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ngsajikseol - Cultivating rice - Transplanting

classics
이동: 둘러보기, 검색

Class Home Text Image Text with Punctuation

苗種 Cultivating rice - Transplanting

Original Script


09

10

Text with Punctuation
○苗種法:
擇水田, 雖遇旱不乾處。
二月下旬至三月上旬可耕。 每水田十分, 以一分養苗, 餘九分以擬裁苗【拔苗訖, 幷裁養苗處】
先耕養苗處如法, 熟治去水, 剉柳枝軟梢厚布, 訖足踏之。
曝土令乾, 後灌水。 先漬稻種三日, 漉入蒿篅【鄕名: 空石】
經一日下種, 後以板撈【鄕名: 翻地】覆種。
苗長一握以上, 可移裁之。
先耕苗種處, 布杼葉【鄕名: 加乙草】或牛馬糞。
臨移裁時, 又耕之如法, 熟治, 令土極軟。
每一科裁不過四五苗。
根未着土, 灌水不可令深。曝土時, 以人踏暫印爲度。 此法, 便於除草, 萬一大旱, 則失手, 農家之危事也。】
下秧吉日【種秧、揷秧同。 】, 辛未、癸酉、壬午、癸未、庚寅、甲午、甲辰、乙巳、丙午、丁未、戊申、己酉、乙卯、辛酉。 【總論有】
己亥、己未、成月、收日, 下五穀種通用。
秧基, 以灰和人糞布秧基。 而假如五斗落多年秧基, 則和糞灰三石; 若初作秧基, 則和糞灰四石適中。 和糞時, 極細調均。 若糞塊未破, 穀着其上, 反致浮釀。【慶尙左、西道行之。】
胡麻殼剉之牛馬廏踐踏積置經冬者、木綿子和廏尿者亦可。【右道人行之。】
莭早無草, 則可好; 而至於晩稻, 亦爲之。
○ 沙沓秧基, 不待曝土, 因水下種。不然, 暫乾秧, 不着根。
凡地品不强, 或因雨水, 不得如法曝土處有秧種浮釀之狀, 則去水。如根未着土, 以沙量宜厭之, 根着後貯水。
移秧處, 水若乾涸, 急於移栽而苗弱, 若儲水秧基, 則秧苗自然, 出水長成。然弱而長, 移種時不無折傷之患矣。

苗種, 或不卽移揷, 有過時蠅點處【俗所謂蠅尿】, 厚布乾草於苗上, 焚之後卽灌水, 待其葉間新芽抽出寸許, 或量宜長短移種, 則與趂時揷秧者無異。【上同。一說: 小灌水焚之 無傷根。三日後種(之)。】
反種法: 水田無水, 雜草荒蕪, 未易除却處, 待水拔取禾苗, 不至損傷者束之, 反耕更種。
雖有水處, 人力不足, 難於除草, 則亦行此法。禾甚盛, 勝於苗種。
或云禾不足, 而老農屢經之人皆曰: 「足以種矣。」
秧草、軟柳枝及眞櫟【갈】, 以負斫刀【似(挾)刀, 下鐵以木爲柄】打斷, 用廏下水, 或人尿沾濕, 或牛馬廏踐踏, 和溫灰及人尿積置, 以苦草蓋之善蒸。 白頭翁草亦可, 而甚毒, 多布傷秧, 須雜以芳草【俗小兒作髮細草之類也。】, 如上法蒸而用之。【慶尙左道人行之。】

Text with Punctuation
○苗種法:
擇水田, 雖遇旱不乾處。
二月下旬至三月上旬可耕。 每水田十分, 以一分養苗, 餘九分以擬裁苗【拔苗訖, 幷裁養苗處】
先耕養苗處, 如法熟治, 去水。 剉柳枝軟梢, 厚布訖, 足踏之。
曝土令乾後, 灌水。 先漬稻種三日, 漉入蒿篅【鄕名: 空石】
經一日,下種後, 以板撈【鄕名: 翻地】覆種。
苗長一握以上, 可移裁之。
先耕苗種處, 布杼葉【鄕名: 加乙草】或牛馬糞。
臨移裁時, 又耕之, 如法熟治, 令土極軟。
每一科裁不過四五苗。
根未着土, 灌水不可令深。曝土時, 以人踏暫印爲度。 此法, 便於除草, 萬一大旱, 則失手, 農家之危事也。】
下秧吉日【種秧、揷秧同。 】, 辛未、癸酉、壬午、癸未、庚寅、甲午、甲辰、乙巳、丙午、丁未、戊申、己酉、乙卯、辛酉。 【總論有】
己亥、己未、成月、收日, 下五穀種通用。
秧基, 以灰和人糞, 布秧基。 而假如五斗落多年秧基, 則和糞灰三石; 若初作秧基, 則和糞灰四石適中。 和糞時, 極細調均。 若糞塊未破, 穀着其上, 反致浮釀。【慶尙左、西道行之。】
胡麻殼剉之,牛馬廏踐踏, 積置經冬者、木綿子和廏尿者,亦可。【右道人行之。】
莭早無草, 則可好; 而至於晩稻, 亦爲之。
○ 沙沓秧基, 不待曝土, 因水下種。不然, 暫乾秧, 不着根。
凡地品不强, 或因雨水, 不得如法, 曝土處有秧種浮釀之狀, 則去水。如根未着土, 以沙量宜厭之, 根着後, 貯水。
移秧處, 水若乾涸, 急於移栽, 而苗弱, 若儲水秧基, 則秧苗自然出水長成。然弱而長, 移種時, 不無折傷之患矣。

