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분석:아일랜드

cefia
이동: 둘러보기, 검색

1. 분석 대상 교과서 목록

교과서명 교과목명 출판년도 출판사 사용학년 수집연도 분석연도 번역문
& 검토의견
1 Discovering History 역사 1988 Mentor Books 중학교 2015 2015 보기
2 Uncovering History 역사 2011 Folens 중학교 2015 2015 보기
3 The Past Today 역사 2009 Gill & Macmillan 중학교 2015 2015 보기
4 Living History 2 역사 2004 The Educational Company of Ireland 중학교 2015 2015 보기
5 History Resources & Revision 역사 1988 Mentor Books 중학교 2015 2015 보기
6 Footsteps in Time 2 역사 2013 CJFallon 중학교 2015 2015 보기
7 New GEO 지리 2013 CJFallon 중학교 2015 2015 보기
8 Geography in action 지리 2013 educate.ie 중학교 2015 2015 보기
9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1945-1989 역사 2011 Folens 고등학교 2015 2015 보기
10 Horizons 지리 2011 Folens 고등학교 2015 2015 보기
11 Changing World(Core Geography) 지리 2012 Gill & Macmillan 고등학교 2015 2015 보기
12 Changing World(Economic Geography) 지리 2012 Gill & Macmillan 고등학교 2015 2015 보기
13 ECO 지리 2007 Folens 고등학교 2015 2015 보기
14 Economics 경제 2013 Folens 고등학교 2015 2015 보기

2. 한국 관련 내용 분석

가. 역사

분석한 아일랜드 교과서 내 한국 역사관련 내용은 대부분 냉전의 세계 정세 속에서의 한국전쟁의 배경과 전개 과정에 국한되어 있다. 대개의 경우, 아일랜드의 사회교과 내용이 유럽과 아일랜드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역사 교과서에서 비중있게 한국전쟁의 배경과 그 전개과정을 할애하여 하나의 ‘사례학습’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아일랜드의 역사과 교과서에서 아시아에 대한 문명 발생이나 아시아 국가에 대한 역사를 집중적으로 다룬 대목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현대사를 다루는 단원들에서도 아시아에서 발생한 사건들에 대해서는 거의 다루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전쟁과 관련된 항목에서는 전개과정을 다룬 지도나 도표, 관련 인물들의 사진, 전쟁 사진 등이 다채롭게 각 교과서마다 수록되어 있었다. 또한 과거 시험 기출문제에도 한국전쟁의 중요성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었으며, 한국전쟁의 주요 결과와 핵심, 쟁점에 대해 단원마다 강조/요약하고 있었다. 즉, 각각의 교과서에서 한국전쟁에 대한 기술에서부터 평가, 보충 활동 등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었다. 그러나 서양의 세계사적 관점에서, 냉전 속의 약육강식의 갈등결과로서의 한국전쟁에 대한 이들의 논의는 특히나 이분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공산주의 북한/자본주의 남한이라는 이분법적 구분에 의거해서 한국전쟁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더군다나 한국전쟁의 배경으로서, 2차대전 직후에 대해 아시아의 정세에 대해 기술할 때도, 한국의 일제 식민지 경험을 간략하게 언급하거나 -이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생략하기도 한다- 일본을 중심에 두고 일본의 패망으로 인하여 한반도 정세의 불안정함이 결국 한국전쟁으로 귀결되었다는 식의 논리를 펼치고 있다. 이러한 관점은 중등 과정의 역사 교과서에서 발견된다. 다시 말해, 아시아의 정세 속에서의 한국 전쟁, 혹은 한국전쟁이 가지는 지역적 함의는 생략된 채, 일반적으로 미국과 소련의 열강의 틈바구니 속에서 한반도의 문제를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각 시대별로 역사적 사실들이 세분화되어있는 고등 과정 역사 교과서의 경우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한국전쟁을 2차대전 후의 미국 정세 속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중등 과정의 역사교과서에서 견지하고 있는 서양 중심적 시각을 그대로 반복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나. 경제

