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쇄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Contextual Relations) |
(→Web Resource) |
||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참고||동아일보||뫼비우스 띠처럼 연결되는 소쇄원(2021-08-03, 임형남·노은주)||||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802/108328936/1 | |참고||동아일보||뫼비우스 띠처럼 연결되는 소쇄원(2021-08-03, 임형남·노은주)||||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802/108328936/1 | ||
|- | |- | ||
− | |참고||매일신문||담양 소쇄원( 2021-02-03, 이원선 기자)||||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20217260514415 | + | |참고||매일신문||담양 소쇄원(2021-02-03, 이원선 기자)||||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20217260514415 |
+ | |- | ||
+ | |사진||흥미로운가||담양 소쇄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3/34/소쇄원7.jpg | ||
+ | |- | ||
+ | |사진||흥미로운가||담양 소쇄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d/de/소쇄원11.jpg | ||
|- | |- | ||
|} | |} |
2022년 8월 28일 (일) 21:05 판
목차
Definition
- 소쇄원(瀟灑園)은 전남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에 있는 조선시대 양산보가 조성한 원림으로 자연과 인공의 조화를 절묘하게 이루어낸 가장 유명한 별서원림이다. 명승 제40호이다.
- 내원 면적은 1천4백여 평이며, 외원까지 합하면 수 만평에 이른다. 현재 남아있는 건물은 대봉대, 광풍각, 제월당 등이며, 긴 담장이 내원을 둘러쌓고 동쪽에 걸쳐 있다. 산에서 흘러들어 온 물이 작은 계곡을 이루어 소쇄원을 관통하고 있다. 주요 조경 수목은 대남무, 매화, 동백, 오동, 배롱나무, 산사나무, 치자 등이다. 조경물로는 너럭바위, 걸상모양의 탁암, 책상 모양의 상암, 상하지 두 개의 연못 등이 있다.
- 양산보가 1530년대 조영을 시작했으며, 그의 자식과 손자 대에 이르러 완성된 것으로 추정되며,[1] 정유재란 때 불탔으나 후손에 의해 복원됐다. 지금의 소쇄원은 양산보의 5대손 양택지에 의해 보수된 모습이다.
- 소쇄원은 양산보의 호를 따서 지은 이름으로 알려졌으나, 실제 ‘소쇄’라는 이름은 면앙정 송순이 ‘맑고 깨끗하다’라는 뜻으로 지어주었다 것으로 밝혀졌다.[2]
- 옛 모습은 김인후의 ‘소쇄원사십팔영’, 고경명의 ‘유서석록’과 ‘소쇄원도’에 잘 그려져 있으며, 목판으로 판각된 ‘소쇄원도’에는 당시 정원의 배치와 구조, 원림에 심어진 식물들까지 자세히 기록하고 있어 소쇄원 복원에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 풍경이 좋아 수많은 선비들이 이곳을 찾았고 이종 사촌인 송순을 비롯 김인후, 정철, 고경명, 기대승 등도 소쇄원과 인연을 맺었다.
- 소쇄원은 정원이라고 하는 것보다는 원림이라고 것은 더 적절한다. 정원이 도심 속의 주택에서 인위적인 조경작업을 통하여 동산[園]의 분위기를 연출한 것이라면, 원림은 교외에서 동산[園]과 숲의 자연 상태를 그대로 조경으로 삼으면서 적절한 위치에 집과 정자를 배치한 것이다. [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소쇄원 | Heritage | 명승 | 담양 소쇄원 (潭陽 瀟灑園) | 소쇄원 | 瀟灑園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소쇄원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소쇄원 | 양산보 | 창건주 | |
소쇄원 | 별서 | 일종의 별장 | |
소쇄원 | 별서원림 | 소쇄원 건축 양식 | |
소쇄원 | 광풍각 | 부속 건물 | |
소쇄원 | 제월당 | 부속 건물 | |
소쇄원 | 송순 | 교류 문인 이종사촌 | |
소쇄원 | 김인후 | 교류 선비 | |
소쇄원 | 기대승 | 교류 선비 | |
소쇄원 | 고경명 | 교류 선비 | |
소쇄원 | 임억령 | 교류 문인, 식영정 주인 | |
소쇄원 | 정철 | 교류 문인 | |
소쇄원 | 소쇄원도 | 소쇄원 묘사 판화 | |
양산보 | 조광조 | 제자-스승 | |
양산보 | 김윤제 | 매부-처남 | |
양산보 | 처사 | 벼슬길 포기한 양산보의 삶 |
Spatial Data
id | 위도 | 경도 | 고도 | 주소 |
---|---|---|---|---|
면앙정 | 35.1841340558045 | 127.01226131741205 | 55.19 m | 전남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 123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 | url |
---|---|---|---|---|
해설 | 소쇄원 | 홈페이지 | http://soswaewon.co.kr | |
해설 | 위키백과 | 소쇄원 | https://ko.wikipedia.org/wiki/소쇄원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담양 소쇄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3811 | |
참고 | 아주경제 | 한국 전통정원의 백미 소쇄원(2021-12-29, 이광표) | https://www.ajunews.com/view/20211229100842888 | |
참고 | 동아일보 | 뫼비우스 띠처럼 연결되는 소쇄원(2021-08-03, 임형남·노은주) |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10802/108328936/1 | |
참고 | 매일신문 | 담양 소쇄원(2021-02-03, 이원선 기자) |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20217260514415 | |
사진 | 흥미로운가 | 담양 소쇄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3/34/소쇄원7.jpg | |
사진 | 흥미로운가 | 담양 소쇄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d/de/소쇄원11.jp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단행본 | 김진성, 『소쇄원』,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8498107 | |
단행본 | 천득염, 『소쇄원』, 심미안, 2018,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2656 | |
단행본 | 천득염, 『소쇄원: 은일과 사유의 공간』, 심미안, 2017,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2045 | |
단행본 | 이기동, 『천국을 거닐다』, 소쇄원, 사람의무늬, 2014, |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55500446 | |
단행본 | 문순태, 『소쇄원에서 꿈을 꾸다』, 오래, 2015, |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58290061 |
Notes
- ↑ 소쇄원, http://soswaewon.co.kr 운영자 천득염 전남대 교수
- ↑ 명승 지정 별서정원 11개소 역사성 검토 결과 공개, 문화재청, 2021,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2914§ionId=b_sec_1&mn=NS_01_02
- ↑ 소쇄원, http://soswaewon.co.kr 운영자 천득염 전남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