  1. ○ 苗種法.
  2. 擇水田, 雖遇旱不乾處.
  3. 二月下旬至三月上旬可耕.
  4. 每水田十分, 以一分養苗, 餘九分以擬栽苗
  5. 拔苗訖, 幷栽養苗處.
  6. 先耕養苗處如法, 熟治, 去水.
  7. 剉柳枝軟梢, 厚布訖, 足踏之.
  8. 曝土, 令乾後, 灌水.
  9. 先漬稻種三日, 漉入蒿篅 鄕名空石,
  10. 經一日, 下種後, 以板撈 鄕名 飜地 覆種 .
  11. 苗長一握以上, 可移栽之,
  12. 先耕苗種處, 布杼葉 鄕名加乙草, 或牛馬糞.
  13. 臨移栽時, 又耕之如法, 熟治, 令土極軟.
  14. 每一科栽不過四五苗,
  15. 根未着土, 灌水不可令深.
  16. 曝土時 以人踏暫印爲度.
  17. 此法, 便於除草,
  18. 萬一大早, 則失手, 農家之危事也.
  19. 下秧吉日
  20. 種秧 揷秧同
  21. 辛未, 癸酉, 壬午, 癸未, 庚寅, 甲午,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乙卯, 辛酉
  22. 總論有
  23. 己亥 己未 成月 收日 下五穀種 通用
  24. 早稻秧基
  25. 以灰和人糞 布秧基
  26. 而假如五斗落 多年秧基 則和糞灰三石
  27. 若初作秧基 則和糞灰四石適中 和糞時
  28. 極細調均 若糞塊未破 穀着其上 反致浮釀
  29. 慶尙左西道行之[1]
  30. 胡麻(殼) 剉之 牛馬廏踐踏 積置經冬者 木綿子和廏尿者 亦可.
  31. 右道人行之 莭早無草 則可好而至於晩稻亦爲之
  32. ○ 沙沓秧基, 因水下種,
  33. 不然(暫) 乾秧, 不着根.
  34. 凡地品不强, 或因雨水, 不得如法,
  35. 曝土處有秧種浮釀之狀, 則去水,
  36. 如根未着土, 以沙量宜厭之, 根着後貯水.
  37. 移秧處. 水若乾涸. 急於移栽. 而苗弱.
  38. 若儲水秧基. 則秧苗自然 出水長成.
  39. 然弱而長. 移種時. 不無折傷之患矣.
  40. 苗種, 或不卽移秧(揷),
  41. 有過時蠅點處,
  42. 俗所謂蠅尿.
  43. 厚布乾草於苗上, 焚之後卽灌水,
  44. 待其葉間新芽抽出寸許, 或量宜長短移種, 則與趂時 揷秧者無異,上同.
  45. (一說) 小灌水焚之 無傷根 三日後種(之).
  46. 反種法, 水田無水, 雜草荒蕪, 未易除(去)却處, 待水拔取禾苗, 不至損傷者束之, 反耕更種
  47. 雖有水處, 人力不足, 難於除草, 則亦行此法.
  48. 禾甚盛, 勝於苗種, 或云禾不足, 而老農屢經之, 人皆曰足以種矣.
  49. 秧草, 軟柳枝及眞櫟, 行갈 以負斫刀,似(挾)刀 下鐵以木爲柄打斷,
  50. 用廏下水, 或人尿沾濕, 或牛馬廏踐踏, 和溫灰及人尿積置, 以苦草蓋之善蒸,
  51. 白頭翁草, 亦可而甚毒, 多布傷秧, 須雜以芳草,
  52. 俗小兒作髮細草之類也 如上法蒸而用之. 慶尙左道人 行之
  53. 又方馬糞燒灰, 有火秧草, 交合人尿, 雜以火灰積之, 灰基以苦草盖之, 煖鬱速蒸, 上同
  54. 蘆草甚好, 而可欠晩, 然日日茁長, 可以計月, 移秧.

Previous Translations

Korean Translation, Version 1

  1. X
  2. 가물더라도 마르지 않는 논을 고른다.
  3. 2월 하순에서 3월 상순까지 갈아야 한다.
  4. 모든 논을 10등분하여 10분의 1에 해당되는 면적에 모를 배양하되, 나머지 9분에 모를 재배할 수 있을 분량을 키운다
  5. <“모를 뽑은 다음에, 모를 배양했던 곳에서도 <벼를> 재배한다.”>
  6. 먼저 모를 배양하는 곳을 농법대로 갈아서 부드럽게 만든 후 물을 뺀다.
  7. 버드나무 가지를 꺾어 끝부분을 연하게 만들어 두텁게 덮은 다음에 발로 밟아준다.
  8. 햇볕에 흙을 바싹 말린 후 물을 댄다.
  9. 우선 볍씨를 3일 동안 담갔다가 걸러내서 호천(蒿篅) <향명(鄕名)으로는 공석(空石)이다.”> 에 넣고, 하루 뒤에
  10. 파종한 다음 판로(板撈) <’향명(鄕名)으로는 번지(飜地)이다.”> 로 볍씨를 덮는다.
  11. 모가 한 줌 이상 자라서 옮겨 심을 수 있게 되면,
  12. 먼저 모를 심을 곳을 간 다음에 갈잎[杼葉] <향명(鄕名)으로는 가을초(加乙草)이다.> 이나 소똥․말똥을 깐다.
  13. 모를 옮겨 심을 무렵에 다시 농법대로 갈되 흙이 아주 부드럽게 되도록 잘 간다.
  14. <옮겨 심는> 1과(科) 당 4~5모가 넘지 않도록 하고,
  15. 흙에 착근(着根)되지 못했을 경우에는 너무 깊게 물을 대서는 안 된다
  16. < 흙이 햇볕에 들어날 때 사람의 발자국이 잠시 남아 있을 정도로 물을 댄다.
  17. 이 방법은 제초에는 편리하지만,
  18. 만의 하나 크게 가물면[早] 실수하게 되니, 농가(農家)의 위기이다.>
  19. 모내기의 길한 날
  20. 이앙(移秧)에 좋은 날은, 종앙(種秧)ㆍ삽앙(揷秧)도 같다.
  21. 신미ㆍ계유ㆍ임오ㆍ계미ㆍ경인ㆍ갑오ㆍ갑진ㆍ을사ㆍ병오ㆍ정미ㆍ무신ㆍ기유ㆍ을묘ㆍ신유일이다.
  22. 총론에 있다.
  23. 오곡 종자를 심는 날은, 기해일(己亥日)ㆍ기미일과 성월(成月)ㆍ수일(收日)을 통용한다.
  24. X
  25. 못자리에는 재에 인분을 섞어 바닥에 펴야 하는데
  26. 가령 다섯 마지기 정도의 여러 해 못자리를 한 논이라면 인분에 재를 섞은 (비료) 세 섬 (약 90 리터*3=270 리터)정도가 알맞은 양이다.
  27. 만약에 처음 못자리를 한 논이라면 인분에 재를 섞은 (비료) 네 섬(약 90 리터*4=360 리터)정도가 알맞은 양이다.
  28. 인분을 (재)와 섞을 때 (인분)이 모두 작고 균질하게 (분해된) 상태에서 섞어야지 만약 (인분)이 모두 작고 균질하게 (분해되지) 않으면 곡식의 종자가 그 위에 떠있게 된다.
  29. X
  30. 호마 껍질을 잘게 썰어서 외양간에 놓아 (소나 말이) 밟고 다니도록 두었다가 겨울을 지나서 목화씨와 외양간의 오물과 섞는 것도 또한 괜찮다.
  31. X
  32. 사답(沙沓)의 못자리 내는 방법 사답의 못자리는 물이 생기면 (볕에 쬘 것 없이) 물이 있는 대로 종자를 뿌린다.
  33. 그렇지 않으면 잠깐 사이에 말라버려 모가 뿌리를 내리지 못한다.
  34. 不待曝土而下種
  35. 무릇 토질이 견실하지 못한 곳이나 비로 인해 물이 생긴 곳에서는 (위와 같은) 방법대로 할 수 없어
  36. 흙이 햇볕에 드러나 모가 떠 있게 되면 즉시 물을 빼고서
  37. 뿌리가 흙에 붙지 않은 데를 모래로 적당하게 눌러주었다가, 뿌리가 붙은 뒤에 물을 댄다.
  38. 모를 이앙할 장소에 물이 말라버리려고 할 때에는 급히 옮겨 심어야 하지만 모가 아직 연약할 경우에는,
  39. 못자리에 물을 가득 넣으면 모가 자연히 물 밖까지 나와 자라게 된다
  40. 그러나 약한 상태에서 자라서 옮겨 심을 때 부러져 상할 염려가 없지 않다.
  41. 모를 혹 즉시 제때에 옮겨 심지 않아
  42. 시기를 넘기면 파리 똥 같은 것이 생기게 되는데,
  43. X
  44. 마른 풀을 모 위에 두껍게 펴고 불을 놓은 다음 즉시 물을 대주었다가,
  45. 잎 사이에서 새 움이 한 치 가량 올라오기를 기다리거나 장단(長短)이 맞게 헤아려 옮겨 심으면, 제때에 이앙한 것과 다름없다.
  46. X
  47. 일설에는 반종법(反種法)은, 논에 물이 없어 잡초가 우거져 잡초를 쉽사리 제거할 수 없는 곳에서는 물을 기다렸다가 벼 포기를 뽑아내어 손상되지 않은 것은 묶어놓고 도로 갈고,
  48. 비록 물이 있는 곳이라 하더라도 인력이 부족하여 제초하기가 어려우면 또한 이 법대로 한다.
  49. 벼가 매우 왕성하여 묘종(苗種)한 것보다 낫다. 더러는 ‘모가 모자란다.’고 하지만, 노농(老農)으로서 여러 차례 경험한 사람들의 말이 모두 ‘넉넉히 심을 수 있다.’고 했다.
  50. 앙초와 보드라운 버들가지 및 참갈(眞櫟)< ㅊㆍㅁ갈> 을 작두<협도와 유사한 것으로 아래 부분은 쇠로 되어 있고 자루는 나무로 되어 있다.>로 절단(截斷)하여,
  51. 외양간에서 나온 오줌이나 사람의 오줌으로 축축하게 적시거나, 외양간에서 밟히어, 뜨듯한 재와 사람의 오줌을 섞어서 쌓아두고, 거적과 풀로 덮어 놓으면 잘 뜬다.
  52. 백두옹초(白頭翁草) 또한 좋은데 매우 독하여 많이 깔면 모[秧]가 상한다, 모름지기 방초,
  53. <민간에서 아이들이 이 풀을 가지고 머리를 만들어 가지고 노는 가느다란 풀이다.>로서 섞어 이상의 방법처럼 띄워서 써야 한다. <경상좌도인들이

