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양방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Definition)
잔글 (Definition)
2번째 줄: 2번째 줄:
 
==Definition==
 
==Definition==
 
* [[경양방죽|경양방죽]]은 1968년 매립될 때까지 광주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호수이다. 조선 세종 시기 전라도 관찰사였던 [[김방]]이 3년에 걸쳐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편이지만, 통일신라 말기에 [[남원 부인]](견훤의 어머니)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른 전설도 있다.
 
* [[경양방죽|경양방죽]]은 1968년 매립될 때까지 광주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호수이다. 조선 세종 시기 전라도 관찰사였던 [[김방]]이 3년에 걸쳐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편이지만, 통일신라 말기에 [[남원 부인]](견훤의 어머니)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른 전설도 있다.
*주변 논밭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었으며, 현재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2개 있었고, 주변은 버드나무, 팽나무, 억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숲길을 이루고 있었다.  
+
*주변 논밭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었으며, 현재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2개 있었고, 주변은 버드나무, 팽나무, 억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숲길을 이루고 있었다.  
 
*무려 500년이 넘게 광주를 아름다운 호수 마을로 만들어주었던 경양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약 3분의 2가 사라졌다(1차 매립).
 
*무려 500년이 넘게 광주를 아름다운 호수 마을로 만들어주었던 경양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약 3분의 2가 사라졌다(1차 매립).
 
*1935년부터 당시 전남 지사였던 [[야지마 스기조]]를 중심으로, 호수를 매립하여 일본인 거주 지역을 만들려는 계획이 세워졌고, [[최흥종]] 목사가 주축이 된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8~1939년에 호수의 약 70%가 매립지로 변하였다. 호수 북쪽에 있던 산을 허물어 그 흙으로 매립하였다.  
 
*1935년부터 당시 전남 지사였던 [[야지마 스기조]]를 중심으로, 호수를 매립하여 일본인 거주 지역을 만들려는 계획이 세워졌고, [[최흥종]] 목사가 주축이 된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8~1939년에 호수의 약 70%가 매립지로 변하였다. 호수 북쪽에 있던 산을 허물어 그 흙으로 매립하였다.  

