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시민들이 계엄령 철폐, 신군부 퇴진, 민주정부 수립 등을 주장하며 전개한 민주화운동이다. 무장저항이라는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 수준의 저항을 행사한 사건으로 공식명칭은 5.18광주민주화운동이다. 아시아지역 민주화운동에 끼친 영향이 인정되어 2011년 5.18민주화운동 기록물이 유네스코 인권분야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10.26 이후 정권을 장악한 전두환 등 신군부는 5월 17일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 등 주요 정치인과 정동년 등 광주지역 재야인사와 학생회 간부 등을 구속한다. 또 휴교령을 내리고 각 대학에 계엄군을 주둔시킨다. 이런 상황에서 휴교령이 내리면 교문 앞으로 모인다는 결의에 따라 전남대 정문으로 모인 전남대 학생들은 학교 진입을 시도하다 공수부대에 의해 강제 해산되자 광주역에 재집결해 시위를 계속하며 광주민주화운동이 시작되었다. 시위대가 늘어나자 공수부대는 무차별 진압에 나서 학생으로 보이는 젊은이들을 마구 구타하고 찌르는 등 만행을 자행했다. 계엄군의 과잉무력진압은 오히려 시민들의 반감을 샀다. 19일에는 계엄군의 만행에 분노한 시민들이 봉기했으며, 고등학생까지 가담해 시위는 더 격화되면서 시민봉기로 국면이 전환되었다. 20일 오후에는 버스기사와 택시기사들이 몰고온 대형버스와 트럭을 앞세워 밤늦게까지 전남도청을 지키는 군경을 압박하자, 밤 11께 공수부대는 시위군중을 향해 집단발포를 자행했다. 21일 군용트럭 등으로 전력을 강화한 시위대에 공수부대가 급기야 조준사격을 하자 무장의 필요성을 절감한 시민들은 화순 나주 등 시외지역에서 무기를 탈취, 반입해 계엄군과 시가전을 벌인다. 총격전으로 양측에서 많은 사상가 발생했으며 21일 오후 5시부터 8시 사이에 계엄군은 광주에서 외곽지역으로 퇴각하였다.
22일 광주를 장악한 시민군은 수습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민주수호범시민궐기대회를 열어 시민들의 요구사항을 알리고 공동체 구현 등 새로운 시도에 나섰다. 시민들은 빠르게 질서를 회복하고, 부상자들이 입원한 병원에는 헌헐하려는 사람들이 줄을 이었다. 경찰의 치안활동이 없었음에도 은행 같은 금융기관이나 귀금속점에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사태 수습 방법과 협상내용과 방식, 무기회수 등을 둘러쌓고 수습위 내부는 물론 시민들 사이에도 의견이 크게 엇갈렸다. 이에 끝까지 싸울 것을 주장한 일부 학생들은 25일 밤 새로운 지도부를 자처한 민주시민투쟁위원회를 구성하고 도청 사수에 나선다. 27일 새벽 탱크 등으로 무장한 2만 5000여 계엄군의 대대적인 무력진압이 시작되어, 총격전 끝에 새벽 5시 20분께 전남도청을 완전히 장악한다. 계엄군은 도청에 있던 시민군 200 여 명을 전원 연행하는 한편 오전 가택수색을 펼쳐 수습위 참여자 등 광주민주화운동 관련자 다수를 군부대인 상무대로 연행되었다. 27일 사망한 시민은 도청과 그 주위에서 진압작전 당시 사망한 17명을 포함 약 25명이다. 이 들 대부분 계엄군이 쏜 M16 소총에 의해 희생되었다. 5.18민주화운동 기간 중 피해자는 총 5,517명이다.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사망자 155명, 상이 후 사망자 110명, 행방불명자 81명, 부상자2,461명, 연행구금부상자 1,145명, 연행 및 구금자 1447명, 재분류 및 기타 118명 등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