행한다>

  1. 또한 말의 똥을 태워 재로 만드는데 아직 불기운이 있을 때 벼 모의 풀을 모아 사람의 오줌을 재와 섞는다. 이 재를 쌓아 두어 거적으로 덮어두면 열이 나서 매우 급속하게 뜨게 된다.
  2. 갈대풀이 심히 좋으나 이때는 나지 않는다. 철이 좀 지나면 나날 이 자라올라 가히 늦모내기에 댈 수 있다.


Korean Translation, RDA

  1. X
  2. 모내기로 재배하는 방법은 물이 있는 논을 갈되 비록 가물어도 마르 지 않는 곳이어야 한다
  3.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 사이에 갈 수 있으며
  4. 논마다 10분의 1은 모를 기르고 나머지 10분의 9는 모를 심도록 헤아린다.
  5. 모를 뽑고 나면 못자리에도 아울러 모를 심는다
  6. 먼저 못자리로 할 곳을 갈아 방법대로 잘 다스리고 물을 뺀 다음
  7. 연한 버들가지를 잘게 썰어서 두껍게 편 다음 발로 밟아 넣고
  8. 흙을 볕에 쪼여 말린 후에 물을 댄다.
  9. 앞서 담근 볍씨는 3 일 만에 걸러 내어 짚으로 엮은 섬(빈섬)에 넣어 하루 동안 두었다가
  10. 씨를 뿌리고 판로(향명 번지)를 사용하여 씨를 [흙으로]덮는다.
  11. 모가 한 줌 이상 자라면 모를 다 낸다.
  12. 먼저 모낼 곳을 갈고 갈잎이나 외양간 거름을 펴고
  13. 모낼 때에 또 다시 갈아 앞 에 든 법대로 잘 다스려 흙이 극히 부드럽도록 한다.
  14. 한 그루에 모3~4 본31)을 넘지 않도록 심을 것이며
  15. 뿌리가 미처 착근되기 전에 물을 깊이 대는 것은 불가하다.
  16. 흙을 볕에 쪼여 말릴 때는 사람이 밟은 발자국이 나도록 말린다.
  17. 이 법은 제초하기에는 편리하나
  18. 만일 크게 가물면 실농하게 되므로 농가로서는 위태로운 일이다.
  19. X
  20. 모내기의 길한 날[種秧]이라고 하는 것은 揷秧과 같은 뜻이다.
  21. (신미, 계유, 임오, 경인, 계미, 갑오 ,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 기유, 을묘, 신유, 일 등임) 은
  22. X
  23. 기해(己亥), 기미(己未)는 수확하는 달의 수확하는 길일임. 이하 오곡에 모두 통용된다.
  24. 올벼 못자리
  25. 재(灰)를 인분에 섞어 못자리에 고루 시용하되
  26. 가령 5두의 볍씨를 파종할 경우 다년간 못자리로 이용하였던 곳이면 거름재[糞灰] 3석(石) 을 시용하나
  27. 만일 처음 못자리로 하는 곳이면 거름재 4석이 적당하다.
  28. 재에 인분을 섞을 때에는 고르고 잘게 섞어야 한다. 만일 인분덩이가 깨지지 않아 볍씨가 그 위에 떨어졌을 때에는 도리어 썩어 뜨게[釀] 된 다.
  29. 경상좌도에서 행하고 있다.
  30. 참깨 대를 썰어 외양간에 넣어 마소가 밟게 한 다음 걷어 내어 쌓아두었다가 겨울철을 넘긴 다음 사용하거나 목화[木 綿]씨를 외양간 오줌에 섞어 사용하여도 좋다.
  31. 경상우도 사람들이 행하며 철이 일러 풀이 없은즉 지난 가을의 늦벼 볏짚을 써도 좋다.
  32. 모래 질 땅의 못자리는 물을 충분히 관수할 수 있을 때에 종자를 뿌린다.
  33. 그렇지 않은즉 잠깐 동안에 말라 버려 볍씨가 뿌리를 내리지 못하게 된다.
  34. 못자리를 굳히기 위하여 말릴 것 없이 파종한다.
  35. 무릇 토양이 굳지 않거나 혹은 비가 내려 법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36. 물을 빼고 햇볕에 쪼여 굳힌다. 파종 후 곳에 따라 볍씨가 썩어 뜨거든 물을 빼야 한다.
  37. 뿌리가 활착이 안되거든 모래를 적당히 헤쳐 볍씨를 눌러 뿌리가 활착되게 한 다음 물을 댄다.
  38. 모를 옮겨 심을 곳이 말라 가거든 모가 어리더라도 급히 서둘러 모심기를 한다.
  39. 만일 물이 충분하거든 묘를 자연스럽게 성장시킬 것이나
  40. 모가 길고 약하면 모심기를 할 때 모가 꺾이거나 상할 염려가 있다.
  41. 모내기를 혹 적기에 못하여
  42. 때를 놓쳤을 때에는 묘잎에 파리가 앉은 것 같이 곳곳에 점이 생긴다.
  43. 세속에서 파리의 오줌이라고 이른다.
  44. 이때에는 못자리의 묘 위에 마른 풀을 덮고 불을 놓은 후 물을 대준다.
  45. 새 잎 이 한 치 정도 나올 때를 기다리거나 혹은 길이가 적당할 때를 헤아려 모심기를 한즉 적기 이앙한 것과 다를 게 없다.
  46. 약간 물을 대고 불을 놓은 즉 근부가 상하지 않으며 3일 후에 모심기를 할 수 있다.
  47. 반종법(反種法)은 무논에 물이 없이 잡초가 우거져 제초하기가 쉽지 않을 때 물을 대고 모를 뽑아 모 내기를 할 때와 같이 상하지 않도록 묶어 두고
  48. 비록 물이 있는 논이라도 인력이 부족하여 기음 매기가 어려울 때에도 또한 이와 같이 행할 수 있다.
  49. 모가 심히 무성하면 새로 모내기하는 것보다 좋다. 혹 이르기를 모가 부족하면 늙은 농부의 경험에 비추어 충분히 종자를 파종하여야 한다고 한다.
  50. 못자리에 쓰는 풀은 버드나무의 연한 가지와 진력(眞櫟)【향명(鄕名)은 ‘참갈[眞加乙]’이다.】을 쓴다. 작두로 썰어
  51. 외양간 오줌이나 인뇨(人 尿)에 적시거나 외양간에 깔아 마소가 밟도록 하여 재나 오줌을 뿌리고 쌓아 둔 후 거적을 덮어 잘 썩힌다.
  52. 백두옹초(白頭翁草)도 가하나 독이 심하여 많이 사용할 경우 모가 상한다. 모름지기 풀을 섞어
  53. 세속에서 어린이들이 머리 땋기 하는 가는 풀들은 앞에서 말한 방법대로 썩히어 사용 한다. 경상좌도 사람들이 행한다.
  54. 또 다른 방법에 마분(馬糞)을 태운 재에 불이 있는 채로 풀거름과 교호로 한층 씩 쌓아 가며 오줌을 뿌린 다음 거적으로 덮어 두면 그 속이 온란하여 속히 썩게 된다. (위와 같다)
  55. 갈대[芦草]로 못자리거름[秧糞]을 만들어 넣어주면 매우 좋다. 비록 시간상으로 늦을 듯하지만 그러나 날마다 무성하게 자라나서 시일에 맞춰 모내기[移秧]할 수 있다.