중고등 과정의 사회과 교과서 모두가 한국을 아시아의 신흥경제대국으로 본다는 점에 합의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이 다루는 아시아의 범위는 광범위하다. 아시아에 대한 전형으로 인도와 중국, 그리고 일본 정도가 다뤄지고 있는데다가, 한국은 아시아에서 단기간에 경제성장을 이룬 국가로서 언급되고 있다. 한국에 대한 지리적 문화적 설명은 생략된 채, 경제적 발전에만 단순히 초점을 맞추고 있는 셈이다. 경제성장에 대해 한국을 일별할 때에도, 한국 자체의 경제적 특수성이라기보다는 타이완, 싱가포르 등과 함께, 급격한 경제성장을 한 ‘아시아의 타이거’ 가운데 하나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비록 아일랜드의 역사/지리/사회과 관련 교과서에서 한국에 대한 언급을 어떤 식으로든 찾아볼 수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극히 단편적인 정보로 환원되는 한국의 특징 기술은 좀더 보완이 요구된다. 이는 각 학교마다 다양한 교과서를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교과서들의 내용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대목들이기도 하다. 한국전쟁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고는 경제 부분에서 다뤄지는 내용이 극히 적기 때문에 서술상의 오류가 발견되지는 않았다. 그럼에도 글로벌 경제의 맥락에서 한국이 중국이나 홍콩, 타이완 등에 비해 다뤄지는 비중이 매우 적다는 사실은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가령, 글로벌 경제의 문화와 정체성을 다루는 섹션에서 아시아에 대한 내용을 지리적/문화적/역사적으로 다양하게 다루면서 그중의 하나로 한국의 경제성장의 고유한 특징을 문화적 맥락에서 좀더 세밀하게 다룰 수도 있을 것이다. 일본의 경우, 후지나 소니같은 거대기업이 하나의 사례로 아일랜드의 교과서에서 인용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국의 경우는 다른 경제성장을 이룬 아시아의 국가들과 별다른 변별점이 없이 기술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염두에 두어야할 것은 아일랜드 교과서에서 어떤 식으로든 한국에 대한 언급/관련 내용이 다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등 과정의 경우, 이에 대한 학습이 필수 과목으로서가 아니라 선택 과목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런 점에서 글로벌 경제에 대한 아시아 지역 부분에 대한 중요성을 늘리는 방향으로 개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아일랜드의 중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역사/지리/사회과 교과서들에 나타나는 한국 관련 내용은 한국전쟁과 글로벌 경제에 국한되어 있다. 한국 전쟁과 글로벌 경제붐 사이의 기간을 경제적/문화적 차원에서 서술된다면, 한국에 대한 미흡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다. 지리

세계 지도 상에 표기되는 한국의 경우, 아일랜드 교과서들은 대체로 동해와 일본해를 함께 표기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의 지리적 지형적 특징은 지구상의 유일한 분단국가로서의 특징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 한 예로 한국의 분단된 국경에 대해 물리적/정치적 국경의 사례로 설명하고 있는 고등과정의 지리 교과서가 이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제외한다면, 한국에 대한 지형적 특징이나 기후적 특징 등은 전혀 언급이 되지 않고 있다.

라. 문화

분석한 14권의 아일랜드 사회과 교과서에서 한국 문화와 관련한 내용은 존재하지 않았다

마. 기타

분석한 14권의 아일랜드 사회과 교과서에서 한국전쟁, 글로벌 경제성장 외의 한국 관련 내용은 존재하지 않았다.


3. 한국 관련 기술 개선 과제

개선 과제 코드 설명 발견건수 해당 교과서 미션 코드
A1 동해표기 2 Geography in action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1945-1989
T01A02
T01A03
T02A02
T03A01
T03A04
T04A02
T04A03
T05A03
C3 객관적 기술 3 The Past Today
The United States and the World, 1945-1989
Discovering History
T01A02
T01A03
T02A02
T03A01
T03A04
T04A02
T04A03
T05A03

연계 정보

관계 대상 문서 설명
isRelatedTo 교육제도:아일랜드 아일랜드 교육과정, 2015년 조사 보고
isReviewOf 교과서목록:아일랜드 아일랜드 사회과 교과서 목록
Draws 미션:아일랜드 한국바로알리기 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