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스토리시안(아트앤데이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직녀에게" 문자열을 "시_직녀에게"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하얀나비" 문자열을 "하얀_나비" 문자열로)
 
34번째 줄: 34번째 줄:
  
 
2. 김정호 거리: 김정호의 활동 내용 및 김정호 거리 관련 내용  
 
2. 김정호 거리: 김정호의 활동 내용 및 김정호 거리 관련 내용  
|| [[광주_사직동_통기타_거리]], [[사직골]], [[꼬두메]], [[사직골_연가]], [[김정호]], [[하얀나비]], [[김정호_거리]]  
+
|| [[광주_사직동_통기타_거리]], [[사직골]], [[꼬두메]], [[사직골_연가]], [[김정호]], [[하얀_나비]], [[김정호_거리]]  
 
||  
 
||  
 
|-
 
|-

2024년 3월 8일 (금) 13:33 기준 최신판

스토리라인 제목 에피소드 제목 내용 핵심항목 문맥항목
광주 7080 음악 콘서트 음악이 흐르는 충장로 충장로의 음악 관련 공간들(제과점, 통기타 무대, 레코드 가게, 악기점, 음악감상실, DJ 문화) 충장로, 광주_다방, 심지다방, 화신다방, 카네기홀, 르네쌍스
광주 7080 음악 콘서트 광주의 밤을 밝혀라, 광주MBC 별이 빛나는 밤에 1) 별이 빛나는 밤에 광주MBC 관련 정의, 별이 빛나는 밤 관련 정의, 별밤가족(별밤 출연진 공동체) 관련 내용(정기공연 등), 별밤가족 구성원 광주MBC, 별이빛나는밤에, 광주MBC별이빛나는밤에, 소수옥, 별밤가족, 이장순, 국소남, 이준용, 김인곤, 정용주, 정오차, 강용욱, 임인식 MBC, 별이빛나는밤에, DJ
광주 7080 음악 콘서트 광주 젊은이들의 축제, 전일방송 대학가요제 1) 전일방송 : 전일방송 개념, 역사 등

2) MBC 대학가요제 : MBC 대학가요제 개념, 역사 등, MBC 대학가요제 회차별 전남(특히 광주) 지역 대학 음악인 활동 내용(그룹명, 그룹별 인원 구성, 수상 실적, 수상곡)

3) 대학가 그룹사운드(1977년 이후), 전남대 캠퍼스송 경연대회, 대학 노래패(전남대학교 노래패 '선율', 광주대학교 노래패 '메아리', 조선대학교 노래패 '함성')

3) 회차별 전일방송 대학가요제 : 개최 시기, 장소, 참가 그룹 및 그룹 인원, 수상 내역 및 수상곡

전일방송, 전일방송대학가요제, MBC대학가요제, 박문옥, 저녁무렵, 김종률, 영랑과_강진, 정오차, 바윗돌, 전남대_트리오, 빈센트, 모모, 박철홍, 김만준, 소나기(김종률), 빙빙빙, 소리모아, 김원중 자기_앞의_생, 전남대학교_캠퍼스송_경연대회, 선율(전남대학교_노래패), 메아리(광주대학교_노래패), 함성(조선대학교_노래패)
광주 7080 음악 콘서트 임과 노래, 1980년대 광주 음악 1) '소리모아'와 박문옥의 활동 : 그룹 활동 및 녹음실 운영

2) 예향의 젊은 선율 : 대학가요제 출신들이 1984년에 녹음한 음반으로, 히트곡으로 '바위섬'이 있음

3) 김원중의 활동 : 전남대학교 캠퍼스송 경연대회 우승자로, '바위섬'을 불렀으며 독집 앨범에 실린 '시_직녀에게'도 히트했으나 금지곡으로 지정

4) 김종률의 행보 : 제3회 MBC 대학가요제에서 '전라남도 지역대표'로 삼중창 팀을 이끌고 <영랑과 강진>이라는 노래를 불러 금상을 수상한 바 있음, 임을 위한 행진곡의 작곡가이며 1982년 광주의 문화패와 함께 노래굿 <넋풀이>를 녹음

