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고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Bibliography)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__NOTOC__ | __NOTOC__ | ||
== Definition == | == Definition == | ||
− | *[[어고방]](御考榜)은 1798년(정조 22) | + | *[[어고방]](御考榜)은 1798년(정조 22) 광주목에서 실시된 과거시험에서 정조(正祖)가 직접 검토하여 과거 합격자를 발표한 방목(榜目)이다. 길이는 28.2m이며, 정조가 직접 내려 ‘어고(御考)’라는 첨지가 있다. 어고방에 수록된 69명 가운데 합격자는 53명이다. |
*광주목 과거시험은 정조가 1797년 광주목사 [[서형수]]에게 명을 하여 어정대학연의, 연의보, 주자대전절약의 편찬과 교정 작업을 호남의 선비들에게 수행하도록 하는데 연원이 있다. | *광주목 과거시험은 정조가 1797년 광주목사 [[서형수]]에게 명을 하여 어정대학연의, 연의보, 주자대전절약의 편찬과 교정 작업을 호남의 선비들에게 수행하도록 하는데 연원이 있다. | ||
− | * | + | *[[1798년_광주_과거시험]]은 광주목 객사인 [[광산관]](光山館)에서 치러졌다. |
*광주목 시(詩) 과목 시제가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회방연]]((回榜宴, 1579년)과 관련이 있는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이다. | *광주목 시(詩) 과목 시제가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회방연]]((回榜宴, 1579년)과 관련이 있는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이다. | ||
− | *[[어고방]]은 원래 [[광주향교_명륜당|광주향교 명륜당]]에 봉안된 어고방이 있었으나, 명륜당이 화재로 소실되어 광주목사 [[조철영]]이 사본을 작성한 것이 | + | *[[어고방]]은 원래 [[광주향교_명륜당|광주향교 명륜당]]에 봉안된 어고방이 있었으나, 명륜당이 화재로 소실되어 광주목사 [[조철영]]이 사본을 작성한 것이 [[광주향교지]]에 기록되어 있다. |
− | *또 다른 원본 [[어고방]]은 [[고정봉]]에게 사급(賜給)한 것이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고정봉은 가장 점수가 높았다. | + | *또 다른 원본 [[어고방]]은 [[고정봉]]에게 사급(賜給)한 것이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고정봉은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정봉은 [[고경명]]의 7대손이다. |
− | *광주 과거시험을 주제로 한 특별 기획전 '[[ | + | *광주 과거시험을 주제로 한 특별 기획전 '[[1798년_광주_과거시험_특별전|1798년 광주 과거시험 특별전]]'이 2014.10.8.~11.22 동안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열렸다. 장흥고씨 수촌공파 문중에서 [[어고방]]을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기증하였다. |
− | *2012년 11월 17일 [[광주_전통문화관 | + | *2012년 11월 17일 [[광주_전통문화관]]에서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가 열렸다. [[광주문화재단]] 주최로 ‘나도 과거시험 도전’으로 [[1798년_광주_과거시험]]을 재현하였다. |
== Semantic Data == | == Semantic Data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어고방|| Record|| || || 어고방|| 어고방|| 御考榜||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어고방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어고방.jpg | + | | 어고방|| Record|| 고문서|| || 어고방(御考榜)|| 어고방|| 御考榜||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어고방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어고방.jpg |
|} | |} | ||
22번째 줄: | 22번째 줄: |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 |- | ||
− | | [[어고방]] || [[ | + | | [[어고방]] || [[1798년_광주_과거시험]] || || || 어고방은 1798년 광주 과거시험과 관련있다 |
|- | |- | ||
− | | [[ | + | | [[어고방]] || [[광주향교_명륜당]] || || || 어고방의 옛 소장처는 광주향교 명륜당이다. |
|- | |- | ||
− | | [[어고방]] || [[ | + | | [[어고방]] || [[조철영]] || || || 어고방의 사본을 조철영이 만들었다. |
|- | |- | ||
− | | [[어고방]] || [[ | + | | [[어고방]] || [[고정봉]] || || || 어고방은 고정봉과 관련있다 |
|- | |- | ||
− | | [[ | + | | [[고경명]] || [[고정봉]] || || || 고정봉은 고경명의 7대손이다. |
|- | |- | ||
− | | [[ | + | | [[어고방]] || [[광주향교지]] || || || 어고방은 광주향교지에 소개되어 있다. |
|- | |- | ||
− | | [[ | + | | [[어고방]]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 || 어고방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 | | [[광주_과거시험_특별전]] || [[1798년_광주_과거시험]] || || || 광주 과서시험 특별전은 1798년 광주 과거시험을 전시했다. |
|- | |- | ||
− | | [[ | + | | [[1798년_광주_과거시험_특별전]]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 || 1798년 광주 과거시험 특별전이 2014년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열렸다. |
+ | |- | ||
+ | |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 || [[광주_전통문화관]] || || || 1798년 광주 과거시험 재현행사가 전통문화관에서 열렸다. | ||
+ | |- | ||
+ | |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 || [[1798년_광주_과거시험]] || || || 광주 과거시험 재현행사는 1798년 광주 과거시험을 재현하였다. | ||
+ | |- | ||
+ | |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 || [[광주문화재단]] || || || 광주 과거시험 재현행사는 광주문화재단이 주관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Web Resource == | == Web Resource == | ||
