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호(창원 진해 제포진성)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건호 乾濠
Goto.png 종합안내판: 창원 진해 제포진성


해설문

기존 국문

신규

수정 국문

초고

건호(乾濠)는 물을 채우지 않고 외부의 침입을 방어하는 마른 해자(垓子) 형태의 시설물로 외황(外隍)이라고 일컬어지기도 한다.

제포진성의 건호는 서벽을 제외한 동벽, 남벽, 북벽에 그 형태가 남아있다. 서벽은 바다와 접해 있어 해자를 조성할 필요가 없었으며 나머지 세 면은 침식성 저구릉에 위치하여 물을 가둘 수 없었던 지형적 형태에 기인하여 건호를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북문에서 북동벽 치 사이의 건호는 멸실되었고 남벽 중앙부의 건호는 확인되지 않았다.

1차 수정

건호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밖을 둘러 판 시설이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땅을 판 뒤에는 물을 채워 해자(垓子)를 조성하는데, 환경에 따라 이와 같은 마른 해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제포진성에는 동벽, 남벽, 북벽에 건호의 형태가 남아있다. 서벽은 바다와 접해 있어 해자를 조성할 필요가 없었고, 나머지 세 면은 침식성 저구릉에 위치하여 물을 가둘 수 없었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일반적으로 이렇게 땅을 판 뒤에는 물을 채워 해자(垓子)를 조성하는데, 환경에 따라 이와 같은 마른 해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 일반적으로는 땅을 파고 물을 채워 해자(垓子)를 조성하는데, 환경에 따라 마른 해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2. 분야별 자문위원 2
    • 건호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밖을 둘러 판 시설이다. → ‘건호는 구릉지에 위치한 성에서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벽 밖 경사면에 둘러 파 놓은 도랑이다.’ 정도가 좋을 듯하다.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양호합니다.

2차 수정

건호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벽 밖을 둘러 판 시설이다. 일반적으로는 땅을 파고 물을 채워 해자(垓子)를 조성하는데, 환경에 따라 마른 해자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제포진성에는 동벽, 남벽, 북벽에 건호의 형태가 남아있다. 서벽은 바다와 접해있어 해자를 조성할 필요가 없었고, 나머지 세 면은 침식성 저구릉에 위치하여 물을 가둘 수 없었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우리문화재연구원, 『창원 진해 제포진성 – 정밀지표조사보고서』,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