Korean Translation, NKV

  1. X
  2. 날이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논을 선택하여
  3.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의 기간에 밭을 간다.
  4. 논마다 그것을 10등분하여 그의 10분지 1에 해당한 면적을 모판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면적을 본답으로 정한다.
  5. 모를 뜬 다음에는 모판 자리에도 역시 모를 심는다.
  6. 먼저 모판을 갈고 법대로 정밀히 정지한 다음 물을 빼고
  7. 버드나무 가지나 연한 나무 등의 회차리를 썰어서 모판에다 두껍게 편다. 그 다음 발자국을 치고
  8. 흙을 해볕에 쬐여 잘 말린 다음에 물을 대여 준다.
  9. 먼저 벼 종자를 사흘 동안 물에 담그었다가 걸러 내여 빈섬 속에 거두어 넣는다. 하루 지나
  10. 종자를 뿌린 다음 번지를 가지고 종자를 복토한다.
  11. 모가 한 줌 높이 이상 자라면 옮겨 꽂을 수 있다.
  12. 먼저 모판을 갈고 갈초(杼葉)나 우마분을 편다.
  13. 옮겨 심을 때에 또 갈고 법대로 잘 다루어 흙을 매우 연하게 만든다.
  14. 이앙할 때에는 한 포기에 모 3-4본을 심어야 한다.
  15. 뿌리가 활착하기 전까지는 물을 지나치게 깊게 대여 주지 말 것이다.
  16. 흙을 해볕에 말릴 때에 그 한도는 발자국이 날 정도로 하여야 한다.
  17. 이처럼 하면 제초하기에 편리하다.
  18. 그 정도 이상 흙을 말리였다가 만약 가물이 심하게 들면 농사에 실수를 가져 온다. 때문에 이것은 농사에 위험한 일이다.
  19. 모 심는 데 좋은 날
  20. 씨를 뿌리거나 모를 심는 데 좋은 날은 모두 다
  21. 신미, 계유, 임오, 경인, 계미, 갑오,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 기유, 을묘, 신유 일이 좋다.
  22. 총론에는 다음과 같이 씌여있다.
  23. 이하의 5곡을 심는 데도 이 날에 심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24. 올 벼의 모판
  25. 재에다 인분을 섞어서 모판에 펴되
  26. 다년간 계속적으로 심는 모판이면 다섯 마지기에 부숙 인분과 오줌에 쟁인 재 석섬을 펼 것이고
  27. 만일 초답 모판이면 부숙 인분과 오줌에 쟁인 재 석 섬을 펴는 것이 적절하다.
  28. 부숙 인분을 섞을 때에는 그 거름을 매우 연하게 부수어 골고루 섞는다. 만일 인분이 덩어리채로 있으면 곡식알이 그 인분에 불어 뜨기 시작하여 골는(浮釀)다.
  29. 경상 좌도에서 이처럼 한다.
  30. 참깨 깍대기를 썰어서 마구깐에 넣어 밟히여 내고 이것을 잘 적치하여 과동시킬 것이다. 목화씨에 오양물을 섞은 것도 비료로서 좋다.
  31. 경상 우도 사람들이 이처럼 한다. 철수가 일러서 아직 풀이 나지 않았을 때에 이런 비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늦 벼를 심을 때에도 역시 이처럼 한다.
  32. 사답모판. 물이 생기면 물을 곧 모판에 대여 주고 종자를 뿌린다.
  33.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인차 말라서 모가 뿌리 붙임을 하지 못한다.
  34. 흙이 마르기 전에 씨를 넣어야 한다.
  35. 대개 토질이 굳지 않거나 혹은 비가 와서 법대로
  36. 흙을 해빛에 말리지 못한 곳에서 모종이 골아 부모가 생기면 즉시 물을 빼여야 한다.
  37. 만일 뿌리 붙임을 못하였을 때라면 모래를 가지고 알맞게 덮어 놓아야 한다. 뿌리 붙임을 한 후에는 물을 채워 둘 것이다.
  38. 모를 낼 자리에 물이 있어서 곧 모를 심어야 하겠는데 만약 모가 연약하거나
  39. X
  40. 도장했다면 모를 낼 당시에 꺾어져 상할 우려가 많다.
  41. 만일 모판 기일이 늦어졌을 때에는
  42. 소위 파리똥자리(蠅點處)가 생긴다.
  43. 민간에서는 파리 오줌(蠅尿)이라고 한다.
  44. 이런 경우에는 건초를 모두어 두껍게 펴고 불지른 다음 곧 물을 대여 준다.
  45. 이와 같이 한 다음 모의 잎 사이로부터 새싹이 돋아나와 한 치쯤 자랐을 때 혹은 이앙하기에 적절할만큼 자랐을 때를 잘 참작하여 이앙하면 제 때에 이앙한 모와 수확상 차이가 없다.
  46. 물을 얕게 대고 불지르면 뿌리가 상하지 않는다. 이렇게 한 다음 사흘만에 모를 심는다.
  47. X
  48. 이와 같이 하면 모종한 경우보다 벼가 더 잘 된다. 어떤 사람들은 이처럼 하면 벼가 잘 되지 못한다고 하지마는 로동이나 여러 번 경험한 사람들은 모두 다 그렇게 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49. 모풀(秧草), 버드나무의 연한 가지와 참갈(眞櫟)을 질작도(負斫刀)로 썰어서
  50. 오양물이나 사람의 오줌에 쟁이거나 혹은 마구깐에 넣고 밟힌 다음 구둘재(溫灰)와
  51. 할미꽃 풀도 좋기는 하나 대단히 독하므로 많이 하면 모가 상한다. 때문에 방초를 섞어 이상의 방법처럼 띄어 쓴다.
  52. 경상 좌도 사람들이 이처럼 한다.
  53. 또 한가지 방법이 있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마분을 태운 재가 아직 불기운이 있을 때에 모풀을 한데 교합하고 사람의 오줌을 재에 섞는다. 이것을 재뚝에 적치하여 놓고 상석으로 덮어 두면 열이 나서 급속히 뜬다.
  54. 갈도 매우 좋기는 하나 결함은 철이 늦은 점이다. 그러나 갈은 날마다 새 싹이 돋아나서 불일간에 이앙할 수 있다.


English Translation, Version 1

  1. How to Transplant Seedlings
  2. Choosing to use wet fields means that even if a drought occurs, the seedlings will not become dry.
  3. Plowing can be done from the last decade of ten days of the second month till the first decade of days of the third month.
  4. All wet fields are divided into ten sections, with one section partitioned for raising seedlings, and the other nine sections are intended for [transplanting] the plant seedlings.
  5. (After finishing picking the seedlings, [transplant the seedlings], including the [section] where the seedlings were raised.)
  6. First, the section where the seedlings were [previously] grown is plow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cultivating rice], the soil prepared and made ready, and the water drained.
  7. Trimming willow branches, soften the ends, and after thickly spreading them [to cover the seeds], then stamp them underfoot.
  8. Leave the soil in the sunlight, let it dry completely, and irrigate the field.
  9. First soak the rice seeds for three days, put them in the hoch’ŏn (known locally as pinsŏm) to dry.
  10. After one day passes and the seeds are sown, use a p’anro (known locally as pŏnji) to cover the seeds.
  11. When the seedlings have grown over the height of one’s fist and are able to be transplanted,
  12. spread karip (known locally as kaŭlch’o) or cattle or horse manure over the [previously] plowed section where the seedlings were planted first.
  13. When it becomes time to transplant the seedlings, plow again according to the method of cultivating rice to ready and prepare the soil, making it extremely fine.
  14. For each transplanting, plant no more than four or five seedlings.
  15. Since they have not yet taken root, do not irrigate them heavily.
  16. X
  17. (This method is convenient for weeding,
  18. [but] in case of severe drought then the crops will be lost, which is a matter of risk for the farm.)
