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환벽당 일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Bibliography) |
(→Contextual Relations) |
||
44번째 줄: | 44번째 줄: | ||
|- | |- | ||
|[[별서원림]]||[[광주_환벽당_일원]]|||| 대표 별서원림의 하나 | |[[별서원림]]||[[광주_환벽당_일원]]|||| 대표 별서원림의 하나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고경명]]||isRelatedTo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김성원]]||isRelatedTo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별서원림]]||type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시_환벽당_소세양]]||isDepictedIn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시_환벽당_임억령]]||isDepictedIn | ||
+ | |- | ||
+ | |[[광주_환벽당_일원]]||[[정철]]||isRelatedTo | ||
+ | |- | ||
+ | |[[광주 환벽당 일원]]||[[환벽당]]||hasPart | ||
+ | |- | ||
+ | |[[광주_환벽당]]||[[김윤제]]||renovator | ||
+ | |- | ||
+ | |[[시_환벽당_소세양]]||[[소세양]]||creator | ||
+ | |- | ||
+ | |[[시_환벽당_임억령]]||[[임억령]]||creator | ||
+ | |- | ||
+ | |[[환벽당]]||[[신잠]]||isNamedBy | ||
+ | |- | ||
+ | |[[환벽당]]||[[환벽당_편액]]||hasPart | ||
+ | |- | ||
+ | |[[환벽당_편액]]||[[송시열]]||calligrapher | ||
|- | |- | ||
|} | |} |
2023년 1월 5일 (목) 03:29 판
Definition
- 광주 환벽당(環碧堂) 일원의 환벽당은 조선 명종 때 나주목사를 지낸 사촌 김윤제(金允悌, 1501 ~ 1572)가 을사사화를 겪고 낙향해 중건한 정자로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길(충효동) 광주호 위쪽에 있다. 당호는 신잠이 지었다. 1972년 광주시 기념물 1호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명승 제107호 환벽당 일원으로 승격됐다.
- ‘환벽(環碧)’이란 푸르름으로 둘러쌓인 곳이라는 뜻으로 주변이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이루고, 소쇄원 등과 더불어 별서원림으로서 가치가 우수한 호남의 대표적인 누정이다.
- 남향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가운데 2칸은 온돌방이 있으며, 앞쪽과 오른쪽은 마루다. 원래는 방이 없는 전통 누정 건물이었으나, 김윤제가 증축하면서 현재 모습으로 바꾼 것으로 보인다. 식영정처럼 독립된 정자가 아니라 아래에 김윤제의 살림터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지금은 없다.
- 환벽당이 정(亭)이 아닌 당(堂)으로 이름붙인 이유는 조선시대 누정 명칭 원칙에 따른 것으로 당(堂)은 터를 높이 돋우어 높게 지었으며, 양 옆과 뒤는 막히고, 앞은 탁 뜨인 건축물을 말한다. 당당하고 자신감있는 모습을 빗대 지었다고 한다. 당(堂)으로 이름 지어진 조선시대 건축물로는 소쇄원의 제월당, 해남 녹우당 등이 있다.
- 환벽당은 송강 정철과도 인연이 깊은 누정이다. 증암천 건너 지실마을에 살던 정철은 김윤제를 우연히 만나 스승으로 모시고, 과거에 급제해 출사하기까지 10년간 환벽당에서 유숙하며 공부했다. 서하당의 주인 김성원, 의병장 제봉 고경명이 함께 공부했으며, 김윤제는 그의 외손녀를 정철에게 시집보냈다.
- 당대의 석학인 송순, 임억령, 양산보, 김인후, 김성원, 기대승, 고경명 등이 드나들 던 곳으로 현재 걸려 있는 편액은 우암 송시열이 썼다. 면앙정 송순은 1563년 식영정의 시를 차운하며 ‘식영정과 환벽당은 형제의 정자’라고 하면서, 소쇄원과 식영정, 환벽당을 가리켜 한 증암천 안의 세 명승이라 했다. 소세양(1486~1562)이 지은 ‘환벽당’ 시에서 초기 모습을 알 수 있으며, 김성원은 ‘서하당유고’에 환벽당 일원 모습을 그린 ‘성산계류탁열도’를 남겼으며. 임억령의 시가 편액으로 남아있다.
- 근처에 취가정이 있으며, 증암천 건너 식영정이, 위로 올라가면 소쇄원, 그 위쪽에 독수정이 있어 짧은 시간에 호남 원림문화의 정수를 볼 수 있다. 동백이 피는 이른 봄이나 상사화가 만개한 9월에 찾으면 경치가 특히 아름답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광주_환벽당_일원 | Heritage | 명승 | 광주 환벽당 일원 (光州 環碧堂 一圓) | 광주 환벽당 일원 | 環碧堂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광주_환벽당_일원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e/e7/환벽당1.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광주_환벽당_일원 | 김윤제 | 중건주 | |
광주_환벽당_일원 | 신잠 | 당호 지은 사람 | |
광주_환벽당_일원 | 정철 | 공부한 곳 | |
광주_환벽당_일원 | 고경명 | 공부한 곳 | |
광주_환벽당_일원 | 김성원 | 공부한 곳 | |
광주_환벽당_일원 | 소세양 | 환벽당 주제 시 작가 | |
광주_환벽당_일원 | 임억령 | 환벽당 시 작가 | |
광주_환벽당_일원 | 식영정 | 인근 정자 | |
광주_환벽당_일원 | 소쇄원 | 인근 별서원림 | |
광주_환벽당_일원 | 송시열 | 편액 쓴 사람 | |
광주_환벽당_일원 | 제월당 | 당 이름 붙은 누정 | |
별서원림 | 광주_환벽당_일원 | 대표 별서원림의 하나 |
Contextual Relation(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광주_환벽당_일원 | 고경명 | isRelatedTo |
광주_환벽당_일원 | 김성원 | isRelatedTo |
광주_환벽당_일원 | 별서원림 | type |
광주_환벽당_일원 | 시_환벽당_소세양 | isDepictedIn |
광주_환벽당_일원 | 시_환벽당_임억령 | isDepictedIn |
광주_환벽당_일원 | 정철 | isRelatedTo |
광주 환벽당 일원 | 환벽당 | hasPart |
광주_환벽당 | 김윤제 | renovator |
시_환벽당_소세양 | 소세양 | creator |
시_환벽당_임억령 | 임억령 | creator |
환벽당 | 신잠 | isNamedBy |
환벽당 | 환벽당_편액 | hasPart |
환벽당_편액 | 송시열 | calligrapher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광주_환벽당_일원 | 35.1858039460929 | 127.00317079236586 | 광주 북구 환벽당길 10 |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_index | online_resource | url |
---|---|---|---|
논문 | 김종서, 「사촌(沙村) 김윤제(金允悌)와 문예공간(文藝空間) 환벽당(環碧堂)의 의미」, 『漢文學報』 Vol.23, 우리한문학회, 2010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1974503 |
논문 | 권수용, 「16세기 호남 무등산권 원림문화」, 『人文硏究』 Vol. No.55 ,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4519267 |
논문 | 임준성, 「식영정에 비친 임억령의 삶과 현판」,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7,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7307670 |
단행본 | 박준규, 『환벽당 서하당 그리고 독수정』, 태학사, 2001,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76267757 | |
단행본 | 조태성, 『환벽당 취가정 풍암정』, 심미안, 2019.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2670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