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산방죽(전평호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잔글 (→Definition) |
(→Contextual Relations)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 |- | ||
| [[개산방죽(전평호수)]] || [[개금산]] || || 인근 산 | | [[개산방죽(전평호수)]] || [[개금산]] || || 인근 산 | ||
+ | |- | ||
+ | |} | ||
+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
+ | !source||target||relation | ||
+ | |- | ||
+ | |[[개산방죽(전평호수)]]||[[개금산]]||isNear | ||
+ | |- | ||
+ | |[[개산방죽(전평호수)]]||[[박광옥]]||founder | ||
+ | |- | ||
+ | |[[수월당]]||[[개산방죽(전평호수)]]||isLocatedIn | ||
+ | |- | ||
+ | |[[박광옥]]||[[벽진서원]]||isEnshrinedIn | ||
+ | |- | ||
+ | |[[회재로]]||[[박광옥]]||isNamedAfter | ||
|- | |- | ||
|} | |} |
2023년 1월 6일 (금) 01:23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개산방죽(전평제)은 광주광역시 서구 매월동에 있는 약 1만 3천여평의 호수이다. 가운데 인공섬이 있고, 나무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 조선 중기, 매월동 출신의 고위 관료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중엔 의병 활동까지 했던 인물인, 회재 박광옥 선생이 지역 농민들을 위하여 1568년에 만든 저수지에서 비롯되었다. 이때 이름은 개산방죽이었다. 이 저수지의 물이 인근 개금산과 백마산에서 내려오는 물인데, 저수지를 만들 때 개금산 아래 개산마을 사람들이 주축이 되어 만들었기 때문이다.
- 오랜 세월 지역에서 농업용수와 재해 방지 역할을 충실히 하였고, 일제강점기인 1943년에 개축되었는데 이때 이름이 전평제(前坪堤)로 바뀌었다. 말 그대로 '마을 앞쪽에 있는 저수지'라는 뜻이다. 일제는 우리나라 저수지 이름을 지을 때 유래나 역사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그저 단순하게 '전평제'로 부르는 경우가 많았다. 전국 곳곳에 같은 이름을 가진 저수지나 호수가 많은 까닭이다. 그래서 일부 사람들은 원래 이름인 개산방죽을 되찾아주자는 주장도 하고 있다.
- 해방 이후 수십 년간 방치되었던 개산방죽은 주민들 사이에서 '매월제', '매월저수지' 등으로 무심하게 불리다가, 1999년~2002년에 실시된 국토공원화시험사업으로 환골탈태할 수 있었다. 2006년부터 정식으로 전평제 수변 공원으로 지정되었고, 가족들, 연인들이 즐겨 찾는 아주 편안한 쉼터 역할을 하고 있다. 주변에 맛집들, 카페들, 타운하우스 등이 들어서면서 찾는 사람들이 더욱 많아졌다. 봄에는 벚꽃, 여름에는 연꽃, 가을에는 메타세콰이어 낙엽, 겨울에는 눈 쌓인 호수 풍경까지 사계절 내내 아름다운 풍광을 제공한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개산방죽(전평호수) | Place | 자연 | 저수지 | 개산방죽(전평호수) | 개산방죽(전평호수) | 前坪堤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개산방죽(전평호수)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e/e4/개산방죽(전평호수)-전경-대동문화재단_보유사진.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개산방죽(전평호수) | 박광옥 | 조선 중기에 저수지 만든 학자 | |
박광옥 | 회재로 | 박광옥의 호을 딴 도로명 | |
개산방죽(전평호수) | 수월당 | 호수 인공섬에 만든 정자 | |
박광옥 | 벽진서원 | 영정, 위패를 모신 곳 | |
개산방죽(전평호수) | 개금산 | 인근 산 |
Contextual Relations (Semantic Network Graph)
source | target | relation |
---|---|---|
개산방죽(전평호수) | 개금산 | isNear |
개산방죽(전평호수) | 박광옥 | founder |
수월당 | 개산방죽(전평호수) | isLocatedIn |
박광옥 | 벽진서원 | isEnshrinedIn |
회재로 | 박광옥 | isNamedAfter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개산방죽(전평호수) | 35.115251 | 126. 848504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전평길1(매월동)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tription/caption | URL |
---|---|---|---|---|
참고 | 대한민국 구석구석 | 전평제 | https://korean.visitkorea.or.kr/detail/ms_detail.do?cotid=03eaccd7-21e7-4201-a829-a531e0d041c9 | |
참고 | 광주광역시서구청 문화관광 | 전평제 | https://www.seogu.gwangju.kr/menu.es?mid=a70901030000 | |
참고 | 광주역사문화자원스토리텔링 | 전평제 | http://gjstory.or.kr/sub.html?pid=48&formtype=view&code=140 | |
참고 | 시민의 소리 | 서구 매월동 전평제를 아시나요?(2014-08-05, 신문식 기자) | 서구 관광명소 문화유적지 관심과 관리 아쉬워 | http://www.siminsori.com/news/articleView.html?idxno=77443 |
참고 | 프레시안 | 전평제는 개산방죽이 연원, 지명 변경 반영해야(2019-03-14, 정인서 기자) | 광주시, 친일 지명, 미고시 지명 제정,정비 추진 | http://www.pressian.com/pages/articles/232572 |
참고 | 광주드림 | 전평제,경양방죽,언계방죽,용봉제(2022-03-04, 조광철 학예연구실장) | [광주갈피갈피] 광주 농토를 적셔주던 방죽들 | http://www.gjdream.com/news/articleView.html?idxno=613287 |
동영상 | 유튜브-광주광역시시각장애인복지관 | 전평제 근린 공원(2021-08-25) | 2021 치유의 도시공원 언택트 프로그램(숲해설) 제2편 | https://www.youtube.com/watch?v=kYcZT1uwmQ0 |
동영상 | 유튜브-CMB광주방송 | 전평제와 벽진공원(2022-10-26, 정만기 시민기자) | https://www.youtube.com/watch?v=Ak5fAU1Vpxc | |
동영상 | 흥미로운가 | 흥미로 쇼츠(shorts) - 전평호수 | https://www.youtube.com/embed/6m-GWefNMFA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정중수, 정인서, 『진정한 광주인 회재 박광옥 : 1526~1593』,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 2019. | 구글 | https://www.google.com/search?q=9791196229375 |
논문 | 이종일, 「회재(懷齋) 박광옥(朴光玉)의 생애와 학문 」, 『향토문화』Vol.23 No. , 향토문화개발협의회, 2003. | RISS | http://www.riss.kr/link?id=A106568972 |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