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잔글 (→Definition) |
잔글 (→Definition)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옛날부터 백운동 [[까지고개]] 에서 시작하여 돌고개 양 옆으로 [[제봉산]] (구 광주서부경찰서)과 [[덕림산]] (현 광주MBC)이 얕으막한 구릉 지대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 일부에 속해있다. 광주 서구 쪽에서 [[충장로]], [[금남로]] 등 도심으로 이동할 때 마지막 관문이 되는 고갯길이었다. 지금도 광주에서 동, 서, 남, 북구 어디로든 이동할 때 거치게 되는 교통 요지이다. | *옛날부터 백운동 [[까지고개]] 에서 시작하여 돌고개 양 옆으로 [[제봉산]] (구 광주서부경찰서)과 [[덕림산]] (현 광주MBC)이 얕으막한 구릉 지대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 일부에 속해있다. 광주 서구 쪽에서 [[충장로]], [[금남로]] 등 도심으로 이동할 때 마지막 관문이 되는 고갯길이었다. 지금도 광주에서 동, 서, 남, 북구 어디로든 이동할 때 거치게 되는 교통 요지이다. | ||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우리나라에 같은 이름을 가진 곳이 60여 곳이 넘는데, 대부분 돌과 고개의 합성어로서 한자로는 [[석령]], [[석치]], [[석현]] 등으로 표기한다. |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우리나라에 같은 이름을 가진 곳이 60여 곳이 넘는데, 대부분 돌과 고개의 합성어로서 한자로는 [[석령]], [[석치]], [[석현]] 등으로 표기한다. | ||
− | *1910년 일제가 한국 토지 조사 사업을 위해 발간한 [[조선지지자료]] (朝鮮地誌資料)에 의하면 농성동에 [[저현]] (猪峴), 한글로 [[돗고개]] 라는 곳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돼지를 '돋'이라고 불렀는데, 저현의 저(뜻:돋)는 뜻을 한글 발음으로 차용하기 위해 사용된 한자어이며 이때,'돋' 또는‘돗’이 ‘돌’로 변해 돌고개가 된 것으로 추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 + | *1910년 일제가 한국 토지 조사 사업을 위해 발간한 [[조선지지자료]] (朝鮮地誌資料)에 의하면, 농성동에 [[저현]] (猪峴), 한글로 [[돗고개]] 라는 곳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돼지를 '돋'이라고 불렀는데, 저현의 저(뜻:돋)는 뜻을 한글 발음으로 차용하기 위해 사용된 한자어이며 이때, '돋' 또는‘돗’이 ‘돌’로 변해 돌고개가 된 것으로 추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
*또는 순우리말로 산을 달(옛날 표기로는 ㅏ 대신 아래아 사용)이라고 하는데 , [[달고개]] (산고개)가 돌고개로 변화되었다고 보는 이도 있다. | *또는 순우리말로 산을 달(옛날 표기로는 ㅏ 대신 아래아 사용)이라고 하는데 , [[달고개]] (산고개)가 돌고개로 변화되었다고 보는 이도 있다. | ||
2022년 8월 24일 (수) 10:39 판
Definition
- 돌고개는 광주시 서구와 남구의 경계에 위치하는 동시에 남구 월산동, 서구 농성동과 양동의 경계에 있는 지명이다.
- 2004년 이후 광주시 지하철 1호선 돌고개역 이 설치되어 있고 농성역과 양동시장 역을 이어준다.
- 옛날부터 백운동 까지고개 에서 시작하여 돌고개 양 옆으로 제봉산 (구 광주서부경찰서)과 덕림산 (현 광주MBC)이 얕으막한 구릉 지대를 이루고 있었는데, 그 일부에 속해있다. 광주 서구 쪽에서 충장로, 금남로 등 도심으로 이동할 때 마지막 관문이 되는 고갯길이었다. 지금도 광주에서 동, 서, 남, 북구 어디로든 이동할 때 거치게 되는 교통 요지이다.
-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다. 우리나라에 같은 이름을 가진 곳이 60여 곳이 넘는데, 대부분 돌과 고개의 합성어로서 한자로는 석령, 석치, 석현 등으로 표기한다.
- 1910년 일제가 한국 토지 조사 사업을 위해 발간한 조선지지자료 (朝鮮地誌資料)에 의하면, 농성동에 저현 (猪峴), 한글로 돗고개 라는 곳이 있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돼지를 '돋'이라고 불렀는데, 저현의 저(뜻:돋)는 뜻을 한글 발음으로 차용하기 위해 사용된 한자어이며 이때, '돋' 또는‘돗’이 ‘돌’로 변해 돌고개가 된 것으로 추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 또는 순우리말로 산을 달(옛날 표기로는 ㅏ 대신 아래아 사용)이라고 하는데 , 달고개 (산고개)가 돌고개로 변화되었다고 보는 이도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돌고개 | Place | 자연 | 지명 | 돌고개 | 돌고개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돌고개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대인시장 | 공설시장 | 1959년에 시작 | |
대인시장 | 구_광주역 | 1969년까지 인근에 위치 | |
대인시장 | 광주공용터미널 | 1975~1992년에 인근에 위치 | |
대인시장 | 충장로 | 인근에 위치 | |
대인시장 | 금남로5가역 | 도보 6분 거리에 있는 지하철역 | |
대인시장 | 금남로 | 인근에 위치 | |
대인시장 | 농협공판장 | 1965년에 청과 도매 시장 설치됨 | |
대인시장 | 광주비엔날레 | 2008년 관련 프로젝트 실시됨 | |
대인시장 | 복덕방_프로젝트 | 시장 빈 점포에 예술품 전시 | |
대인시장 | 광주대인예술야시장 | 2009년이후 열림 | |
대인시장 | 천원국수 | 대표 먹거리 | |
대인시장 | 국밥 | 대표 먹거리 | |
대인시장 | 먹자골목 | 푸짐한 국밥 및 순대 서비스를 즐길 수 있는 식당들 코너 | |
대인시장 | 수산물 | 주력 상품 | |
대인시장 | 예술안내도 | 시장 코너에 6개의 안내도 설치 | |
대인시장 | 한국관광의_별 | 2018년에 선정됨 | |
대인시장 | 박태규 | 시장 상인들의 대형 초상화를 그려준 간판 예술가 | |
대인시장 | 남도달밤야시장 | 2022년 7월부터 열리는 야시장 |
Spatial Data
id | 위도 | 경도 | 고도 | 주소 |
---|---|---|---|---|
대인시장 | 35.153486 | 126.918357 | 광주광역시 동구 제봉로 194번길 7-1 |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전경숙,「광주시 대인예술시장 프로젝트와 지속가능한 도시 재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6.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2059863 |
단행본 | 조인형, 『대인예술시장, 예술의거리 자립기반 조성방안 연구 』, 광주전남연구원, 2017. | Riss | http://www.riss.kr/link?id=M152497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