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의 세계를 알아보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Pripri2004 (토론 | 기여) |
(→참고문헌)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파일:2조사진.png|550픽셀]] | + | [[파일:2조사진.png|550픽셀]] |
=콘텐츠 주제= | =콘텐츠 주제= | ||
− | ===주제== | + | ===주제=== |
− | + | <big><big><div style="text-align:center"> | |
+ | 한글 사용 규제를 비웃듯 한시만 발표하던 그의 '''의지''',</br> | ||
+ | 고향을 잃어도 결코 꺾이지 않던 그의 '''희망''',</br> | ||
+ | 나이 서른에 이미 옥고를 치르고 일본의 요주 인물이 된 [[이육사]] 시인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독립 운동에 뛰어 들었다.</br></br> | ||
+ | 저항 시인이라는 단순하고도 납작한 표현으로는 다 담을 수 없는 그의 생애를 알아보자.</br> | ||
+ | </div></big></big> | ||
===기여=== | ===기여===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송아영 ([[영]]) || 주제 내용 작성 || ★★★★★ | ||
+ | |- | ||
+ | |} | ||
=팀원= | =팀원= | ||
15번째 줄: | 26번째 줄: | ||
·영어영문학과 [[송아영]] I [[영]]<br> | ·영어영문학과 [[송아영]] I [[영]]<br> | ||
·불어불문학과 [[장한나]] I [[폼폼푸딩🍮]] <br> | ·불어불문학과 [[장한나]] I [[폼폼푸딩🍮]] <br> | ||
− | ·영어영문학과 [[차원용]] | + | ·영어영문학과 [[차원용]] |
=기획 의도= | =기획 의도= | ||
− | + | [[민족문학]] 분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한 후, 탐구할 인물로 일제강점기<ref>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318</ref> 시기 저항시인 [[이육사]]를 선정했다.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시인이며 작품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에 대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가 살아생전 [[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이를 동시에 부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고자 결정했다.</br> | |
− | + | 이렇게 그의 대표 작품들을 그의 생애와 연관지어 심도있게 탐구해보고, 동시에 그의 삶 자체에 대해서도 연구하는, <이육사의 세계를 알아보조>라는 제목의 콘텐츠를 기획하게 되었다. 시인으로서의 이육사, 그리고 독립운동가로서의 이육사를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br> | |
+ | 또한 이육사 시인이 실제로 [[고려대학교]]가 위치한 종암동에서 거주했었으며 해당 거주 시기에 「[[청포도]]」와 「[[절정]]」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해당 위키 제작이 더 유의미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br> | ||
+ | 사실 이육사 시인의 작품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그가 어떠한 배경에서 살아왔는지 그리고 얼마나 다양한 방면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해왔는지 등에 대해서는 모르는 이가 많다. 해당 위키를 통해, 보다 많은 이들이 이육사 시인의 독립운동과 생애에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기를 기대한다.</br> | ||
===기여===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장한나([[폼폼푸딩🍮]]) || 기획 의도 작성 || ★★★★★ | ||
+ | |- | ||
+ | |} | ||
=온톨로지= | =온톨로지= | ||
+ | |||
+ | {{NetworkGraph | title=이육사온톨로지.lst}} | ||
+ | |||
===기여===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김승희]] || 온톨로지 제작 || ★★★★★ | ||
+ | |- | ||
+ | |} | ||
+ | |||
=콘텐츠 구조= | =콘텐츠 구조= | ||
===클래스(Class)=== | ===클래스(Class)=== | ||
+ | {|class="wikitable" | ||
+ | ! 클래스 || 설명 || 노드 | ||
+ | |- | ||
+ | | '''생애''' || 독립운동가이기도 한 이육사 시인이 어떠한 삶을 살아왔는지 보여주는 키워드. || [[독립운동]] [[의열단]] [[장진홍]] [[이병희]] [[윤세주]]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cc909071fa348c79cfcbc78e2011b35 옥살이] [[이육사_문학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 ||
+ | |- | ||
+ | | '''작품''' ||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이육사 시인의 대표작. || [[자야곡]] [[절정]] [[잃어진 고향]] [[광야]] [[청포도]] [[교목]] | ||
+ | |- | ||
+ | | '''작품의 성격''' || 이육사 시인의 작품들에 전반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성격. || [[의지적]] [[목가적]] [https://ko.dict.naver.com/#/entry/koko/d5cfd278abd34c2ea9542cc73bf4b2f0 남성적] [[선비정신]] | ||
+ | |- | ||
+ | | '''책자''' || 이육사 시인의 작품이 수록된 책자. || [[문장]] [[자유신문]] [[별건곤]] [[육사시집]] [[주간서울]] | ||
+ | |} | ||
====기여====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김승희 || 클래스 표 작성 || ★★★★★ | ||
