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전들노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광주광역시_무형문화재" 문자열을 "광주광역시_무형유산" 문자열로)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Definition==
 
==Definition==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22호.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 일대에서 불려지던 들소리(노동요)로 60년대 말까지 구전되어 오다 그 맥이 끊겼으나 [[(사)용전들노래보존회]] 전 김동언 회장과 故지춘상, 故범대순 전남대 명예교수가 2년여 고증을 통해 발굴 및 재현했다.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22호.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 일대에서 불리던 들소리(노동요)로 60년대 말까지 구전되어 오다 그 맥이 끊겼으나 [[(사)용전들노래보존회]] 전 김동언 회장과 故지춘상, 故범대순 전남대 명예교수가 2년여 고증을 통해 발굴 및 재현했다.
*[[용전들노래|용전들노래]]는 용전들에서 불리는 노동요라는 뜻이다. 1960년대 말까지 구전되다가 중간에 명맥이 한 번 끊겼으나 옛 전통을 살리려는 마을 사람들의 노력 끝에 1999년 다시 부활했다. 많은 사람들의 고증과 시연을 통해 18년 만인 7월 12일 용전동 농토 현장에서 재현되었고, 7월 24일 구동 체육관에서 열린 제1회 광주광역시 민속예술축제에서 최우수상을, 9월 15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제4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종합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전국에 들노래를 알렸다. 2013년 10월에는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며 용전들 노래의 전통, 문화적 가치를 확고히 다졌고, 2014년 10월에는 광주시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
*[[용전들노래]]는 용전들에서 불리는 [[노동요]]라는 뜻이다. 1960년대 말까지 구전되다가 중간에 명맥이 한 번 끊겼으나 옛 전통을 살리려는 마을 사람들의 노력 끝에 1999년 다시 부활했다. 많은 사람의 고증과 시연을 통해 18년 만인 7월 12일 용전동 농토 현장에서 재현되었고, 7월 24일 구동 체육관에서 열린 제1회 광주광역시 민속예술축제에서 최우수상을, 9월 15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제4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종합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전국에 들노래를 알렸다. 2013년 10월에는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며 용전들 노래의 전통, 문화적 가치를 확고히 다졌고, 2014년 10월에는 광주시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용전들노래는‘모판 만들기’부터 시작해 ‘모찌기’, ‘모심기’, ‘논매기’, ‘장원질’ 등의 다섯 개의 과정이 총 13곡의 노동요로 구성돼 있다. 전남 특유의 메기고 받는 형식을 취하며 계면조음계와 평면조음계가 혼용돼 있다. 그렇기 때문에 경쾌한 분위기를 형성하여 부르는 이와 듣는 이로 하여금 농사일의 힘듦을 있게 한다.
+
*용전들노래는‘모판 만들기’부터 시작해 ‘모찌기’, ‘모심기’, ‘논매기’, ‘장원질’ 등의 다섯 개의 과정이 총 13곡의 노동요로 구성돼 있다. 전남 특유의 매기고 받는 형식을 취하며 계면조 음계와 평면조 음계가 혼용돼 있다. 그러므로 경쾌한 분위기를 형성하여 부르는 이와 듣는 이로 하여금 농사일의 힘듦을 잊게 한다.
*용전들노래보존회는 1999년~2011년까지는 (사)광주지산용전들노래보존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2012년 2기 임원진을 구성하면서 현재의 명칭인 (사)용전들노래보존회로 바꾸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전승활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년 10월 전후 1회의 정기공연과 7월 유두절 한마당 공연과 기타 외부행사등 2~3회의 비정기 공연을 통해 용전들노래를 널리 알리고 있다. 재현공연을 보기 위해서는 북구청에서 공연 일정을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
*용전들노래보존회는 1999년~2011년까지는 (사)광주지산용전들노래보존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2012년 2기 임원진을 구성하면서 현재의 명칭인 [[(사)용전들노래보존회]]로 바꾸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전승 활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년 10월 전후 1회의 정기공연과 7월 유두절 한마당 공연과 기타 외부 행사등 2~3회의 비정기 공연을 통해 용전들노래를 널리 알리고 있다. 재현공연을 보기 위해서는 북구청에서 공연 일정을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11번째 줄: 11번째 줄: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style="width: 100px" | id||class||groupName||partName||label||hangeul||hanja||english||infoUrl||iconUrl
 
|-
 
|-
|[[용전들노래]]|| Heritage||시도문화재|| ||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용전들노래 ||
+
|[[용전들노래]]|| Work || 민속 || ||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용전들노래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8/용전들노래2.jpg
 
|-
 
|-
 
|}
 
|}
19번째 줄: 19번째 줄: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source||target||relation||attribute
 
|-
 
|-
|[[용전들노래]]|| [[(사)용전들노래보존회]] || [[leads]] || 전승활동주체
+
|[[용전들노래]]|| [[(사)용전들노래보존회]] || || 전승활동주체
 
|-
 
|-
 
|[[용전들노래]]|| [[용전마을]] ||  || 지역
 
|[[용전들노래]]|| [[용전마을]] ||  || 지역
 
|-
 
|-
|[[용전들노래]]|| [[무형문화재]] || ||  
+
|[[용전들노래]] || [[노동요]] || || ~는 ~이다.
 