5) 백제야학과 공장의 불빛 : 백제야학에서 <공장의 불빛>을 공연

6) 노래패 ‘친구’

7) 꼬두메

예향의_젊은_선율, 박문옥, 소리모아, 바위섬, 김원중, 배창희, 시_직녀에게, 문병란, 김종률, 임을_위한_행진곡, 백제야학, 공장의_불빛, 노래패_친구, 넋풀이, 꼬두메 황석영, 5.18광주민주화운동, 김민기
광주 7080 음악 콘서트 광주 음악을 찾아서, 음악과 지역재생 1. 사직동 통기타 거리: 1980년대 포크음악의 중심지, 2016년 주민주도형 골목경제 활성화 공모사업 선정, 상인 뮤지션들이 사직골 연가라는 앨범 발매

2. 김정호 거리: 김정호의 활동 내용 및 김정호 거리 관련 내용

광주_사직동_통기타_거리, 사직골, 꼬두메, 사직골_연가, 김정호, 하얀_나비, 김정호_거리
고려인이 품은 광주, 광주가 품은 고려인 고려인의 디아스포라 1. 고려인의 디아스포라

1)고려인

2)1937년, 고려인 강제 이주의 역사

2. 광주 광산구 월곡동 고려인 마을 (단위 공간)

유형1) 자치,문화공간 : 월곡고려인문화관 결

유형2) 공생공간 : 다모아공원

유형3) 고려인 상업공간: 고려인 가족 식당

3. 광주 광산구 월곡동 고려인 마을 (생활사 ; 길, 마을)

1) 표지물(sign)/설치물(street furniture)

2) 경관

고려인, 1937년_고려인_강제이주, 월곡_고려인마을, 월곡고려인문화관_결, 국가지정기록물제13호
고려인이 품은 광주, 광주가 품은 고려인 광주의 이태원 월곡_고려인_마을, 다모아공원, 세계음식문화거리, 월곡마을해설(사), 고려인마을_경관
소비의 도시에서 생산의 도시로 광주의 성장동력, 산업단지 1) 역사/형성 배경

2) 분포 현황

광주_산업단지, 입주기업, 고용자, 국가산업단지, 도시첨단산업단지, 일반산업단지, 논공단지, 외국인투자지역
소비의 도시에서 생산의 도시로 광주의 마지막 연탄공장, 송암단지 남선연탄 1) 연혁, 연탄 공장의 사회사

2) 공간 특징

3) 스토리

노후산단, 연탄공장, 남선연탄
예술 속 광주의 오월 그날의 기억이 담긴 그림들, 광주의 민중미술 1. 광주의 민중예술 (각 시기별 특징과 대표 작가 및 작품 소개)

1) 518 직후 광주 민중예술의 시작- 역사를 기록할 수 있도록 예술운동이 시작됨. 많은 대중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판화운동 중심

2)1980년대 중반- 사회운동의 확산으로 걸개그림, 벽화 등 발전- 내용상으로는 공동체적 정신 포함하기 시작

3) 1987년 6월항쟁 이후- 노동문제와 농촌문제 등 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으로 확장

광주의_민중미술, 광주민중미술운동, 목판화운동, 시민미술학교, 광주목판학회, 민중항쟁도, 광주시각매체연구회,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 겨울미술학교, 오월전, 오월민중미술 강연균_하늘과_땅_사이I,II, 신경호, 홍성담_대동세상, 한희원, 한희원미술관, 광주민중항쟁도, 은암미술관, 오월전사, 걸개그림, 북구청_청사_벽화, 오월미술관
예술 속 광주의 오월 전남대에 걸린 그림 속 모두가 함께하는 세상 2. 전남대 광주민중항쟁도 소개- 모티브 이미지 묘사 및 역사적 배경 설명 광주민중항쟁도, 5.18민주화운동, 전남대학교, 마당(전남대학교_그림패), 신바람(전남대학교_미술패), 참민연(미술대학_동아리)
예술 속 광주의 오월 오늘날 광주의 민중미술 3.포스트민중미술사회적 성격을 갖추었던 광주 민중예술이 오늘날에는 어떤 모습으로 이어지는가 (내성천 문제를 다룬 리슨투더시티 등) 포스트민중미술 리슨투터시티, 오월미술제
기억, 회복 그리고 광주 비엔날레 광주비엔날레의 시작 1. 비엔날레의 의미