50번째 줄: | 55번째 줄: | ||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광주향교|| || http://aks.ai/GC60001072 |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광주향교|| || http://aks.ai/GC60001072 | ||
|- | |- | ||
− | | 참고|| 한국일보|| 1798년 광주의 과거시험은 어땠을까(2015 | + | | 참고|| 한국일보|| 1798년 광주의 과거시험은 어땠을까(2015-10-04. 안경호 기자)||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510041592181623 |
|- | |- | ||
| 참고|| 광주일보|| 1798년 광주객사 앞 과거시험..정조, 호남 유생 53명 발탁(2015-10-06. 김용희 기자)|| || http://www.kwangju.co.kr/print.php?aid=1444057200560602007 | | 참고|| 광주일보|| 1798년 광주객사 앞 과거시험..정조, 호남 유생 53명 발탁(2015-10-06. 김용희 기자)|| || http://www.kwangju.co.kr/print.php?aid=1444057200560602007 | ||
63번째 줄: | 68번째 줄: | ||
|- | |- | ||
| 논문|| 김희태, 「<어고방(御考榜)>으로 살펴본 정조대 도과시험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 No.47,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A107307716 | | 논문|| 김희태, 「<어고방(御考榜)>으로 살펴본 정조대 도과시험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 No.47,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RISS|| https://www.riss.kr/link?id=A107307716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4월 29일 (월) 16:55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어고방(御考榜)은 1798년(정조 22) 광주목에서 실시된 과거시험에서 정조(正祖)가 직접 검토하여 과거 합격자를 발표한 방목(榜目)이다. 길이는 28.2m이며, 정조가 직접 내려 ‘어고(御考)’라는 첨지가 있다. 어고방에 수록된 69명 가운데 합격자는 53명이다.
- 광주목 과거시험은 정조가 1797년 광주목사 서형수에게 명을 하여 어정대학연의, 연의보, 주자대전절약의 편찬과 교정 작업을 호남의 선비들에게 수행하도록 하는데 연원이 있다.
- 1798년_광주_과거시험은 광주목 객사인 광산관(光山館)에서 치러졌다.
- 광주목 시(詩) 과목 시제가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의 회방연((回榜宴, 1579년)과 관련이 있는 ‘하여면앙정(荷輿俛仰亭)’이다.
- 어고방은 원래 광주향교 명륜당에 봉안된 어고방이 있었으나, 명륜당이 화재로 소실되어 광주목사 조철영이 사본을 작성한 것이 광주향교지에 기록되어 있다.
- 또 다른 원본 어고방은 고정봉에게 사급(賜給)한 것이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당시 고정봉은 가장 점수가 높았다. 고정봉은 고경명의 7대손이다.
- 광주 과거시험을 주제로 한 특별 기획전 '1798년 광주 과거시험 특별전'이 2014.10.8.~11.22 동안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열렸다. 장흥고씨 수촌공파 문중에서 어고방을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기증하였다.
- 2012년 11월 17일 광주_전통문화관에서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가 열렸다. 광주문화재단 주최로 ‘나도 과거시험 도전’으로 1798년_광주_과거시험을 재현하였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어고방 | Record | 고문서 | 어고방(御考榜) | 어고방 | 御考榜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어고방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어고방.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어고방 | 1798년_광주_과거시험 | 어고방은 1798년 광주 과거시험과 관련있다 | ||
어고방 | 광주향교_명륜당 | 어고방의 옛 소장처는 광주향교 명륜당이다. | ||
어고방 | 조철영 | 어고방의 사본을 조철영이 만들었다. | ||
어고방 | 고정봉 | 어고방은 고정봉과 관련있다 | ||
고경명 | 고정봉 | 고정봉은 고경명의 7대손이다. | ||
어고방 | 광주향교지 | 어고방은 광주향교지에 소개되어 있다. | ||
어고방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어고방은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
광주_과거시험_특별전 | 1798년_광주_과거시험 | 광주 과서시험 특별전은 1798년 광주 과거시험을 전시했다. | ||
1798년_광주_과거시험_특별전 | 광주역사민속박물관 | 1798년 광주 과거시험 특별전이 2014년 광주역사민속박물관에서 열렸다. | ||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 | 광주_전통문화관 | 1798년 광주 과거시험 재현행사가 전통문화관에서 열렸다. | ||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 | 1798년_광주_과거시험 | 광주 과거시험 재현행사는 1798년 광주 과거시험을 재현하였다. | ||
광주_과거시험_재현행사 | 광주문화재단 | 광주 과거시험 재현행사는 광주문화재단이 주관하였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광주향교 | http://aks.ai/GC60001072 | |
참고 | 한국일보 | 1798년 광주의 과거시험은 어땠을까(2015-10-04. 안경호 기자)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510041592181623 | |
참고 | 광주일보 | 1798년 광주객사 앞 과거시험..정조, 호남 유생 53명 발탁(2015-10-06. 김용희 기자) | http://www.kwangju.co.kr/print.php?aid=1444057200560602007 | |
참고 | 광주드림 | 200년 전 과거시험 속으로…17일 전통문화관서 송순 회방연·광주목 과거 재현, 학생 100명 백일장(2012-11-06. 정상철 기자) | https://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442544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논문 | 김희태, 「<어고방(御考榜)>으로 살펴본 정조대 도과시험 고찰」, 『한국시가문화연구』 No.47,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 RISS | https://www.riss.kr/link?id=A107307716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