2022년 12월 30일 (금) 13:24 판

Definition

  • 경양방죽은 1968년 매립될 때까지 광주시 동구 계림동 일대에 있었던 인공 호수이다. 조선 세종 시기 전라도 관찰사였던 김방이 3년에 걸쳐 만들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한 편이지만, 통일신라 말기에 남원 부인(견훤의 어머니)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설 등 다른 전설도 있다.
  • 주변 논밭에 필요한 농업용수를 확보하고, 홍수를 예방하기 위한 수리 시설이었으며, 현재 광주 서구 풍암동에 있는 풍암호수공원과 비슷한 크기였다고 한다. 호수 안에는 작은 섬이 2개 있었고, 주변은 버드나무, 팽나무, 억새 등 다양한 나무들이 숲길을 이루고 있었다.
  • 무려 500년이 넘게 광주를 아름다운 호수 마을로 만들어주었던 경양방죽은 일제강점기에 약 3분의 2가 사라졌다(1차 매립).
  • 1935년부터 당시 전남 지사였던 야지마 스기조를 중심으로, 호수를 매립하여 일본인 거주 지역을 만들려는 계획이 세워졌고, 최흥종 목사가 주축이 된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8~1939년에 호수의 약 70%가 매립지로 변하였다. 호수 북쪽에 있던 산을 허물어 그 흙으로 매립하였다.
  • 작아진 경양방죽은 해방과 6.25전쟁 이후 무섭게 늘어나는 도시 인구 때문에 점차 쓰레기가 넘쳐 나는 고인 물이 되어갔고, 1968년 광주시가 추진한 광주 시가지 정비 및 확장 과정에서 완전히 사라졌다(2차 매립). 그 자리에 옛_광주시청(1969~2004)(현 홈플러스 광주계림점)이 들어섰고, 도로와 주택지가 만들어졌다. 이 2차 매립 때 바로 광주_태봉산을 허물어 생긴 흙을 사용했고, 매립지를 매각하여 생긴 수익은 금남로를 8차선으로 확장하는데 사용되었다.
  • 효율을 앞세운 근대화와 도시 행정은 넓어진 도로와 택지를 얻은 대신 수백 년 동안 광주를 지켰던 태봉산과 경양방죽을 포기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경양방죽 Place 자연 호수 경양방죽(景陽防築) 경양방죽 (景陽防築) GyeongYang Embankment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경양방죽 http://gjarchive.kr/photo-archives/view/collections/photo/cp0601/1940-cp0601-0037.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경양방죽 계림동 원래 방죽이 있던 위치
경양방죽 김방 조선 세종 때 경양방죽을 만들었다는 전라도 관찰사
경양방죽 정약용 경양방죽에 대한 시를 씀
경양방죽 경양의_못_가를_지나며 경양방죽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시(1779)
경양방죽 광주_태봉산 2차 매립을 위해 허물었던 산
경양방죽 금남로 매립지 매각 수익으로 확장된 도로
경양방죽 최흥종 1차 매립때 반대 운동을 이끌었던 인물(1937~1939)
경양방죽 경양방죽_매립_반대_투쟁위원회 최흥종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매립 반대 모임
경양방죽 광여도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800년경)
경양방죽 해동지도 경양방죽이 표기된 지도(1750년대 초)
경양방죽 경양역 고려~조선말기 광주읍성 서쪽에 있던 역(호수 이름의 유래)
경양방죽 추억이_깃든_경양마을_만들기_사업 계림1동 주민들이 추진하는 사업
경양방죽 기원2600년기념사업 일본이 1935~1940년 시기에 추진한 일본 건국 기념 사업. 경양방죽 매립도 포함.
경양방죽 황성신문 경양방죽의 축조 시기에 대한 전설 게재된 신문(1902)
경양방죽 광주군사 (光州郡史) 경양방죽 김방 축조설의 뒷받침이 된 책(1933)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경양방죽 35.161430 126.916509 광주광역시 동구 무등로 314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해설 위키백과 경양방죽 https://ko.wikipedia.org/wiki/경양방죽
해설 인문360 사이트 경양방죽(2019-11-14, 김지원) 그 산과 호수가 정말 거기 있었을까? https://inmun360.culture.go.kr/content/382.do?mode=view&cid=2366000
해설 광주역사문화자원 스토리텔링 경양방죽 http://gjstory.or.kr/sub.html?pid=121
참고 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경양방죽이 간직한 비밀(2016-06-21, 조광철 학예연구사-현재 광주역사민속박물관 학예연구실장)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73895
참고 광주드림 [광주갈피갈피] 경양방죽, 역사와 추억도 함께 파묻히고(2020-07-21, 조광철)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01266
참고 광주일보 1930년대 물길 덮어 도로, 주거지로..개발에 묻힌 '물의 도시'(2012-05-16, 윤현석 기자) www.kwangju.co.kr/article.php?aid=1337094000467949188
참고 광주일보 경양방죽의 추억(2020-03-30, 박석무 교수) www.kwangju.co.kr/article.php?aid=1585494000692428078
참고 뉴스포털1 광주이야기-경양방죽(2015-06-05, 정의행 단장) http://www.civilreporter.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43
참고 광주광역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경양방죽이야기1~3(2014-06-23,07-10,10-10, 윤희철 부장) http://greengj21.or.kr/contents/board/default/view.php?top_menu=board&menu=10&sub_menu=&bbs_uid=4575
동영상 광주MBC 남도는 깊다:김방#경양방죽(2014-07-09) https://www.youtube.com/watch?v=WkJNafcR0As
동영상 지역N문화 경양방죽에 얽힌 설화(2021-02-04) https://www.nculture.org/ton/localToonDetail.do?contentId=11025
동영상 유튜브 [입문학수다#47] 사라진 호수 이야기 - 광주 경양호(2022-11-19) https://www.youtube.com/embed/K1mhslyXHEU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설명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설명.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안내도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4.19기념관_버스정류장에_부착된_안내도.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옛터 비석 http://digerati.aks.ac.kr/DhLab/2022/gwangju/image/daidong1/경양방죽-옛터비석.JPG
사진 광주인문스토리플랫폼사업단 경양방죽 옛터 안내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a/a6/경양방죽-옛터_안내.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박선홍, 『광주 1백년』1, 개화기 이후 광주의 삶과 풍속, 광주광역시 광주문화재단 심미안, 2012. Riss http://www.riss.kr/link?id=M13024305
단행본 정운채, 조광철, 정기진, 주인택, 김형주, 김지현, 『光州 : 사진으로 만나는 도시 光州의 어제와 오늘 』, 광주시립박물관, 2007. Riss http://www.riss.kr/link?id=M11195880
단행본 변동명, 김희태, 이옥희, 배재훈, 조상현, 『 광주 역사와 함께 한 경양방죽 그리고 태봉산』, 전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20-02-28. Riss http://www.riss.kr/link?id=M15599360
단행본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 경양방죽과 태봉산』, 광주광역시립민속박물관, 2018. 구글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85499215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