- 서구 중심의 미술사에서 벗어나 지역성을 살릴 수 있는 행사로 자리 잡은 비엔날레. 518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광주는 광주의 민주정신을 문화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비엔날레를 개최하기 시작

5.18민주화운동, 광주의_민주정신, 광주비엔날레 안티비엔날레-통일미술제
기억, 회복 그리고 광주 비엔날레 점차 확장되어 가는 광주비엔날레 2. 광주비엔날레의 역사

- 1995년 제1회부터 2023년 제14회까지 이어진 광주비엔날레의 역사 및 각 비엔날레의 특징

광주폴리, 광주비엔날레커미션(GB_Commission), 광주비엔날레_파빌리온, 문화중심도시, 민주화의_도시,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다움, 무등의_빛, 구_국군광주병원, 대인시장, 한새봉_두레, 두암2동_누리봄_커뮤니티센터
기억, 회복 그리고 광주 비엔날레 광주비엔날레서 만나볼 수 있는 광주 3. 광주비엔날레에서 만나볼 수 있는 광주

- 광주비엔날레 전시 작품 중 광주와 연관된 작업을 펼친 작품 소개

안규철, 광주_꽃_피우다, 김호석_기억되지_않은_기억, 목판화, 알리자_니센바움_신명, 어느_봄날, 드레스_리허설, 도시계획,_두암동, 도롱뇽의_비탄, 두레날레, 복덕방_프로젝트, 광주를_위하여, 세월_오월 광주비엔날레커미션, 광주비엔날레_파빌리온, 5·18광주민주화운동, 서구문화센터_앞_전광판
기억, 회복 그리고 광주 비엔날레 현대미술의 장, 광주 4. 광주비엔날레 이외 현대미술 지형도

- 바림, 이이남 스튜디오, 호랑가시나무 아트폴리곤, 예술공간 집, 작가들의 아틀리에 등 비엔날레 외 광주의 미술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 소개

이강하미술관, 은암미술관, 양림미술관,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동곡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10년후그라운드, 양림쌀롱, 갤러리_포도나무, 이이남_스튜디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의재미술관,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광주극장, 우제길_미술관, 무등현대미술관, 중외공원
시대와 공명한 광주의 종교 불교 ■ 백제시대부터 지금까지, 시대와 공명해 온 광주의 불교