+ | |- | ||
+ | | 송아영 ([[영]]) || 클래스 작성 및 책자 온톨로지 제작 || ★★★★★ | ||
+ | |- | ||
+ | | 차원용 || 노드 일부 추가 || ★★★★★ | ||
+ | |} | ||
===관계성(Relation)=== | ===관계성(Relation)=== | ||
+ | |||
+ | **<span style="color:orange">'''~의 시인이다'''</span> | ||
+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유명 작품들을 작가인 이육사 시인과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절정→ 이육사 | ||
+ | ***#광야 → 이육사 | ||
+ | ***#잃어진 고향 → 이육사 | ||
+ | ***#청포도 → 이육사 | ||
+ | ***#자야곡 → 이육사 | ||
+ | ***#교목 → 이육사 | ||
+ | |||
+ | |||
+ | **<span style="color:orange">'''~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span> | ||
+ | ***설명: 이육사 시인의 대표작들과 그 작품들의 성격을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의지적 → 잃어진 고향 | ||
+ | ***#의지적 → 교목 | ||
+ | ***#의지적 → 청포도 | ||
+ | ***#의지적 → 절정 | ||
+ | ***#의지적 → 광야 | ||
+ | ***#남성적 → 교목 | ||
+ | ***#남성적 → 잃어진 고향 | ||
+ | ***#남성적 → 절정 | ||
+ | ***#남성적 → 광야 | ||
+ | ***#남성적 → 자야곡 | ||
+ | ***#남성적 → 청포도 | ||
+ | ***#목가적 → 잃어진 고향 | ||
+ | ***#목가적 → 교목 | ||
+ | ***#선비정신 → 광야 | ||
+ | ***#선비정신 → 절정 | ||
+ | |||
+ | |||
+ | **<span style="color:orange">'''관련있는 독립운동가'''</span> | ||
+ | ***설명: 동시대에 활동하였던 독립운동가 중에 이육사 시인과 같은 사건에 연루되는 등 깊은 연관을 지닌 인물을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장진홍 → 이육사 | ||
+ | ***#이병희 → 이육사 | ||
+ | ***#윤세주 → 이육사 | ||
+ | |||
+ | |||
+ | **<span style="color:orange">'''~에 소속되었다'''</span> | ||
+ | ***설명: 이육사 시인, 그리고 다른 독립운동가들은 특정 단체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각각의 독립운동가가 어느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는지를 정리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장진홍 → 의열단 | ||
+ | ***#이병희 → 의열단 | ||
+ | ***#이육사 → 의열단 | ||
+ | ***#윤세주 → 의열단 | ||
+ | ***#이육사 → 조선혁명군사정치학교 | ||
+ | |||
+ | |||
+ | **<span style="color:orange">'''~를 기린다'''</span> | ||
+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사후에 이육사를 기리는 장소에 관련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이육사_문학관 → 이육사 | ||
+ | |||
+ | |||
+ | **<span style="color:orange">'''~에 수록되었다'''</span> | ||
+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작품이 실린 책자를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잃어진 고향 → [[주간서울]] | ||
+ | ***#청포도 → [[문장]] | ||
+ | ***#절정 → 문장 | ||
+ | ***#광야 → [[자유신문]] | ||
+ | ***#청포도 → [[육사시집]] | ||
+ | ***#자야곡 → 육사시집 | ||
+ | ***#교목 → 육사시집 | ||
+ | ***#절정 → 육사시집 | ||
+ | ***#광야 → 육사시집 | ||
+ | |||
+ | |||
+ | **<span style="color:orange">'''~에 기고했다'''</span> | ||
+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시가 아닌 글을 기고한 관계를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
+ | ***해당노드: | ||
+ | ***#이육사 → [[별건곤]] | ||
+ | |||
====기여====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김승희 || 릴레이션 전반부 작성 || ★★★★★ | ||
+ | |- | ||
+ | | 장한나 ([[폼폼푸딩🍮]]) || 릴레이션 일부 추가 || ★★★★★ | ||
+ | |- | ||
+ | | 송아영 ([[영]]) || 릴레이션 일부 추가 || ★★★★★ | ||
+ | |- | ||
+ | | 차원용 || 릴레이션 일부 추가 || ★★★★★ | ||
+ | |} | ||
+ | |||
=마인드맵= | =마인드맵= | ||
+ | |||
*주제 마인드맵 | *주제 마인드맵 | ||
− | [[파일: | + | [[파일:2조 주제 마인드맵.jpg|550픽셀]] |
− | + | ||
*노드 마인드맵 | *노드 마인드맵 | ||
− | + | [[파일:2조마인드맵.png|550픽셀]] | |
===기여=== | ===기여===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장한나([[폼폼푸딩🍮]])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
+ | |- | ||
+ | | [[김승희]]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
+ | |- | ||
+ | | [[류호연]]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
+ | |- | ||
+ | | [[차원용]]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
+ | |- | ||
