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양방죽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경양방죽은 1968년 매립될 때까지 광주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호수이다. 조선 세종 시기 전라도 관찰사였던 김방이 3년에 걸쳐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편이지만, 통일신라 말기에 남원 부인(견훤의 어머니)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른 전설도 있다.
- 주변 논밭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었으며, 현재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과 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2개 있었고, 주변은 버드나무, 팽나무, 억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숲길을 이루고 있었다.
- 무려 500년이 넘게 광주를 아름다운 호수 마을로 만들어주었던 경양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약 3분의 2가 사라졌다(1차 매립).
- 1935년부터 당시 전남 지사였던 야지마 스기조를 중심으로, 호수를 매립하여 일본인 거주 지역을 만들려는 계획이 세워졌고, 최흥종 목사가 주축이 된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8~1939년에 호수의 약 70%가 매립지로 변하였다. 호수 북쪽에 있던 산을 허물어 그 흙으로 매립하였다.
- 작아진 경양방죽은 해방과 6.25전쟁 이후 무섭게 늘어나는 도시 인구 때문에 점차 쓰레기가 넘쳐 나는 고인 물이 되어갔고, 1968년 광주시가 추진한 광주 시가지 정비 및 확장 과정에서 완전히 사라졌다(2차 매립). 그 자리에 옛_광주시청(1969~2004)(현 홈플러스 광주계림점)이 들어섰고, 도로와 주택지가 만들어졌다. 이 2차 매립 때 바로 광주_태봉산을 허물어 생긴 흙을 사용했고, 매립지를 매각하여 생긴 수익은 금남로를 8차선으로 확장하는데 사용되었다.
- 효율을 앞세운 근대화와 도시 행정은 넓어진 도로와 택지를 얻은 대신 수백 년 동안 광주를 지켰던 태봉산과 경양방죽을 포기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경양방죽 | Place | 자연 | 호수 | 경양방죽(景陽防築) | 경양방죽 | (景陽防築) | GyeongYang Embankment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경양방죽 | http://gjarchive.kr/photo-archives/view/collections/photo/cp0601/1940-cp0601-0037.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경양방죽 | 계림동 | 원래 방죽이 있던 위치 | |
경양방죽 | 김방 | 조선 세종 때 경양방죽을 만들었다는 전라도 관찰사 | |
경양방죽 | 정약용 | 경양방죽에 대한 시를 씀 | |
경양방죽 | 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 경양방죽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1779) | |
경양방죽 | 광주_태봉산 | 2차 매립을 위해 허물었던 산 | |
경양방죽 | 금남로 | 매립지 매각 수익으로 확장된 도로 | |
경양방죽 | 최흥종 | 1차 매립때 반대 운동을 이끌었던 인물(1937~1939) | |
경양방죽 |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 최흥종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매립 반대 모임 | |
경양방죽 | 광여도 |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800년경) | |
경양방죽 | 해동지도 |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750년대 초) | |
경양방죽 | 경양역 | 고려~조선말기 광주읍성 서쪽에 있던 역(호수 이름의 유래) | |
경양방죽 | 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 | 계림1동 주민들이 추진하는 사업 | |
경양방죽 | 기원2600년기념사업 | 일본이 1935~1940년 시기에 추진한 일본 건국 기념 사업. 경양방죽 매립도 포함. | |
경양방죽 | 황성신문 | 경양방죽의 축조 시기에 대한 전설 게재된 신문(1902) | |
경양방죽 | 광주군사 (光州郡史) | 경양방죽 김방 축조설의 뒷받침이 된 책(1933)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경양방죽 | 경양방죽_ 축조_시기에_대한_전설 | isMentionedIn |
경양방죽 |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 isRelatedTo |
경양방죽 |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 isRelatedTo |
경양방죽 | 경양역 | isNamedAfter |
경양방죽 | 계림동 | isPreviouslySituatedOn |
경양방죽 | 광여도 | isRelatedTo |
경양방죽 | 광주_태봉산 | isRelatedTo |
경양방죽 | 기원2600년기념사업 | isVictimOf |
경양방죽 | 김방 | founder |
경양방죽 | 시_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 isDepictedIn |
경양방죽 | 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 | isRelatedTo |
경양방죽 | 해동지도 | isRelatedTo |
경양방죽_ 축조_시기에_대한_전설 | 황성신문 | isPostedIn |
경양방죽_김방_축조설 | 광주군사 (光州郡史) | isMentionedIn |
시_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 정약용 | creator |
최흥종 |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 leads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경양방죽 | 35.161430 | 126.916509 |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314 |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단행본 | 박선홍, 『광주 1백년』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심미안, 2012. | Riss | http://www.riss.kr/link?id=M13024305 |
단행본 | 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박물관, 2007. | Riss |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
단행본 | 변동명, 김희태, 이옥희, 배재훈, 조상현, 『 광주 역사와 함께 한 경양방죽 그리고 태봉산』,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02-28.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599360 |
단행본 |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2018. | 구글 |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85499215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