- 물품: 광주지산동오층석탑, 원효사 출토유물,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광주 배고픈다리, 성거사지 오층석탑, 증심사 오백전, 오백나한
- 인물/단체: 마라난타(인도 간다라 출신 승려), 원효, 광주전통불교영산회, 승려 월인(작법 문화재 예능보유자, 법륜사 주지), 승려 혜령(범음, 범패 문화재 예능보유자), 승려 호산(바라춤 문화재 예능보유자)
- 사건: 5.18민주화운동, 광주영산재,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위령대재(慰靈大齋)를 비롯해 종교 음악제, 노무현 대통령 서거 위령제, 백제 불교 최초 도래지 수륙대재(水陸大齋)
- 광주 사찰 중 '원효사'는 신라 지증왕과 법흥왕 재위 기간 (500~540년) 사이에 지어진 암자에서 출발한 사찰로, 한 때 원효가 이곳에서 수행한 적이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송광사의 말사이다. 원효사 중창 시기에 발견된 삼국시대 금동불상 6점과 통일 신라시대 금동불상 6점 등이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증심사'는 송광사에 딸린 사찰로 여기서 나온 석탑과 좌상 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뿐만 아니라 광주의 주요 사찰로 광륵사, 무각사, 원각사, 보은사, 문빈정사, 백록사, 향림사, 선덕사, 대원사, 금광사, 관음사, 광덕사, 신광사, 대각사, 문수사, 정광사, 정안사, 수선사, 운천사 등이 있다. 광주광역시에서의 불교는 호국 불교 및 민중 불교로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자비의 정신과 생명, 인권 존중의 가치를 실천하는 데 앞장서기도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법륜사 경내에서는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광주영산재(光州靈山齋)가 주로 열려 왔다. 광주영산재는 광주전통불교영산회 주최로 열리는데, 광주전통불교영산회는 1992년 설립된 이후 우리의 귀중한 전통 문화유산인 영산재9불교 전통 천도의식0를 가꾸고 보존하기 위해 젊은 후학 발굴과 육성뿐만 아니라, 음(音)과 무(舞)의 종합예술인 영산재를 보존하고 후세에 전하기 위해 전수관 건립 등에 힘쓰고 있다. 그동안 5.18민주화운동 희생자 위령대재(慰靈大齋)를 비롯해 종교 음악제, 노무현 대통령 서거 위령제, 백제 불교 최초 도래지 수륙대재(水陸大齋) 등을 봉행해 왔다. 매년 일반 시민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영산작법(靈山作法) 시연 발표회를 개최하고 있다. 시연 행사는 범음범패(梵音梵唄)와 바라춤, 그리고 작법 분야의 전문 승려가 각각 시연자로 나와 시련(施輦), 상단권공(上壇勸供), 관음시식(觀音施食), 대령관욕(對靈灌浴), 중단퇴공(中壇退供), 봉송(奉送) 등 주요 영산재 의식을 선보인다. 범음범패 분야의 승려 혜령과 바라춤 분야의 승려 호산, 그리고 작법 분야의 승려 월인이 문화재 예능 보유자로 각각 지정되었다.

불갑사, 원효사, 증심사, 광주_원각사, 문빈정사, 송광사, 광주_향림사, 원효대사, 광주전통불교영산회, 광주영산재, 5.18민주화운동, 5.18민주화운동_희생자_위령대제, 수륙대제
시대와 공명한 광주의 종교 기독교 ■ 병원을 통한 선교, 광주 선교부의 이야기

- 인물/단체: 광주 선교부, 의료 선교사, 최초 의료 선교사 놀란(J.W.Nolan, 노라노), 의료 선교사 윌슨(R.M.Wilson, 우월순), 의사이자 복음선교사 오웬(C.C.Owen, 오기원), 유진벨 선교사, 배유지 목사, 복음선교사 포사이트(W.H.Forsythe, 보의사), 나환자 진료소, 이일성경학교-광주이일학교, 미국남장로선교부, 김윤수 집사, 브랜드(L.C.Brand, 부란도), 프레스톤(J.F.Preston Jr, 변요한 2세), 코딩턴(H.A.Codington, 고허번), 간호 선교사 세핑(Elizabeth J.Shepping, 서서평), 백청단, 반일회(反日會), 로이스닐(Louis Neel), 스와윈하트(M.L.Swinehart, 서로득)-(여성에게 레이스만드는 법을 가르침), YMCA, YWCA, 엡윗청년회, 청년면려회, 문안식, 문영순, 문천식
- 사건: 나환자 진료, 기독 병원 설립, 복음선교사들과 의료선교사들의 갈등과 화해, 이일성경학교 사역, 문맹퇴치운동, 청년운동, 미국남장로 선교부 1892년 7인의 선발대, 1904년 12월 25일 양림리교회 첫 예배, 1905년 11월 20일 놀란 선교사에 의해 9명이 시작한 의료 활동
■ 양림동에 전파된 기독교 문화, 계몽과 예술
- 인물/단체: 김현승(시인), 이수복(시인), 김종(시인), 곽재구(시인), 박화성(소설가), 문순태(소설가), 이강(화가), 숭일학교, 광주 소년군, 최기현, 장맹섭, 최순오, 이태식, 김태오, 김태봉, 김수경, 관현악단, 송헌영, 최윤상, 유주문, 최형오,김필례(성악가, 피아니스트), 오경심(성악가)
- 사건: 광주 YMCA 조직, 민족운동, 농촌계몽운동, 항일민족운동, 관현악단 창설
- 개념: 열세집 (가극), 문맹타파가, 우리 소리 (희곡), 초로인생 (가극), 잘 살으리 2천만의 고려족(남궁원숙 노래), 쌍옥루(영화), 늑대와 소년(성탄 축하공연 연극), 춘향전(창극), 불효천국(신파극)

