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기본 정보
이름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
한자명 | 聖居寺址五層石塔 |
영문명 | Five-story Stone Pagoda at Seonggeosa Temple Site, Gwangju (Presumed) |
이칭 | 성거사지 오층석탑 |
위도(latitude) | 35.148136 |
경도(longitude) | 126.9085129 |
유형 | 석탑 |
건립연도 | 고려시대 |
소재지 | 광주 남구 천변좌로 338번길 7 |
국가유산 지정/등록 여부 |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제109호 |
정의 및 개요
제작배경(계기)
- 탑이 들어선 터는 성거사로 전해지나 사찰의 위치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없다. 다만 고고학계는 광주공원에 얽힌 거북의 전설,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성거산은 광주공원을 말하고, 성거사는 광주공원에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성거사 창건 시기는 풍수지리설이 왕성했던 고려 초기이며, 16세기까지 절의 명맥을 유지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작품의 특징 및 가치
- 높이 7m의 5층 석탑으로 상륜부는 없어졌으나, 기단부와 탑신부는 제대로 보존돼 있다. 탑신 1층은 석재를 상, 하 2단으로 결구해 다른 층에 비해 높은 특이한 양식이며, 기단과 1층을 높게 하고, 위층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형태로 날렵하고 높게 보인다.
- 탑이 들어선 광주공원 일대는 거북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거북의 머리는 광주천 쪽을 향하고 있다. 거북은 상서로운 동물로 거북이 광주를 떠나지 못하게 목 부분에 성거사를 짓고, 무거운 탑, 즉 오층석탑을 세워 거북을 묶어두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 인근에 빛고을시민문화관, 4.19민주혁명역사관, 광주향교가 있다.
국가유산/세계유산 지정·등록 배경(계기)
- 1961년 해체, 복원 때 탑신 2층에서 고려 초기에 만들어진 사리갖춤이 원형이 그대로 보존된 채 발견되었으며, 현재 국립광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항목
의미관계망
이미지
동영상
지도
참고자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Remark(Note) |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성거사_터 | isCurrentlySituatedOn | 탑이 있는 곳에 있었던 사찰 |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전)광주_성거사지_오층석탑_사리갖춤 | hasPart | 탑에서 발견된 사리와 장식 |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국립광주박물관 | currentLocation | 사리갖춤 소장처 | |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 광주공원 | isLocatedIn | 탑 소재지 | |
성거사_터 | 신증동국여지승람 | isMentionedIn | 사찰 소재지 기록 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