|-
 
|-
|[[용전들노래]] || [[노동요]] || ||
+
|[[용전들노래]] || [[모판만들기]] || ||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
 
|-
|[[용전들노래]] || [[용전들노래_과정]] || ||
+
|[[용전들노래]] || [[모찌기]] ||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
 
|-
|[[용전들노래_과정]] || [[모판만들기]] || ||
+
|[[용전들노래]] || [[모심기]] || ||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
 
|-
|[[용전들노래_과정]] || [[모찌기]] || ||
+
|[[용전들노래]] || [[논매기]] || ||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
 
|-
|[[용전들노래_과정]] || [[모심기]] || ||
+
|[[용전들노래]] || [[장원질]] || ||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
 
|-
|[[용전들노래_과정]] || [[논매기]] || ||
+
|[[용전들노래]]|| [[유두절_한마당]] || || 알리기 위한 공연
 
|-
 
|-
|[[용전들노래_과정]] || [[장원질]] || ||
+
|[[용전들노래]]|| [[광주광역시_북구청]] || || 지원기관
 
|-
 
|-
|[[용전들노래]]|| [[유두절_한마당]] || ||
+
| [[용전들노래]] || [[앞소리꾼_정종석]] || || 용전들노래 대표인물
 
|-
 
|-
|[[용전들노래]]|| [[북구청]] || || 지원기관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target||relation
 +
|-
 +
|[[용전들노래]]||[[노동요]]||isKindOf
 +
|-
 +
|[[용전들노래]]||[[용전들노래_논매기]]||hasPart
 +
|-
 +
|[[용전들노래]]||[[용전들노래_모심기]]||hasPart
 +
|-
 +
|[[용전들노래]]||[[용전들노래_모찌기]]||hasPart
 +
|-
 +
|[[용전들노래]]||[[용전들노래_모판만들기]]||hasPart
 +
|-
 +
|[[용전들노래]]||[[용전들노래_장원질]]||hasPart
 +
|-
 +
|[[용전들노래]]||[[용전마을]]||isPerformedAt
 +
|-
 +
|[[용전들노래]]||[[유두절_한마당]]||isPerformedIn
 +
|-
 +
|[[용전들노래]]||[[정종석]]||isPerformedBy
 +
|-
 +
|[[(사)용전들노래보존회]]||[[용전들노래]]||administrates
 +
|-
 +
|[[광주광역시_무형유산]]||[[용전들노래]]||includes
 
|-
 
|-
 
|}
 
|}
 +
 +
==Spatial Data==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
| [[용전들노래]] || 35.2391754 || 126.896599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마을길
 +
|-
 +
|}
 +
 +
{{구글지도 | 위도=35.2391754 | 경도=126.896599 | 줌=16 }}
  
 
==Web Resource==
 
==Web Resource==
59번째 줄: 95번째 줄:
 
| 사진 || 광주광역시북구문화관광 || 용전들노래 (시무형문화재 제22호) || || http://bukgu.gwangju.kr/upload/cultureContents/160014770902200.jpg
 
| 사진 || 광주광역시북구문화관광 || 용전들노래 (시무형문화재 제22호) || || http://bukgu.gwangju.kr/upload/cultureContents/160014770902200.jpg
 
|-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동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b/b8/용전들노래1.jpg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동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b/b8/용전들노래1.jpg
 
|-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들노래 || 마을입구에 세워진 기념비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8/용전들노래2.jpg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들노래 || 마을입구에 세워진 기념비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8/용전들노래2.jpg
 
|-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들노래이야기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5/5c/용전들노래4.jpg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들노래이야기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5/5c/용전들노래4.jpg
 
|-
 
|-
| 사진 ||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동 풍경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a/ab/용전들노래6.jpg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대문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 용전동 풍경 ||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a/ab/용전들노래6.jpg
 
|-
 
|-
 
|}
 
|}
75번째 줄: 111번째 줄:
 
|단행본||남도민속학회; 광주광역시 북구청,『용전들노래의 역사와 문화』, 2016.||RISS||http://www.riss.kr/link?id=M14500772
 
|단행본||남도민속학회; 광주광역시 북구청,『용전들노래의 역사와 문화』, 2016.||RISS||http://www.riss.kr/link?id=M14500772
 
|-
 
|-
|단행본||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하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심미안, 2016.|| ||
+
|단행본||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하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심미안, 2016.|| || http://newrcef.cafe24.com/upload/pdf/resources100_2.pdf
 
|-
 
|-
 
|논문||이강욱, 「고려말 麗․明 관계의 동향과 수군정비」, 『군사』 9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4.||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8674
 
|논문||이강욱, 「고려말 麗․明 관계의 동향과 수군정비」, 『군사』 9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4.||KC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8674
84번째 줄: 120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Heritage]] [[분류:김희련]]
+
==Semantic Network Graph==
 +
 
