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읍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Web Resource)
 
19번째 줄: 19번째 줄: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광주읍성|| Place|| || || 광주읍성|| 광주읍성|| 光州邑城||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읍성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읍성.jpg
+
| 광주읍성|| Place|| 지명 || || 광주읍성(光州邑城) || 광주읍성|| 光州邑城||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읍성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읍성.jpg
 
|}
 
|}
  

2024년 4월 29일 (월) 17:02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광주읍성은 500년 이상 광주 치소의 중심지로 동헌을 비롯한 다양한 관아 건물이 있었다. 1872년 광주목 지도에는 광주읍성과 읍성 내부에 존재한 관아건물이 그려져 있다. 동구 충장동과 서남동 일부가 광주읍성 구역에 해당한다.
  • 광주읍성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세종실록지리지 전라도 무진군에서 ‘읍성은 돌로 쌓았고, 둘레가 972보이다.’라고 하였다. 당시 광주목은 무진군 강등 사건으로 무진군이라 불릴 때이다.
  • 광주읍성에 대한 기록 중 신증동국여지승람 전라도 광산현에서 ‘읍성은 돌로 쌓았고 둘레가 8,253척, 높이가 9척, 성문은 4개, 우물은 100개이며 못은 없다’라고 하였다. 4개 성문은 동문, 서문, 남문, 북문이다.
  • 광주읍성과 관아건축물은 지승_전라도_광주목1872년_군현지도_전라도지도_광주에 그려져 있다.
  • 광주읍성의 북문남문을 잇던 도로는 광주의 대표 상권인 충장로가 되었다.
  • 일제강점기 황성신문(1910.01.23.)에 의하면 ‘광주군의 성벽과 문루를 뜯어낸 토목재를 사용하겠다고 해당 도의 관찰사가 내부에 청원하여 인가를 받았다고 한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 시기부터 광주읍성 안에 있던 많은 건물은 뜯겨지고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 일제가 광주의 정치, 행정을 장악하게 되면서 옛날 관아는 도청, 군청, 헌병대 등으로 개조되어 사용되다 점차 사라졌다.
  • 희경루(喜慶樓)는 객사 광산관(光山館) 북쪽에 있었던 2층 누각이다. 2023년 희경루는 광주공원 앞에 중건되었다.
  • 광주_관덕정(觀德亭)은 광주읍성 내에 있었던 사정(射亭)이다.
  • 광주읍성 객사 광산관에서 1798년_광주_과거시험이 있었다. 과거합격자 방목 어고방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있다.
  • 광주읍성 북문루 공북루는 현재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이 서 있는 자리이다.
  • 광주읍성에 대한 발굴조사가 몇 차례 있었고, 1994년 남아있는 성벽은 광주읍성유허는 광주지정문화유산이다.
  • 광주읍성_모형광주역사민속박물관 2층에 전시되어 있어 광주읍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광주읍성 Place 지명 광주읍성(光州邑城) 광주읍성 光州邑城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읍성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광주읍성.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광주읍성 광주읍성_서원문 광주읍성 서원문은 광주읍성의 대문이다.
광주읍성 광주읍성_광리문 광주읍성 광리문은 광주읍성의 대문이다.
광주읍성 광주읍성_진남문 광주읍성 진남문은 광주읍성의 대문이다.
광주읍성 광주읍성_공북문 광주읍성 공북문은 광주읍성의 대문이다.
충장로 광주읍성_진남문 충장로는 광주읍성 진남문에서 시작된다.
충장로 광주읍성_공북문 충장로는 광주읍성 공북문에서 끝난다.
광산관 광주읍성 광산관은 광주읍성의 시설물이다.
희경루 광주읍성 희경루는 광주읍성의 시설물이다.
희경루 광주공원 희경루는 광주공원 앞에 중건되었다.
광주읍성 지승_전라도_광주목 광주읍성은 지승 전라도 광주목 고지도에 표현됨
광주읍성 1872년_군현지도_전라도지도_광주 광주읍성은 1872년 군현지도 전라도지도 광주지도에 표현됨
1798년_광주_과거시험 광산관 1798년 광주 과거시험이 객사 광산관에서 열렸다.
1798년_광주_과거시험 어고방 1798년 광주 과거시험의 합격자 명단이 어고방이다.
어고방 광주역사민속박물관 어고방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있다.
광주_관덕정 광주읍성 관덕정은 광주읍성의 시설물이다.
북문루 광주읍성 북문루는 광주읍성의 시설물이다.
공북루 광주읍성 공북루는 광주읍성의 시설물이다.
공북루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공북루는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탑 자리이다.
광주읍성 광주읍성유허 광주읍성 광주읍성유허로 남아 있다.
광주읍성 광주읍성_모형 광주읍성의 모형이다.
광주읍성_모형 광주역사민속박물관 광주읍성 모형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있다.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광주읍성 35.146927 126.921208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광산동 12-2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사대문과 광주읍성 http://aks.ai/GC60005060
참고 광주드림 광주읍성은 어떻게 우리 곁을 떠났는가(2011-05-21. 조광철)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21166
참고 광주매일신문 ‘광주읍성’역사적 가치 재조명한다(2021-08-29, 최명진 기자) http://www.kjdaily.com/1630235051554825000
참고 사이버 광주읍성 광주읍성 http://gjeupseong.org/main/main.php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읍성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읍성/광주읍성.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읍성 유허 전경1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읍성/광주읍성_유허_전경1.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읍성 유허 전경2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읍성/광주읍성_유허_전경2.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읍성 유허 전경3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읍성/광주읍성_유허_전경3.jpg
사진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광주읍성유허 안내판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광주읍성/광주읍성유허_안내판.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황영산 외, 「광주읍성 공간의 형성과 해체 그리고 재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8, 한국도시지리학회, 2015. RISS https://www.riss.kr/link?id=A100486797
논문 조정규, 「일제강점기 光州邑城 內의 경관변화」, 『남도문화연구』 no.24,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RISS https://www.riss.kr/link?id=A99657203
논문 주영철, 「광주광역시 조선시대 읍성지역을 사례로 한 역사도시 보존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RISS https://www.riss.kr/link?id=T9985097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