과 벽돌을 깔아 신도(神道)를 조성하였다. 본전 안에는 계룡산 신의 신위와 영정을 모셨다.
영문
Jungakdan Shrine in Gyeryongsan Mountain, Gongju
Jungakdan Shrine was established in the Joseon period (1392-1910) for the performance of veneration rituals dedicated to the spirits of Gyeryongsan Mountain.
Gyeryongsan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auspicious mountain. It is said that after the Buddhist monk Muhak, who was the royal preceptor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r. 1392-1398), saw a mountain spirit in his dream, he built an altar named Gyeryongdan on the premises of Sinwonsa Temple on Gyeryongsan Mountain and began performing rituals in 1394. In 1651, the rituals were stopped. In 1879, the altar was rebuilt on the order of Queen Min (1851-1895, posthumously Empress Myeongseong) and renamed Jungakdan, meaning “Shrine of the Central Peak.” This is because it is located between Sangakdan Shrine in Myohyangsan Mountain to the north and Haakdan Shrine in Jirisan Mountain to the south. Sangakdan Shrine and Haakdan Shrine no longer remain.
Jungakdan Shrine consists of a gate quarters, an inner gate quarters, and a main building aligned one in front of the other from front to back. Between the inner gate quarters and the main building, there is a path made of stones and bricks that reserved for use by the spirits. Spirit tablets and portraits of the spirits of Gyeryongsan Mountain are enshrined in the main building.
영문 해설 내용
중악단은 조선시대에 나라에서 계룡산 산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세웠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다. 조선시대에는 태조(재위 1392-1398)의 왕사였던 무학대사(1327-1405)가 꿈에 산신을 본 뒤, 계룡산 신원사 경내에 계룡단이라는 제단을 쌓고 1394년부터 제사가 거행되었다고 한다. 제사는 1651년에 폐지되었다가, 1879년 명성황후(1851-1895)의 명으로 제단을 다시 세우고 중악단이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이는 계룡산이 북쪽 묘향산에 있던 상악단과 남쪽 지리산에 있던 하악단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현재 상악단과 하악단은 사라졌다.
중악단의 건물은 대문간채, 중문간채, 본전(本殿)을 일직선상에 배치했으며, 중문채와 본전 사이에 돌과 벽돌을 깔아 신도(神道)를 조성하였다. 본전 안에는 계룡산 산신의 신위와 영정을 모셨다.
문맥요소
Nodes
ID | Class | Label | Description |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Place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
B00-1293-0000 | Hertitage | (보물_제1293호)_공주_계룡산_중악단 | |
산신각 | Concept | 산신각 | |
무학대사 | Actor | 무학대사(無學大師,_1327-1405) | |
계룡단 | Concept | 계룡단(鷄龍壇) | |
명성황후 | Actor | 명성황후(明成皇后,_1851-1895) | |
묘향산_상악단 | Place | 묘향산_상악단 | |
지리산_하악단 | Place | 지리산_하악단 | |
신원사 | Place | 신원사 |
Links
Source | Target | Relation |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신원사 | currentLocation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산신각 | type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무학대사 | isRelatedTo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명성황후 | isRelatedTo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묘향산_상악단 | isRelatedTo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지리산_하악단 | isRelatedTo |
계룡단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hasOldName |
공주_계룡산_중악단 | B00-1293-0000 | isDesignatedAs |
참고자료
- ‘공주 계룡산 중악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412930000
- ‘공주 계룡산 중악단’,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97298&cid=40942&categoryId=37404
- ‘공주 계룡산 중악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3093
- ‘공주 계룡산 중악단’, 디지털공주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ongju.grandculture.net/gongju/toc/GC01700663
- ‘공주 계룡산 중악단’,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29456&cid=42856&categoryId=42856
- ‘단묘’, 디지털함안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haman.grandculture.net/haman/toc/GC0620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