+ | | 송아영 ([[영]]) || 주제 마인드맵 작성, 노드 마인드맵 제작 || ★★★★★ | ||
+ | |- | ||
+ | |} | ||
− | |||
− | + | ==타임라인== | |
− | == | ||
<html> | <html> |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wD-5d-7BF1ib7f4qRDHxjibxcRlmQ5swWQTsuG18PrY&font=Default&lang=en&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iframe src='https://cdn.knightlab.com/libs/timeline3/latest/embed/index.html?source=1wD-5d-7BF1ib7f4qRDHxjibxcRlmQ5swWQTsuG18PrY&font=Default&lang=en&initial_zoom=2&height=650' width='100%' height='650' webkitallowfullscreen mozallowfullscreen allowfullscreen frameborder='0'></iframe> | ||
</html> | </html> | ||
− | + | ||
+ | ===기여===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송아영 ([[영]]) || 타임라인 자료 조사 및 제작 || ★★★★★ | ||
+ | |- | ||
+ | |} | ||
+ | |||
+ | |||
==지도== | ==지도== | ||
<html> | <html> | ||
− |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u/0/embed?mid=1CiFKwekNf2Ry6z4IyRDVpwFGrjozGD4&ehbc=2E312F" width=" | + | <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d/u/0/embed?mid=1CiFKwekNf2Ry6z4IyRDVpwFGrjozGD4&ehbc=2E312F" width="600" height="600"></iframe> |
</html> | </html> | ||
+ | |||
+ | * 출생지 | ||
+ | * 사망지 | ||
+ | * 서대문형무소(투옥) | ||
+ | * 1920년 정착지 | ||
+ | * 의열단 입단을 권유 받은 장소 | ||
+ | * 조선혁명간부학교 | ||
+ | * 1934년 검거된 장소 | ||
+ | * 이육사문학관 | ||
+ | * 이육사 생가 | ||
+ | * 문화공간 이육사 | ||
+ | |||
===기여=== | ===기여=== | ||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right;"| | ||
+ |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 | |- | ||
+ | | rowspan="7" | 장한나 ([[폼폼푸딩🍮]]) || 지도 자료 조사 및 제작 || ★★★★★ | ||
+ |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신웅순. (2003). 이육사의 시인 정신 - 「절정」과 「교목」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66, 401-417.<br/> | ||
+ | 류순태. (2013). 이육사 시 「절정」의 비극적 실존 의식과 저항성 연구. 우리문학연구, 38, 387-418.<br/> | ||
+ | 박민영. (2016). 절망에 저항하는 이육사의 시 -시 『절정(絶頂)』 『광야(曠野)』 『꽃』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49(0), 29-49.<br/> | ||
+ | 박순원. 이육사의 「광야」 연구. 비평문학. 2011;(40):89-115.<br/> | ||
+ | 김효석. (2015). <문장>지 특성에 대한 再考 - 상허 이태준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61, 421-446.<br/> | ||
+ | 포천의 인물 ; 한국인의 정신(선비정신), 경기도 아카이브,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24722.<br/> | ||
+ | 김보영, 한양대학교, <자유신문 해제>.<br/> | ||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318. | ||
+ | 조은주. (2017). 이육사의 문학관과 ‘광야(曠野)’의 사상성 - 행동주의, 니체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 22, 153-194.<br/> | ||
+ | 심재억. (2002). 이육사 詩 3편 다시 세상밖으로.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21123013001</br> | ||
+ | 배영대. (2022). '청포도' 이육사의 애끊는 望鄕歌.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4383227#home</br> | ||
+ | 서울신문사. (n.d.) 주간서울.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813301</br> | ||
+ | 별건곤 (別乾坤). (n.d.)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2991</br> | ||
+ | 김경복. (2016). 이육사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국문학논총, 74, 100-109. | ||
+ | 李陸史. (1941). 子夜曲. 문장, 3(4), 172-173. | ||
+ | 이성우. (2019). 1920년대 이육사의 국내 독립운동. 독립기념과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67권. 143-178 | ||
+ | 청포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6822 | ||
− | [[분류:]] | + | [[분류:김승희]] [[분류:류호연]] [[분류:영]] [[분류:폼폼푸딩🍮]] [[분류:차원용]] [[분류:민족문학]] [[분류:콘텐츠 분야 7분반]] |
2023년 12월 11일 (월) 00:08 기준 최신판
목차
콘텐츠 주제
주제
한글 사용 규제를 비웃듯 한시만 발표하던 그의 의지,
고향을 잃어도 결코 꺾이지 않던 그의 희망,
나이 서른에 이미 옥고를 치르고 일본의 요주 인물이 된 이육사 시인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많은 독립 운동에 뛰어 들었다.
