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지산동 오층석탑"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Definition)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광주 동구 지산동 연화사 앞에 있는 통일신라 후기시대 오층석탑이다. 보물 제110호이다. | *광주 동구 지산동 연화사 앞에 있는 통일신라 후기시대 오층석탑이다. 보물 제110호이다. | ||
*2단의 기단에 5층의 탑신을 세운 전형적인 통일신라 하대양식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기단부는 여러 돌을 짜맞추어 조성했으며, 탑신부의 몸돌과 지붕돌은 하나로 되어 있다. 상륜부는 일부 훼손됐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이 1층은 5단인데 비해 2층부터 5층은 4단으로 간략화돼 있다. | *2단의 기단에 5층의 탑신을 세운 전형적인 통일신라 하대양식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기단부는 여러 돌을 짜맞추어 조성했으며, 탑신부의 몸돌과 지붕돌은 하나로 되어 있다. 상륜부는 일부 훼손됐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이 1층은 5단인데 비해 2층부터 5층은 4단으로 간략화돼 있다. | ||
− | *1955년 해체수리 때 4층 지붕돌 윗면에서 금동으로 만든 사림함등 2종이 발굴되었다. 사리를 담은 그릇 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959년에는 탑 근처 주택지를 정비하는 도중 불상 앞에 꽂는 촛대 2점 도합 3점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금동은 종의 표면에는 당초문(唐草紋)과 좌불 등의 무늬가 새겨져 있어 희귀자료로 평가되었으나 | + | *1955년 해체수리 때 4층 지붕돌 윗면에서 금동으로 만든 사림함등 2종이 발굴되었다. 사리를 담은 그릇 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959년에는 탑 근처 주택지를 정비하는 도중 불상 앞에 꽂는 촛대 2점 도합 3점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금동은 종의 표면에는 당초문(唐草紋)과 좌불 등의 무늬가 새겨져 있어 희귀자료로 평가되었으나 도난당해 현재 소재를 알 수 없다.<ref> 『광주의 불적』, 광주광역시 1990년, 168쪽</ref>. 1961년 재차 수리하면서 석재의 일부를 보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남구 구동 광주공원에 있는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과 더불어 광주 동, 서오층석탑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건립연대나 건립주체 등이 전혀 달라, 상호 호응의 관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 *남구 구동 광주공원에 있는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과 더불어 광주 동, 서오층석탑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건립연대나 건립주체 등이 전혀 달라, 상호 호응의 관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 ||
*근처에 백천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백천사지 오층석탑이라고도 했으나. 절터의 규모나 위치는 확인돼지 않고 있다. | *근처에 백천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백천사지 오층석탑이라고도 했으나. 절터의 규모나 위치는 확인돼지 않고 있다. |
2022년 10월 9일 (일) 12:53 판
Definition
- 광주 동구 지산동 연화사 앞에 있는 통일신라 후기시대 오층석탑이다. 보물 제110호이다.
- 2단의 기단에 5층의 탑신을 세운 전형적인 통일신라 하대양식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기단부는 여러 돌을 짜맞추어 조성했으며, 탑신부의 몸돌과 지붕돌은 하나로 되어 있다. 상륜부는 일부 훼손됐다. 지붕돌의 밑면 받침이 1층은 5단인데 비해 2층부터 5층은 4단으로 간략화돼 있다.
- 1955년 해체수리 때 4층 지붕돌 윗면에서 금동으로 만든 사림함등 2종이 발굴되었다. 사리를 담은 그릇 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1959년에는 탑 근처 주택지를 정비하는 도중 불상 앞에 꽂는 촛대 2점 도합 3점의 유물이 발굴되었다. 금동은 종의 표면에는 당초문(唐草紋)과 좌불 등의 무늬가 새겨져 있어 희귀자료로 평가되었으나 도난당해 현재 소재를 알 수 없다.[1]. 1961년 재차 수리하면서 석재의 일부를 보완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남구 구동 광주공원에 있는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과 더불어 광주 동, 서오층석탑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건립연대나 건립주체 등이 전혀 달라, 상호 호응의 관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 근처에 백천사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백천사지 오층석탑이라고도 했으나. 절터의 규모나 위치는 확인돼지 않고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Heritage | 보물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光州芝山洞五層石塔) | 지산동 오층석탑 | 芝山洞五層石塔 | Five-story Stone Pagoda in Jisan-dong, Gwangju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지산동_오층석탑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탑신 | 탑의 몸부분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옥개석 | 탑 지붕돌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상륜부 | 탑의 제일 윗부분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국립중앙박물관 | 탑에서 발굴된 사리장치 소장처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광주읍성 서쪽에 있는 탑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백천사 | 탑이 있던 절로 추정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35.1488910878432 | 126.93305715497323 | 광주 동구 지산동 448-4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 | url |
---|---|---|---|---|
해설 | 광주광역시시청각자료실 | 동오층석탑 | http://gjarchive.kr/t_02021/10104 | |
해설 | 문화재청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https://www.heritage.go.kr | |
참고 | 블로그 | 1666년, 1744년, 광주 백천사를 찾은 선비들 | https://kht1215.tistory.com/219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f/f4/광주_지산동_오층석탑1.jp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탁경백,「고려시대의 호남지역 신라계 석탑 연구」, 『문화재』Vol.4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3030463 |
논문 | 천득염,「전남지역 석탑의 출현과 특성」, 『건축역사연구』Vol.23,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4825900 |
단행본 | 광주광역시,『광주의 불적』, 광주광역시, 1990 | ||
단행본 | 천득염, 『전남의 석탑』, 전남대학교 출판부, 2015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8492006 | |
단행본 | 박선홍, 『무등산』, 다지리, 2008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88812358 |
Notes
- ↑ 『광주의 불적』, 광주광역시 1990년, 16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