 +
<html>
 +
<iframe width="90%" height="400px" src="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용전들노래"></iframe>
 +
<br/>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sandbox/cgi-bin/Story01.py?db=gwangju&project=gwangju&key=용전들노래'">
 +
</html>
 +
 
 +
[[분류:Work]] [[분류:김희련]][[분류:흥]]

2024년 2월 24일 (토) 21:4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광주광역시 무형문화재 22호.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동 일대에서 불리던 들소리(노동요)로 60년대 말까지 구전되어 오다 그 맥이 끊겼으나 (사)용전들노래보존회 전 김동언 회장과 故지춘상, 故범대순 전남대 명예교수가 2년여 고증을 통해 발굴 및 재현했다.
  • 용전들노래는 용전들에서 불리는 노동요라는 뜻이다. 1960년대 말까지 구전되다가 중간에 명맥이 한 번 끊겼으나 옛 전통을 살리려는 마을 사람들의 노력 끝에 1999년 다시 부활했다. 많은 사람의 고증과 시연을 통해 18년 만인 7월 12일 용전동 농토 현장에서 재현되었고, 7월 24일 구동 체육관에서 열린 제1회 광주광역시 민속예술축제에서 최우수상을, 9월 15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제40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종합우수상을 수상하면서 전국에 들노래를 알렸다. 2013년 10월에는 한 권의 책으로 발간되며 용전들 노래의 전통, 문화적 가치를 확고히 다졌고, 2014년 10월에는 광주시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 용전들노래는‘모판 만들기’부터 시작해 ‘모찌기’, ‘모심기’, ‘논매기’, ‘장원질’ 등의 다섯 개의 과정이 총 13곡의 노동요로 구성돼 있다. 전남 특유의 매기고 받는 형식을 취하며 계면조 음계와 평면조 음계가 혼용돼 있다. 그러므로 경쾌한 분위기를 형성하여 부르는 이와 듣는 이로 하여금 농사일의 힘듦을 잊게 한다.
  • 용전들노래보존회는 1999년~2011년까지는 (사)광주지산용전들노래보존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다가, 2012년 2기 임원진을 구성하면서 현재의 명칭인 (사)용전들노래보존회로 바꾸어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전승 활동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매년 10월 전후 1회의 정기공연과 7월 유두절 한마당 공연과 기타 외부 행사등 2~3회의 비정기 공연을 통해 용전들노래를 널리 알리고 있다. 재현공연을 보기 위해서는 북구청에서 공연 일정을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용전들노래 Work 민속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용전들노래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8/용전들노래2.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용전들노래 (사)용전들노래보존회 전승활동주체
용전들노래 용전마을 지역
용전들노래 노동요 ~는 ~이다.
용전들노래 모판만들기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용전들노래 모찌기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용전들노래 모심기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용전들노래 논매기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용전들노래 장원질 ~의 구성된 다섯과정 중 하나이다.
용전들노래 유두절_한마당 알리기 위한 공연
용전들노래 광주광역시_북구청 지원기관
용전들노래 앞소리꾼_정종석 용전들노래 대표인물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target relation
용전들노래 노동요 isKindOf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_논매기 hasPart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_모심기 hasPart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_모찌기 hasPart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_모판만들기 hasPart
용전들노래 용전들노래_장원질 hasPart
용전들노래 용전마을 isPerformedAt
용전들노래 유두절_한마당 isPerformedIn
용전들노래 정종석 isPerformedBy
(사)용전들노래보존회 용전들노래 administrates
광주광역시_무형유산 용전들노래 includes

Spatial Data

id latitude longitude address
용전들노래 35.2391754 126.896599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용전마을길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 url
참고 광주관광재단공식블로그 용전들노래 https://blog.naver.com/gwangju611/222722872718
참고 광주북구청 용전들노래 https://bukgu.gwangju.kr/cultureContents.es?mid=a70402020000&ecp_cd=CUTR009&act=view&ecp_seq=142
동영상 광주문화재단 전통문화관 (사)용전들노래보존회 https://www.youtube.com/embed/YtUq_4a9Y6g
사진 광주광역시북구 북구, 용전들노래 가을걷이 한마당 https://bukgu.gwangju.kr/upload/gallery/0041/b_157147473140400.jpg
사진 광주광역시북구문화관광 용전들노래 (시무형문화재 제22호) http://bukgu.gwangju.kr/upload/cultureContents/160014770902200.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용전동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b/b8/용전들노래1.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용전들노래 마을입구에 세워진 기념비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7/78/용전들노래2.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용전들노래이야기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5/5c/용전들노래4.jpg
사진 스토리파크 흥미로운가 용전동 풍경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a/ab/용전들노래6.jpg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_index online_resource url
단행본 남도민속학회; 광주광역시 북구청,『용전들노래의 역사와 문화』, 2016. RISS http://www.riss.kr/link?id=M14500772
단행본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광주 역사문화 자원 100. 하 : 광주 역사문화를 스토리텔링하다』, 심미안, 2016. http://newrcef.cafe24.com/upload/pdf/resources100_2.pdf
논문 이강욱, 「고려말 麗․明 관계의 동향과 수군정비」, 『군사』 90,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1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858674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