광주_제중병원, 광주_나병원, 숭일학교, 수피아여학교, 오웬기념각, 우월순_선교사_사택, 커티스_메모리얼_홀, 3.1만세운동_기념동상, 선교사_묘역, 3.1운동
시대와 공명한 광주의 종교 동학 ■ 구한 말 저항의 기록, 시대정신의 계보로써 동학농민운동

- 인물/단체: 손화중, 양상기, 김원국, 호남창의맹소, 최제우
- 사건: 을사늑약, 동학농민운동, 3.1운동, 광주 민주항쟁
- 전남지역을 총괄하던 동학지도자 손화중은 농민군을 이끌고 1894년 12월 덕산에 머물렀다. 거듭된 나주 공략이 연거푸 수포로 돌아가고, 북쪽에서는 전봉준의 농민군이 관군에게 패했다는 소식이 연일 날아들었다. 나주 공략에 있어 접전은 고막원천에서 절정에 달했다. 농민군보다 수가 적지만 화력이 더 셌던 수성군의 은밀한 접근이 용이했단 지역이다보니 농민군은 단숨에 완패했다. 거듭된 실패 끝에 12월 어느 밤 남산리에서의 결전에서도 패배한 농민군은 사방이 확 트인 광주의 덕산에 다시 모였다. 이것이 영산강 유역에서 농민군의 마지막 유진이었다.
광주·전남에서의 의병은 1907년 9월 장성 출신 기삼연(奇參衍)[1851~1908]이 일으킨 ‘호남창의회맹소’부터 시작한다. 호남창의회맹소 대장 기삼연이 1908년 1월 2일[음력] 광주천에서 순국하자, 그 뒤를 김태원·김율 형제가 이었고, 김태원·김율 형제가 광주 어등산에서 또 순국하자 심남일, 안규홍, 전해산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양진여와 양상기는 부자(父子)가 의병장이었고, 김태원과 김율, 김원국과 김원범은 형제 의병장이었다. 이들이 이끈 의병부대가 전라남도 곳곳에서 일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여 큰 타격을 주었다. 따라서 광주 어등산을 비롯한 광주·전라남도는 어디도 의병 항쟁지 아닌 곳이 없다.
무돌 제5일에는 독수정과 백남정재란 이름이 붙은 길은 무돌길 전체 구간 중 가장 가파른 길이다. 이곳은 동학농민운동 때 나라를 구하기 위해 우국지사와 의병들이 전략적 요충지로 관군과 왜적들의 눈에 띄지 않기 위해 수백명이 넘어다니던 길이라는 뜻에서 '백남정재'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동학농민운동, 손화중, 너릿재, 무돌길, 덕산, 고막원천, 호남_의병, 한말_의병_비석, 백남정재길
광주의 삶과 충장로 충장로의 상권 형성 식민지 시기부터의 변천, 광주의 생활, 상권