  19. Auspicious day for seedling and
  20. The long day of seedling is the same meaning.
  21. (The sinmi, key, imo, kyǒngin, kyemi, kapo, kapjin, ŭlsa, pyǒ’o, chǒngmi, musin, ŭlu, and sinyu days) are best for planting and transplanting seedlings.
  22. Generally speaking,
  23. (the kihae and Kimi days are best for harvesting).
  24. Early-Ripening Rice Seedbeds
  25. Ashes and night soil should be mixed and spread over the early ripening rice seedbed.
  26. If five majigi[2] of fields are used for several years as rice seedbeds, then spread three sŏm of night soil mixed with ashes over them.
  27. If they are fields that are being used as rice seedbeds for the first time, then a mixture of four sŏm of night soil and ashes is appropriate.
  28. The night soil should be mixed in very smoothly. If the lumps in the night soil are not broken apart, then the seed grain will sit and float on the surface.
  29. (This method is practiced in the western area of Kyŏngsangdo Province.)
  30. The hulls of sesame seeds are finely crushed and put in the stable, where they are stepped on by the livestock, and then the hulls are gathered after winter passes and mixed with cotton seeds and urine. This mixture fertilizes any kind of field.
  31. (This method is practiced by the people in the western area of Kyŏngsangdo Province. This same method for fertilizer is used even for late-ripening varieties of grain.)
  32. The seedlings must be plant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sunlight) in the water of sandy rice seedbeds.
  33. Otherwise, they will not take root when the water soon dries out.
  34. Generally, where the soil is not solid […]
  35. or the soil cannot be dried by the sunlight, making the seedlings float on the water, drain the fields
  36. and push the seedlings down into the sand as needed, and then irrigate the fields after they take root.
  37. If the seedlings are still fragile even if the work of transplanting seedlings needs to be done quickly as the fields are about to dry out,
  38. […] if the rice seedbeds are filled with water then the seedlings will naturally grow and come up above the water.
  39. However, they will be fragile and long, causing concern over whether they will disintegrate and rot during planting.
  40. If the seedlings are not transplanted when they should be
  41. or that time is past, they will excrete matter similar to fly droppings,
  42. (thus are called ‘fly droppings’ in the vernacular.)
  43. after dry grass is spread over them which is then burnt and quenched immediately with water,
  44. If the seedlings are transplanted after new shoots appear about the length of one ch’i or when their length is judged appropriate, […] then it will be as if the seedlings had been transplanted at the appropriate time.
  45. (One opinion says, “The rotting of the roots is prevented if a little water is poured over the flames, and they should be transplanted three days after.”)
  46. The Panjong[3] method is when the heads of grain are picked and the undamaged ones tied together and planted in the furrows following the method of transplanting seedlings after the rains come in fields without water where the weeds flourish and cannot be easily removed.
  47. If this method is followed even if the fields have water but there are not enough hands to weed, (then the grain will be plentiful, and this method is better than transplanting seedlings.
  48. Sometimes it is said, “There are not enough seedlings,” but seasoned farmers who have experienced this many times all say, “There will be plenty for planting.”)
  49. Take the leaves of the seedlings and soft willow branches and chillyŏk (眞櫟) and chop them with a straw-cutter,
  50. and they will float on top of the wet fields whether they are mixed with urine from the stables or from humans, stamped down on in the stables, or mixed with warm ashes and human urine.
  51. Paektuongch'o (白頭翁草) is also known as chujigot or halmikkot. This is also good but highly poisonous and makes the seedlings rot if used in large quantities. The grass should be mixed following the above method and spread over the fields.
  52. (The people of the western area of Kyŏngsangdo Province practice this).
  53. Another method is mixing horse droppings, burnt leaves of seedlings, and human urine with ashes and gathering them in the ashery where they are covered with straw matting and grass to warm them up, which makes the seedlings float up to the top when this is spread over the field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54. (Reeds are also quite good, but their drawback is that they grow too late to be used. However, as they grow day by day, transplanting seedlings can be done accordingly).