저항 시인이라는 단순하고도 납작한 표현으로는 다 담을 수 없는 그의 생애를 알아보자.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송아영 (영) | 주제 내용 작성 | ★★★★★ |
팀원
·영어영문학과 김승희
·한국사학과 류호연
·영어영문학과 송아영 I 영
·불어불문학과 장한나 I 폼폼푸딩🍮
·영어영문학과 차원용
기획 의도
민족문학 분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한 후, 탐구할 인물로 일제강점기[1] 시기 저항시인 이육사를 선정했다. 대중적인 인지도가 높은 시인이며 작품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에 대해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가 살아생전 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기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어 이를 동시에 부각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기획하고자 결정했다.
이렇게 그의 대표 작품들을 그의 생애와 연관지어 심도있게 탐구해보고, 동시에 그의 삶 자체에 대해서도 연구하는, <이육사의 세계를 알아보조>라는 제목의 콘텐츠를 기획하게 되었다. 시인으로서의 이육사, 그리고 독립운동가로서의 이육사를 중점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육사 시인이 실제로 고려대학교가 위치한 종암동에서 거주했었으며 해당 거주 시기에 「청포도」와 「절정」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는 점에서, 해당 위키 제작이 더 유의미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사실 이육사 시인의 작품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그가 어떠한 배경에서 살아왔는지 그리고 얼마나 다양한 방면에서 항일독립운동을 해왔는지 등에 대해서는 모르는 이가 많다. 해당 위키를 통해, 보다 많은 이들이 이육사 시인의 독립운동과 생애에 관심을 가지고 주목하기를 기대한다.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장한나(폼폼푸딩🍮) | 기획 의도 작성 | ★★★★★ |
온톨로지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김승희 | 온톨로지 제작 | ★★★★★ |
콘텐츠 구조
클래스(Class)
클래스 | 설명 | 노드 |
---|---|---|
생애 | 독립운동가이기도 한 이육사 시인이 어떠한 삶을 살아왔는지 보여주는 키워드. | 독립운동 의열단 장진홍 이병희 윤세주 옥살이 이육사_문학관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
작품 |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이육사 시인의 대표작. | 자야곡 절정 잃어진 고향 광야 청포도 교목 |
작품의 성격 | 이육사 시인의 작품들에 전반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성격. | 의지적 목가적 남성적 선비정신 |
책자 | 이육사 시인의 작품이 수록된 책자. | 문장 자유신문 별건곤 육사시집 주간서울 |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김승희 | 클래스 표 작성 | ★★★★★ |
송아영 (영) | 클래스 작성 및 책자 온톨로지 제작 | ★★★★★ |
차원용 | 노드 일부 추가 | ★★★★★ |
관계성(Relation)
- ~의 시인이다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유명 작품들을 작가인 이육사 시인과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해당노드:
- 절정→ 이육사
- 광야 → 이육사
- 잃어진 고향 → 이육사
- 청포도 → 이육사
- 자야곡 → 이육사
- 교목 → 이육사
- ~의 시인이다
- ~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 설명: 이육사 시인의 대표작들과 그 작품들의 성격을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해당노드:
- 의지적 → 잃어진 고향
- 의지적 → 교목
- 의지적 → 청포도
- 의지적 → 절정
- 의지적 → 광야
- 남성적 → 교목
- 남성적 → 잃어진 고향
- 남성적 → 절정
- 남성적 → 광야
- 남성적 → 자야곡
- 남성적 → 청포도
- 목가적 → 잃어진 고향
- 목가적 → 교목
- 선비정신 → 광야
- 선비정신 → 절정
- ~인 성격을 지니고 있다
- 관련있는 독립운동가
- 설명: 동시대에 활동하였던 독립운동가 중에 이육사 시인과 같은 사건에 연루되는 등 깊은 연관을 지닌 인물을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해당노드:
- 장진홍 → 이육사
- 이병희 → 이육사
- 윤세주 → 이육사
- 관련있는 독립운동가
- ~에 소속되었다
- 설명: 이육사 시인, 그리고 다른 독립운동가들은 특정 단체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각각의 독립운동가가 어느 단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는지를 정리한 릴레이션이다.
