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충사우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Bibliography)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포충사우가」는 [[임진왜란]] [[호남_의병]] 의병장으로 나선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종후, 고인후 삼부자가 순절한 일대기를 읊은 장편의 시가이다. | *「포충사우가」는 [[임진왜란]] [[호남_의병]] 의병장으로 나선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종후, 고인후 삼부자가 순절한 일대기를 읊은 장편의 시가이다. | ||
*김상헌은 「포충사우가」에 광주와 [[무등산]]의 입지와 역사성, 고경명의 행적, 임진왜란 시 의병 창의, 의병군의 활약과 순절, 사우 건립과 현창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는 그 정신이 계승되기를 축원하는 글로 마무리하였다. | *김상헌은 「포충사우가」에 광주와 [[무등산]]의 입지와 역사성, 고경명의 행적, 임진왜란 시 의병 창의, 의병군의 활약과 순절, 사우 건립과 현창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는 그 정신이 계승되기를 축원하는 글로 마무리하였다. | ||
− | *「포충사우가」는 현판에 새겨 [[ | + | *「포충사우가」는 현판에 새겨 [[포충사_유물전시관_정기관]]에 소장 자료로 보관되어 있다. |
*「포충사우가」는 현판 외, 『[[정기록]](正氣綠)』(1617년), 『[[광주목지]]』(1799년), 『제하휘록(霽下彙錄)』(1839년), 『제봉연보』(1839년), 『광주읍지』(1924년), 『포충사지(褒忠祠誌)』(1959년) 등에 실려 있다 | *「포충사우가」는 현판 외, 『[[정기록]](正氣綠)』(1617년), 『[[광주목지]]』(1799년), 『제하휘록(霽下彙錄)』(1839년), 『제봉연보』(1839년), 『광주읍지』(1924년), 『포충사지(褒忠祠誌)』(1959년) 등에 실려 있다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 | |- | ||
− | | 포충사우가|| Work|| || || 포충사우가|| 포충사우가|| 褒忠祠宇歌||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포충사우가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포충사우가.jpg | + | | 포충사우가|| Work|| 문학 || 한시 || 한시) 포충사우가 || 포충사우가|| 褒忠祠宇歌||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포충사우가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포충사우가.jpg |
|} | |}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포충사우가]] || [[무등산]] || || || 포충사우가에는 무등산에 대한 내용도 있다 | | [[포충사우가]] || [[무등산]] || || || 포충사우가에는 무등산에 대한 내용도 있다 | ||
|- | |- | ||
− | | [[포충사우가]] || [[ | + | | [[포충사우가]] || [[포충사_유물전시관_정기관]] || || || 포충사우가는 포충사 유물전시관 정기관 소장 |
|- | |- | ||
| [[포충사우가]] || [[정기록]] || || || 포충사우가는 정기록에 실려있다 | | [[포충사우가]] || [[정기록]] || || || 포충사우가는 정기록에 실려있다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포충사우가」|| || http://aks.ai/GC60005841 | |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포충사우가」|| || http://aks.ai/GC60005841 | ||
|- | |- | ||
− | + | | 참고 || 향토학 || 인지의 즐거움098-광주 들이 넓고 기름져 호남의 명도(名都)라네 1614년의 포충사우가인(褒忠祠宇歌引) 현판을 다시 보다 || || https://kht1215.tistory.com/220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우가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우가.jpg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안내판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안내판.JPG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입구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입구.JPG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전경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전경.JPG | ||
+ | |- | ||
+ | | 사진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정기관 ||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정기관.JPG | ||
+ | |- | ||
+ | | 동영상 || [https://www.youtube.com/channel/UCU_UTpm5bYFNVabDs2HVCBA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유튜브 채널] || 인문스토리쇼츠-포충사우가(포충사) || || https://www.youtube.com/embed/Zd3TQ3Yoszc?si=VuSvev1dj7ryntGW | ||
+ | |- | ||
|} | |} | ||
54번째 줄: | 67번째 줄: |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4월 29일 (월) 17:18 기준 최신판
Definition
- 「포충사우가」(褒忠祠宇歌)는 1614년(광해군 6) 김상헌이 고경명의 충절을 추앙하여 지은 시가(詩歌)이다.
- 포충사는 임진왜란 순절자 고경명, 고종후, 고인후, 유팽로, 안영을 배향한 사우로 남구 원상동에 있다.
- 「포충사우가」는 임진왜란 호남_의병 의병장으로 나선 고경명과 그의 아들 고종후, 고인후 삼부자가 순절한 일대기를 읊은 장편의 시가이다.
- 김상헌은 「포충사우가」에 광주와 무등산의 입지와 역사성, 고경명의 행적, 임진왜란 시 의병 창의, 의병군의 활약과 순절, 사우 건립과 현창을 담고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는 그 정신이 계승되기를 축원하는 글로 마무리하였다.
- 「포충사우가」는 현판에 새겨 포충사_유물전시관_정기관에 소장 자료로 보관되어 있다.
- 「포충사우가」는 현판 외, 『정기록(正氣綠)』(1617년), 『광주목지』(1799년), 『제하휘록(霽下彙錄)』(1839년), 『제봉연보』(1839년), 『광주읍지』(1924년), 『포충사지(褒忠祠誌)』(1959년) 등에 실려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포충사우가 | Work | 문학 | 한시 | 한시) 포충사우가 | 포충사우가 | 褒忠祠宇歌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포충사우가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포충사우가.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포충사우가 | 포충사 | 포충사우가는 포충사 관련 시 | ||
포충사 | 고경명 | 포충사에는 고경명이 배향 | ||
포충사우가 | 김상헌 | 1614년 김상헌이 포충사우가 지음 | ||
고경명 | 임진왜란 | 임진왜란 때 활동 | ||
고경명 | 호남_의병 | 의병장 | ||
포충사우가 | 무등산 | 포충사우가에는 무등산에 대한 내용도 있다 | ||
포충사우가 | 포충사_유물전시관_정기관 | 포충사우가는 포충사 유물전시관 정기관 소장 | ||
포충사우가 | 정기록 | 포충사우가는 정기록에 실려있다 | ||
고경명 | 정기록 | 정기록은 고경명 등 삼부자의 일대기이다.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포충사우가」 | http://aks.ai/GC60005841 | |
참고 | 향토학 | 인지의 즐거움098-광주 들이 넓고 기름져 호남의 명도(名都)라네 1614년의 포충사우가인(褒忠祠宇歌引) 현판을 다시 보다 | https://kht1215.tistory.com/220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우가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우가.jpg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안내판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안내판.JPG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입구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입구.JPG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전경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전경.JPG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포충사 정기관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포충사우가/포충사_정기관.JPG | |
동영상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유튜브 채널 | 인문스토리쇼츠-포충사우가(포충사) | https://www.youtube.com/embed/Zd3TQ3Yoszc?si=VuSvev1dj7ryntGW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