English Translation, Version 2

  1. X
  2. Select wet fields where the seedlings will not become dry, even if a drought
  3. Plowing should be done between the last ten days of the second month and the first ten days of the third month.
  4. Each paddy field is divided into ten parts, one part is for raising the seedlings, and the other nine parts are intended for [transplanting] the plant seedlings.
  5. (After picking the seedlings completely, [transplant the seedlings in the fields], including the section where the seedlings were raised.)
  6. Firstly, plow the section where the seedlings will be grown according to the plowing method [mentioned above] , make the soil soft and levelled, and drain the water.
  7. Chop the soft ends of willow branches. Spread them thickly all over the fields and then stamp them underfoot.
  8. Leave the soil in the sunlight, let it dry completely, and irrigate the field.
  9. First soak the rice seeds for three days, put them in the hoch’ŏn (known locally as pinsŏm) to drain.
  10. After one day set the seeds in the soil and cover them [with dirt] by p’anro (known locally as pŏnji) .
  11. When the seedlings have grown over the height of one’s fist and are able to be transplanted,
  12. First plow the place where the seedlings will be transplanted and then spread the oak leaves (known locally as kaŭlch’o) or cattle or horse manure.
  13. When it is time to transplant the seedlings, plow again according to the previous method to make the soil loosen and level, making it extremely soft.
  14. Plant four or five seedlings for each transplantation.
  15. Since they have not yet taken root, do not irrigate them deeply.
  16. X
  17. in case of severe drought the crops will be lost, which is a matter of risk for the farm
  18. X
  19. X
  20. X
  21. X
  22. X
  23. The kihae and Kimi are the best days for harvesting.
  24. Early-Ripening Rice Seedbeds
  25. Ashes and night soil should be mixed and spread over the early ripening rice seedbed.
  26. If five majigi of fields are used for several years as rice seedbeds, then spread three sŏm of night soil mixed with ashes over them.
  27. If they are fields that are being used as rice seedbeds for the first time, then a mixture of four sŏm of night soil and ashes is appropriate.
  28. The night soil should be mixed homogeneously. If the lumps in the night soil are not broken apart, then the seeds will attach to the lumps of night soil and emerge to the surface [rotten].
  29. (This method is practiced in the eastern area of Kyŏngsang Province.)
  30. The hulls of sesame seeds are finely crushed and put in the stable, where they are stepped on by the livestock, and then the hulls are gathered after winter passes and mixed with cotton seeds and urine. [This mixture] is also correct.
  31. (This method is practiced by the people in the western area of Kyŏngsang Province. This same method for fertilizing is used even for late-ripening varieties of grain.)
  32. The seedlings must be planted in the water of sandy rice seedbeds.
  33. Otherwise, the sandy rice seedbeds will soon dry out and the seedlings will not take root.
  34. Seed the rice seedbed without needing to wait for it to dry. Generally, the previous method cannot be used where the soil is not solid or the rainwater accumulates.
  35. If the soil cannot be dried by the sunlight, making the seedlings float on the water, drain the fields.
  36. If the roots do not grow down into soil, press them down into the sand as needed, and then irrigate the fields after they take root.
  37. [In case] The place to which the seedlings will be transferred is getting dry, even if the seedlings are still fragile [young], transfer them rapidly
  38. If the rice seedbeds are filled with water then the seedlings will naturally grow and [come up above the water].
  39. However, if the seedlings grow long but weak, it is not that they won’t break or damage when transplanted/there is the risk that they might break or get damaged.
  40. If the seedlings are not transplanted when they should be
  41. or that time is past, they will excrete matter similar to fly droppings,
  42. (thus are called ‘fly droppings’ in the vernacular.)
  43. Spread dry grass thickly over the seedlings, burn it and immediately put it out with water.
  44. Wait until new shoots appear [between the leaves] and reach about one ch’i or [reach] the length considered appropriate, [because then] transplanting them would be correct [as if done at the right time].
  45. (Some say that the rotting of the roots is prevented if a little water is poured over the flames, and they should be transplanted three days after.)
  46. According to the Panjong method, [at places where] Wet fields do not have water, weed is dense or thick, [and/or] weed cannot be easily removed, wait for water [to come] and pick the heads of the grains [bundle up together the healthy ones]. Then, plow the fields
  47. In places where water is found but there are not enough hands [to weed], weeding is difficult and, therefore, this method can be used.
  48. [One can say that] “Seedlings are abundant [to transplant]”, or “There are not enough seedlings”. However, as seasoned farmers who have experienced this many times before say, “There are enough seeds [for planting]”.
  49. Take the rice straw and soft willow branches and chillyŏk (眞櫟)) and chop them with a straw-cutter [shaped as a double-blade cutting instrument made of iron and wooden handles, that opens and closes similar to modern scissors].
  50. Mix urine from the barns or from humans with the previously cut grass and warm ashes, then let cows and horses stamp down on it. Leave this mix outside of the barn for the straw to deeply soak in the urine and slowly evaporate under the sun.
  51. (白頭翁草) is also known as chujigot or halmikkot, which is also also good but highly poisonous and makes the seedlings rot if used in large quantities. This is why the grass should be mixed with scented grass.
  52. In rural areas, this scented grass is also called “baby’s hair”, as it is thin as cashemere fibers. Follow the above mentioned method [of deeply soaking straw in the urine and slowly leaving it to evaporate under the sun] and spread over the fields. This practice is followed by the people of the eastern area of Kyŏngsang Province.
  53. Another method is mixing horse droppings, burnt leaves of seedlings, and human urine with ashes and gathering them in the ashery where they are covered with straw matting and grass to warm them up, which makes the seedlings float up to the top when this is spread over the fields in the same manner as above.
  54. Reeds are also quite good, but if the reed is produced after summer [in a late season] it is not as useful. However, as they grow day by day, transplanting seedlings can be done on appropriate growth.