- 해당노드:
- 장진홍 → 의열단
- 이병희 → 의열단
- 이육사 → 의열단
- 윤세주 → 의열단
- 이육사 → 조선혁명군사정치학교
- ~에 소속되었다
- ~를 기린다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사후에 이육사를 기리는 장소에 관련된 릴레이션이다.
- 해당노드:
- 이육사_문학관 → 이육사
- ~를 기린다
- ~에 기고했다
- 설명: 이육사 시인의 시가 아닌 글을 기고한 관계를 연결한 릴레이션이다.
- 해당노드:
- 이육사 → 별건곤
- ~에 기고했다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김승희 | 릴레이션 전반부 작성 | ★★★★★ |
장한나 (폼폼푸딩🍮) | 릴레이션 일부 추가 | ★★★★★ |
송아영 (영) | 릴레이션 일부 추가 | ★★★★★ |
차원용 | 릴레이션 일부 추가 | ★★★★★ |
마인드맵
- 주제 마인드맵
- 노드 마인드맵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장한나(폼폼푸딩🍮)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김승희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류호연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차원용 | 마인드맵 아이디어 제공 | ★★★★★ |
송아영 (영) | 주제 마인드맵 작성, 노드 마인드맵 제작 | ★★★★★ |
타임라인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송아영 (영) | 타임라인 자료 조사 및 제작 | ★★★★★ |
지도
- 출생지
- 사망지
- 서대문형무소(투옥)
- 1920년 정착지
- 의열단 입단을 권유 받은 장소
- 조선혁명간부학교
- 1934년 검거된 장소
- 이육사문학관
- 이육사 생가
- 문화공간 이육사
기여
팀원 | 기여내용 | 자체평가 |
---|---|---|
장한나 (폼폼푸딩🍮) | 지도 자료 조사 및 제작 | ★★★★★ |
참고문헌
신웅순. (2003). 이육사의 시인 정신 - 「절정」과 「교목」을 중심으로. 새국어교육, 66, 401-417.
류순태. (2013). 이육사 시 「절정」의 비극적 실존 의식과 저항성 연구. 우리문학연구, 38, 387-418.
박민영. (2016). 절망에 저항하는 이육사의 시 -시 『절정(絶頂)』 『광야(曠野)』 『꽃』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49(0), 29-49.
박순원. 이육사의 「광야」 연구. 비평문학. 2011;(40):89-115.
김효석. (2015). <문장>지 특성에 대한 再考 - 상허 이태준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61, 421-446.
포천의 인물 ; 한국인의 정신(선비정신), 경기도 아카이브,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10024722.
김보영, 한양대학교, <자유신문 해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7318.
조은주. (2017). 이육사의 문학관과 ‘광야(曠野)’의 사상성 - 행동주의, 니체주의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 22, 153-194.
심재억. (2002). 이육사 詩 3편 다시 세상밖으로.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21123013001
배영대. (2022). '청포도' 이육사의 애끊는 望鄕歌.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4383227#home
서울신문사. (n.d.) 주간서울. yes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4813301
별건곤 (別乾坤). (n.d.)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2991
김경복. (2016). 이육사 시의 유토피아 의식 연구. 한국문학논총, 74, 100-109.
李陸史. (1941). 子夜曲. 문장, 3(4), 172-173.
이성우. (2019). 1920년대 이육사의 국내 독립운동. 독립기념과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67권. 143-178
청포도: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6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