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덕원

광주문화예술인문스토리플랫폼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 1970~1990년대 활동한 시인이자 도서 및 해양 민속 연구의 선구자.
  • 최덕원(崔德源, 1935~2011)은 광주에서 태어났으며, 호는 청석(靑石)이다.
  •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대학신문》에 발표된 「무명용사」가 1958년 3월 4일자 《조선일보》에 게재된 「사색의 심연」(시조시인 이태극)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1969년 「매화」와 1980년 「청산별곡」이 추천되어 등단했다.
  • 한국문인협회, 한국현대시인협회, 한국시조시인협회, 한국시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 최덕원은 도서 및 해양 민속 연구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1970년대 중반부터 섬 지방의 굿과 당제, 어로 신앙, 들돌 신앙, 우실 신앙, 소금 신앙 등 다도해(多島海) 지역의 민간 신앙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민속예술과 구비문학을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 ‘정녀’라는 주인공을 통해 도서 및 해양 지역에 전승되어 오는 민속문화를 생생하게 형상화한 작품을 집필했는데, 이윤선최덕원의 유작을 엮어 『천년의 사랑: 청석 선생의 섬민속 스토리텔링』으로 출간하였다.
  • 제1시집 『강강술래』(전남매일출판국, 1978), 제2시집 『풍각장이』(삼성문화개발, 1992)가 있다. 대표 연구 저서로는 『다도해의 당제』(학문사, 1983), 『한국구비문학대계』(6-6, 6-7, 7-12)(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남도민속고』(삼성출판사, 1993), 『동편제판소리의 연원과 현장』(정문사, 1993) 등이 있으며, 이 밖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유작 소설로 『천년의 사랑: 청석 선생의 섬민속 스토리텔링』(민속원, 2013)이 있다.
  •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은 2001년 7월에 최덕원이 기증한 2,100여 권의 서적과 신앙·의례·생업·놀이 등을 기록한 1만 2,000여 장의 필름과 사진, 각종 문서 자료를 정리하여 목포대학교 교수회관 3층에 '최덕원 기념문고'(청석문고로 개칭)를 개관하였다. [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최덕원 Actor 인물-문화예술 시인 최덕원(崔德源, 1935~2011) 최덕원 崔德源 Choe Deok-won http://dh.aks.ac.kr/~gwangju/wiki/index.php/최덕원

http://dh.aks.ac.kr/~gwangju/wiki/images/icon/2023/최덕원.jpg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최덕원 무명용사 최덕원은 「무명용사」의 창작자이다
최덕원 시_매화 등단작 최덕원은 「매화」의 창작자는 최덕원이다
최덕원 한국문인협회 최덕원은 한국문인협회의 멤버이다
최덕원 한국시조시인협회 최덕원은 한국시조시인협회의 멤버이다
최덕원 한국시문학회 최덕원은 한국시문학회의 멤버이다
최덕원 한국구비문학대계 최덕원은 『한국구비문학대계』의 창작자이다
최덕원] 남도민속고 최덕원은 『남도민속고』의 창작자이다
최덕원 다도해의_당제 최덕원은 『다도해의 당제』의 창작자이다
최덕원 청석문고 최덕원의 기증작은 청석문고에 보관되었다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해설 디지털광주문화대전 최덕원 http://aks.ai/GC60002060
참고 한국시인박물관 정재완(鄭在燮) http://한국시집박물관.org/?mod=document&uid=118&page_id=30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단행본 최덕원, 『남도의 민속문화』, 밀알, 1994. https://www.google.co.kr/search?q=9788941801221
단행본 이윤선(엮은이), 최덕원, 『천년의 사랑: 청석 선생의 섬민속 스토리텔링』, 민속원, 2013. https://www.google.co.kr/search?q=9788928503971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