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정시장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Definition
- 사정시장(社町市場)은 일제가 시장을 정비한다는 구실로 5일장이였던 큰 장과 작은 장을 합쳐 1931년 9월 4일 개설한 재래시장이다.
- 사정시장은 광주천 직강공사 등 하천정리사업을 하면서 생겨난 광주광역시 남구 사동 37번지 일대의 매립지에 개설되었다.
- 본래 ‘교사리시장’으로 불리우다가 광주읍이 되면서 ‘사정시장’, ‘읍영시장’으로 불렸다. 1935년 광주부로 승격된 뒤에는 ‘부영시장’이라고 했다.
- 사정시장은 광주공원 입구 왼쪽에 있었는데, 당시 광주부는 광주신사가 있는 광주공원을 성역화하기 위하여 1941년 사정시장을 지금의 양동시장인 천정 공설운동장 자리로 옮겼고, 사정시장은 천정시장이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얼마 후 폐시되었다. 이때의 점포 수는 366칸으로서 이전 사정시장의 470칸보다 무려 100여 점포가 줄어들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사정시장 | Place | 상업 | 사정시장(社町市場) | 사정시장 | 社町市場 |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사정시장 |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사정시장.jpg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사정시장 | 광주공원 | 사정시장은 광주공원 입구에 있었다 | ||
광주공원 | 광주신사 | 광주공원에 광주신사가 있었다 | ||
사정시장 | 광주천_직강공사 | 사정시장은 광주천 직강공사 때 개설되었다 | ||
광주천_직강공사 | 큰_장 | 광주천 직강공사 때 큰 장은 통합되었다 | ||
광주천_직강공사 | 작은_장 | 광주천 직강공사 때 작은 장은 통합되었다 | ||
사정시장 | 광주신사 | 사정시장은 광주신사 승격 때문에 이전되었다 | ||
사정시장 | 천정시장 | 사정시장은 이전되어 천정시장이 되었다. | ||
천정시장 | 양동시장 | 천정시장은 양동시장이 되었다 |
Spatial Data
id | latitude | longitude | address |
---|---|---|---|
사정시장 | 35.14360 | 126.91121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남구 중앙로 130-6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해설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 사정시장 | http://aks.ai/GC60002511 | |
참고 | 광주매일신문 | ‘예향’품은 광주 전통시장, 변화를 말하다 (2019-06-02,임후성 기자) | http://www.kjdaily.com/read.php3?aid=1559466483472216036 | |
참고 | 동아일보 | ‘광주시장(光州市場) 면목(面目)이 일신(一新) (1931-09-09) | https://www.donga.com/archive/newslibrary/view?ymd=19310909 | |
사진 | 광주 인문스토리 플랫폼 | 사정시장 | https://dh.aks.ac.kr/~metaArchive/gwangju/2023/사정시장/사정시장.jpg |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단행본 | 박선홍, 『광주 1백년 1』, 광주문화재단, 2012. | https://www.google.com/search?q=9788963810874 | |
단행본 | 『광주의 재래시장』, 광주광역시 역사민속박물관, 2001. | ||
논문 | 정경운, 「일제강점기 식민도시화 정책과 오일장 변화과정-광주 양동시장을 중심으로」, 『국학연구론총』no17,택민국학연구원,2016.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19288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