Students' Contribution

Student 1: 린지


Student 2: 에벨린


  • Line 1: 苗 種 法 (sprout) (cultivate) (method) 發苗移種法 or 養苗移種法 abbreviation
    • the <transplanting> meaning is in 種?
    • 種: to plant, to grow, to cultivate[4]
    • how to transplant seedlings? method for cultivating seedlings?
  • Line 2: English version number 2 is missing the last word, <occurs>.
  • Line 3: 旬 <decade of ten days>
    • Meaning 1: A decade of days, three of which make up a month; the standard “week” in premodern times. a. (med.) a decade of years, sgl. or in cmpd.; e.g. 旬年, ten years. b. (med.) a unit of ten, e.g.旬月, ten months. Meaning 2. Complete, full, a whole cycle: e.g. 旬歲, a whole year, 旬月, a whole month. Meaning 3. (med.) time in general, as a whole unit.[5]
  • Line 10: 板撈 p’anro (known locally as pŏnji)
    • 撈: 끙게(씨를 뿌린 뒤에 씨앗이 흙에 덮이게 하는 농구)[6] caption
  • Line 12: More information on the use of fertilizers in Joseon. 杼葉 갈잎 and 牛馬糞 우마분 [7]
  • Line 15: 根未着土
    • The principles of transplanting in Ancient China.[8]
  • Line 21: <days> or <years>?
    • 辛未, 癸酉, 壬午, 癸未, 庚寅, 甲午,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乙卯, 辛酉[9]
  • Line 25: 人糞 night soil
    • The use of 'nightsoil' or human manure immediately springs to Western minds when Chinese agriculture is mentioned, and although it may occasion considerable repugnance to us, to the Chinese it was an obvious and simple way to return fertility in the soil, the validity of which emerges clearly in modern chemical analyses: 'From the analyses of mixed human excreta made by Wolff in Europe and by Kellner in Japan, it appears that, as an average, these carry in every 2000 pounds 12.7 pounds of nitrogen, 4 pounds of potassium, and 1.7 pounds of phosphorus...' Although much Chinese farmland suffers from deficiencies in these elements, it is clear that the use of human manure must over the ages have done much to mitigate the problem.[10]
  • Line 34: English version 1 is missing 或因雨水
    • Generally, where the soil is not solid
  • Lines 41 and 42: 蠅點 and 蠅尿 both are translated as fly droppings but the first one means fly <dots, drops, points> while the second one is actually fly secretions or droppings.
  • Line 52: 俗小兒作髮細草之類也 如上法蒸而用之
    • <민간에서 아이들이 이 풀을 가지고 머리를 만들어 가지고 노는 가느다란 풀이다.>
    • Version 2: In rural areas, this scented grass is also called “baby’s hair”, as it is thin as cashemere fibers. Follow the above mentioned method [of deeply soaking straw in the urine and slowly leaving it to evaporate under the sun] and spread over the fields.

Student 3: 권지은

  • Line 2
    • Korean Translation V.1 and NKV : translation of 苗種法 is missing.
    • How to Transplant Seedlings or The method of transplanting rice seedlings
    • 苗種法
  • Line 5
    • Punctuation
    • 拔苗訖, 幷栽養苗處.
    • 拔苗 訖幷栽養苗處.
  • Line 9
    • 향명(鄕名)으로는 공석(空石)이다.
    • 공석(空石) -> 빈섬
  • Line 10
    • Punctuation
    • 經一日, 下種後, 以板撈 鄕名 飜地 覆種
    • 經一日下種, 後以板撈 【鄕名 飜地】覆種
  • Line 13
    • Punctuation
    • 臨移栽時, 又耕之如法, 熟治, 令土極軟.
    • 臨移栽時, 又耕之, 如法熟治, 令土極軟.
  • Line 16
    • 曝土時 以人踏暫印爲度.
    • 원문 판본에 없음.
  • Line 19-21
  • Line 25-28
    • 以灰和人糞 布秧基
    • 而假如五斗落 多年秧基 則和糞灰三石
    • 若初作秧基 則和糞灰四石適中 和糞時
    • 極細調均 若糞塊未破 穀着其上 反致浮釀
    • 山林經濟, 山林經濟卷之一, 治農
  • Line 38-41
    • 若儲水秧基. 則秧苗自然 出水長成.
    • 然弱而長. 移種時. 不無折傷之患矣.
    • 苗種, 或不卽移秧(揷),
    • 有過時蠅點處,
    • 山林經濟卷之一 / 治農
  • Line 43-48
    • 厚布乾草於苗上, 焚之後卽灌水,
    • 待其葉間 新芽抽出寸許, 或量宜長短移種, 則與趂時 揷秧者無異,上同.
    • (一說) 小灌水焚之 無傷根 三日後種(之).
    • 反種法, 水田無水, 雜草荒蕪, 未易除(去)却處, 待水拔取禾苗, 不至損傷者束之, 反耕更種
    • 雖有水處, 人力不足, 難於除草, 則亦行此法.
    • 禾甚盛, 勝於苗種, 或云禾不足, 而老農屢經之, 人皆曰足以種矣.
    • 山林經濟卷之一 / 治農
  • Line 49-52
    • 秧草, 軟柳枝及眞櫟, 行갈 (以負斫刀,似(挾)刀 下鐵以木爲柄打斷,
    • 用廏下水,)-산림경제에 없음. 或人尿沾濕, 或牛馬廏踐踏, 和溫灰及人尿積置, 以苦草蓋之善蒸,
    • 白頭翁草, 亦可而甚毒, 多布傷秧, 須雜以芳草,
    • 俗小兒作髮細草之類也 如上法蒸而用之.
    • 山林經濟卷之一 / 治農 -收糞
  • Line 53
    • Line 53 - punctuation
    • 又方馬糞燒灰, 有火秧草, 交合人尿, 雜以火灰積之, 灰基以苦草盖之, 煖鬱速蒸, 上同
    • 又方馬糞燒灰, 有火秧草, 交合人尿, 雜以火灰, 積之灰基. 以苦草盖之, 煖鬱速蒸, 上同
    • 山林經濟卷之一 / 治農 -收糞



