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관

From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Jump to: navigation, search
상무관

기본 정보

이름 상무관
한자명 尙武館
위도(latitude) 35.1446366
경도(longitude) 126.9194774
건립연도 1969년
소재지 광주광역시 동구 문화전당로 38





정의 및 개요

건립 배경

  • 1968년 6월에 착공하여 1969년 8월에 완공되었다. 이후 전라남도경찰국 소속 경찰과 전라남도유도회의 체육관으로 사용되었다.
  • 상무관의 전신은 1920년대 중반 조선총독부 경찰이 유도를 단련하는 도장으로 만들었던 ‘무덕전’이다. 1969년 금남로 확장공사를 하면서 무덕전을 헐고 상무관을 신축하였다.
  • 현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상무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건축문화적 특징 및 가치

관련 행사 및 사건

  • 1929년 광주학생운동이 발발했을 때 연행한 학생들을 이곳에 임시 구금하였다.
  • 5.18 당시 상무관에 희생자의 시신이 안치되기 시작한 것은 5월 22일이다. 23일 아침에는 30구에 달했다. 26일경 상무관에는 시신을 더 들여놓을 수 없을 정도가 되었다. 27일 검시를 하며 작성한 기록 등을 참고하면 60여 구 이상이 안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시신들은 관이 부족하여 무명천으로 덮여 있기도 했다. 태극기에 덮인 관이 줄지어 있는 사진은 5.18민주화운동의 비극을 대표적으로 말해주는 모습이다.
  • 이곳이 시신 안치 장소로 사용된 것은 각지에 흩어진 시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가족들이 희생자의 시신을 빨리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었다.
  • 상무관5.18사적지 5-3호로 지정되었다.

그 외 정보

  •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장편소설 ‘소년이 온다’의 주무대로 묘사되면서 세계적으로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소설의 주인공 동호는 이곳에서 시신 관리를 도우며 자원봉사를 한다.
  • 전남 순천 태생인 강천수(姜天秀, 1937~2011)는 1961년 24세에 전남지방경찰국 상무관장으로 취임해 2007년까지 46년간 역임하였다. 그는 1980년 상무관장으로 일하면서 5.18민주화운동으로 희생된 사람들을 위해 상무관을 개방하여 부상자를 치료하고 시신도 안치하도록 해 주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지도



참고자료

Type Resource Title/Index URL
웹리소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상무관 https://gwangju.grandculture.net/gwangju/toc/GC60001144
간행물 『5.18광주민중항쟁 자료집』전남사회문제연구소 편, 1988.
웹리소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https://www.acc.go.kr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Remark(Note)
상무관 무덕전 상무관의 전신은 무덕전이다.
상무관 5.18민주화운동 상무관은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시신을 안치하던 곳이었다.
상무관 광주학생운동 상무관은 광주학생운동 당시 연행된 사람을 구금하던 곳이었다.
상무관 소년이 온다 상무관은 소년이 온다의 배경이다.
소년이 온다 5.18민주화운동 소년이 온다는 5.18민주화운동을 주제로 한다.
한강 소년이 온다 한강은 소년이 온다의 저자이다.
상무관 강천수 상무관과 강천수는 관련 있다.
강천수 5.18민주화운동 강천수는 5.18민주화운동과 관련 있다.
상무관 옛 전남도청 상무관 인근에 옛 전남도청이 있다.
상무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상무관 인근에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있다.
상무관 5.18사적지 상무관은 5.18사적지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