- 식민지 시기 광주동아부인상회 등의 잡화점, (지역)백화점, 상업지구(서점이나 제과점 등 상징적인 상점 추가) 광주역 등

광주의 삶과 충장로 충장로에서 문화를 만나다 식민지 시기 부터의 변천, 광주의 문화

- 우다방, 광주 내 극장들(무등극장, 제일극장, 광주극장, 신동아극장(전신 동아극장)등의 역사

광주를 품은 무등산 이야기를 담은 무등산 전설, 지역명소

- 무등산 내 절경과 전설, 무등산 타잔 박흥숙, 도립공원 등

광주를 품은 무등산 레저의 형성과 무등산 관광호텔 문화재, 레저문화, 유흥, 국가주도건축

- 무등산 관광호텔 설립경위에서 문화재 지정까지, 무등산관광호텔과 여러 인사들, 사건들, 지역 내 레저문화의 발달 등

양림동 선교사마을,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 선교사들의 한국 정착기 선교사들의 유입으로 서양촌이 형성되는 과정과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설명함. 문화 적응과 혼효 양상에 초점을 맞출 예정임. 선교사들이 경험한 한국어 교육, 고향에 대한 그리움(우월선 선교사 사택 앞의 나무), 한국 문화와 서양 문화의 착종(오웬기념각의 건축적 특징) 등을 포함함. 광주_양림교회, 오기원, 배유지, 우일선선교사사택, 양림동호랑가시나무, 양림역사문화마을, 선교사묘역, 오웬기념각, 한국어_교육 우일선, 광주광역시_기념물, 호랑가시나무언덕_게스트하우스
양림동 선교사마을,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 근대적 교육과 여성 교육의 장이 되다 교육과 의료 측면에서 이루어진 근대 문화의 유입과 변화를 설명함. 근대적 교육은 여성교육을 중심으로 하여 수피아여학교 등 학교 설립의 양상을 설명함.(독립운동의 거점 공간이 되기도 했던 수피아여학교와 숭일학교를 포함함)

근대적 의료는 광주기독병원(제중원)을 중심으로 한센병 치료, 결핵 치료등을 다룸.

수피아여학교, 숭일학교, 광주학생운동, 배유지, 여성_교육 윌리엄린튼, 광주교회
양림동 선교사마을, 새로운 문화와의 만남 서양 의학의 수용과 의료 체계의 전환 광주_제중병원, 오기원, 배유지, 광주기독병원, 서서평, 한센병, 결핵 광주_나병원, 광주기독병원, 광주기독병원_제중역사관
남도의 판소리 문화를 이끈 광주 광주의 명창 임방울의 생애와 소리 광주의 대표적인 명창인 임방울의 삶과 소리의 특징 등을 설명함. 임방울의 가족 관계도, 판소리 전수, 소리꾼으로서의 활동, 해외 공연과 조총련 공연 출연으로 인한 탄압 등(스토리데이터와 연계)을 포함할 수 있음. 광주 출신 대표 명창으로서 임방울의 중요성을 의미화함.

임방울전시관은 송정역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파노라마로 보여줄 수 있을 것임.

임방울, 쑥대머리, 남도판소리서편제 국창_임방울_선생_전시관, 국창임방울선생상, 수궁가, 임방울_생가터, 창극_쑥대머리, 국창_임방울_선생_기록물_상설전시관, 이날치, 김창환
남도의 판소리 문화를 이끈 광주 실내에서 레코드로: 판소리 감상 문화의 변화 과정 판소리가 실연으로 공연되거나 유성기로 감상되는 방식을 설명함. 조선 후기부터 근대 이후 판소리 향유층의 확대와 공간의 변화를 다루고자 함. 판소리 공연 문화의 변화와 유성기 음반 문화의 변화을 함께 다룰 것임. 남도판소리서편제, 임방울, 유성기_음반, 이화중선 수궁가, 레코드_회사, 대중성, 음악_문화
남도의 판소리 문화를 이끈 광주 판소리의 대중화: 시대와 함께하는 판소리 현대에 판소리를 대중화하려는 노력을 다각도로 조명함. 임방울국악제를 통해 현재까지 광주가 국악 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담당하는 역할을 강조할 수 있으며, 이날치 밴드 등 퓨전 판소리를 통해 판소리의 대중화 방향을 보여줄 수도 있음. 2024년 개최되는 15회 광주 비엔날레의 주제도 '‘판소리-21세기 사운드스케이프'로, 광주 비엔날레와의 연결도 가능함. 광주_전통문화관, 광주비엔날레, 임방울국악제, 쑥대머리, 이날치_밴드, 창극 광주시립국극단, 광주시립창극단, 광주디자인비엔날레, 광주국악대전, 임방울국악제, 서편제보성소리축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