Student 4: 안카

Line 10

板撈 (판로) (known locally as 번지 飜地)
흙을 고르거나 곡식을 긁어모으는 데 쓰는 연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Student 5: 이창섭

원문 대조시 없는 문장

  • 16번 문장->曝土時 以人踏暫印爲度.
  • 19번 문장->下秧吉日
  • 20번 문장->種秧 揷秧同
  • 19번 이후 부터는 전혀 원문에 없는 문장

이후 항목과 판본 정리 문제

  • 火耨法 Cultivating rice - Firing and water dressing method 이 항목과 種山稻法 Cultivating rice - The method to plant mountain rice 이 항목은 농사직설 후대 판본에 있는 것 같습니다.
  • 현재 그림으로 올라간 판본은 만력(萬曆) 9년(1581)에 춘천부사(春川府使) 박승임(朴承任)이 사은숙배 할 때 하사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두 항목은 이후 판본으로 그 판본도 그림으로 올리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Student 6: 강혜원


Tutor 1: 전성호


Tutor 2: 김현

Heavenly Stems and Earthly Branches (天干/地支)

Heavenly Stems and Earthly Branches

12 Officers of Months (月支) and Days (日支)

  • 12 Qualities of the days
    1. 建日 Establish Day
    2. 除日 Remove Day
    3. 滿日 Full Day
    4. 平日 Balance Day
    5. 定日 Stable Day
    6. 執日 Initiate Day
    7. 破日 Destruction Day
    8. 危日 Danger Day
    9. 成日 Success Day
    10. 收日 Receive Day
    11. 開日 Open Day
    12. 閉日 Close Day

※ The days which share the same earthly branch (地支) as the month are Establsh Days (建日).

  • 12 Month Officers (月支)
월지 음력 월 절기 대략적 양력 일자
인월(寅月) 정월(正月) 입춘(立春) 2. 4. ~
묘월(卯月) 이월(二月) 경칩(驚蟄) 3. 6. ~
진월(辰月) 삼월(三月) 청명(淸明) 4. 5. ~
사월(巳月) 사월(四月) 입하(立夏) 5. 6. ~
오월(午月) 오월(五月) 망종(芒種) 6. 6. ~
미월(未月) 유월(六月) 소서(小暑) 7. 7. ~
신월(申月) 칠월(七月) 입추(立秋) 8. 8. ~
유월(酉月) 팔월(八月) 백로(白露) 9. 8. ~
술월(戌月) 구월(九月) 한로(寒露) 10. 8. ~
해월(亥月) 시월(十月) 입동(立冬) 11. 7. ~
자월(子月) 11월(11月) 대설(大雪) 12. 7. ~
축월(丑月) 12월(12月) 소한(小寒) 1. 6. ~
  • 12 Day Officers (日支) and 12 Qualities of the days

12DayOfficers.jpg



Class Comments

Jeeeun

  • Comments on punctuation
  • How does the punctua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affect the English
  • 연, 후, 흘
    • In Korean, we usually end the phrase with the time.
    • Should we approach it differently for English translation?
  • 先漬稻種三日, 漉入蒿篅【鄕名: 空石】。 經一日下種, 後以板撈【鄕名: 翻地】覆種。
    • ENG1 - First soak the rice seeds for three days, put them in the hoch’ŏn (known locally as pinsŏm) to dry. After one day passes and the seeds are sown, use a p’anro (known locally as pŏnji) to cover the seeds.
    • ENG2 - First soak the rice seeds for three days, put them in the hoch’ŏn (known locally as pinsŏm) to drain. After one day set the seeds in the soil and cover them [with dirt] by p’anro (known locally as pŏnji) .
    • Lyndsey - First, soak the rice for three days. Take [the rice] out and put them in the hocheon (called binseom) [to dry]. After a day, plant the seeds. Then, using the panno (called beonji), cover them [with soil].
  • 경지, 숙지
    • Plowing (overall term)
    • Tilling (경지), harrowing (숙지)
  • When it refers to 역법 we should make a hyperlink or annotation stating exactly to what it is referring


Evelyn


Prof. Kim

Collaborative Translation Result

English Translation, Version 3 (Editor: __________ )


Glossary

Type Hanja Hangeul MR RR English

Further Readings

References

  1. Reference to the southwestern part of Kyŏngsang Province. This province was divided in 1407 into left and right areas separated by the Nakdong River. According to this division, the western area corresponds to the “right” and the eastern are to the “left” (Source: 경상도지리지).
  2. One majigi is roughly equivalent to 150-300 pyong; Chinese traditional measurement of dry volume equaling about 10 liters / 6 liters; The area for planting approximately 6 liters of seed.
  3. http://www.koreantk.com/ktkp2014/agriculture/agriculture-view.view?artNo=0190201050128
  4. Retrieved from MDBG
  5. Retrieved from Kroll, Paul W.(2017). A Student's Dictionary of Classical and Medieval Chinese(Revised edition). Leiden:Brill.
  6. Retrieved from Daum Blog
  7. More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fertilizers during Joseon [http://www.aghistory.or.kr/pdf/%EB%86%8D%EC%97%85%EC%82%AC%EC%97%B0%EA%B5%AC7-1-2.pdf 조선시대의 시비기술(施肥技術)과 분뇨(糞尿)이용]
  8. Extract available for preview online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By Joseph Needham. Google Books Preview
  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한국의 표준연력
  10. Bray, Francesca. (1984).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6 Biology and Biological Technology. Part II: Agriculture, edited by Joseph Needham, 2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