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
|
대표명칭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
영문명칭 |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한자 |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
주소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517-2 |
문화재 지정번호 | 보물 제463호 |
문화재 지정일 | 1968년 7월 5일 |
찬자 | 고려 태조(高麗 太祖) |
서자 | 최광윤(崔光胤) 집자(集子) |
승려 | 충담(忠湛) |
건립연대 | 940년 |
승탑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비문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문 |
|
목차
정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원주 흥법사지에 있는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 869-940)의 탑비.
내용
개요
귀부 높이 75cm, 이수 높이 99cm. 이 비는 현재 귀부(龜趺)와 이수(螭首)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비신은 일찍이 무너져서 깨어진 몸돌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1][2]
비를 이고 있었던 돌거북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에 가까운 머리를 하고 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신체에 비해 크게 조각되었다.[3]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에 가까운데 그 안에는 만(卍)자 무늬와 연꽃이 새겨져 있다. 이수는 앞면 중앙에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다른 두 마리는 양 귀퉁이에서 옆을 쳐다보고 있다. 뒷면에도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다.[4]
비문은 고려 태조(高麗 太祖)가 짓고 최광윤(崔光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글씨는 2∼4㎝의 행서로 통일신라 말엽 당태종의 글씨가 전래되었다는 기록을 입증해주는 좋은 자료이다.[5] 진공대사탑비는 치석기법과 양식으로 보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와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장인 집단 계열에 의해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6] 1968년 보물 제463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전면
전면에는 진공대사(眞空大師)가 신라 귀족가문에서 태어나 출가하여 계율을 배우다 입당하여 원정(圓淨)의 법을 수학하고 돌아와 태조로부터 왕사의 예우를 받고 태조의 명으로 흥법사에 주석하다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7]
후면
음기는 진공대사가 고려 태조(高麗 太祖)에게 올린 표(表)와 태조가 대사에게 내린 글이 나란히 실려 있다. 맨끝에 상좌 장로 등의 제자와 낭중(郎中), 시랑(侍郞) 등의 직명과 내말의 관등을 가진 재가제자(在家弟子)가 열거되어 있다.[8]
신라 10세기 탑비의 특징
신라의 탑비는 9세기 후반에 확립되어 용두화된 귀부(龜趺)와 높은 비좌가 갖춰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은 10세기 초까지 이어졌는데 10세기에 조성된 탑비는 용두의 크기가 더 컸으며, 높은 귀갑 위에 비좌가 설치되어 있다. 이수(螭首)에 구름과 용 무늬 역시 활달하게 조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진공대사 탑비도 이러한 신라 10세기 초의 탑비 양식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탑비로는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봉림사 진경대사비가 있다.[9]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충담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고려 태조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최광윤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원주 흥법사지 | A는 B에 있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A는 B와 관련있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있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있다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여주 고달사지 원공대사탑비 | A는 B와 관련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정충락,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행복한놀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 작성일: 2013년 3월 24일. - ↑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56쪽.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57쪽.
- ↑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 - ↑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56쪽.
참고문헌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 누리미디어. -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45~381쪽.
- 행복한놀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 작성일: 2013년 3월 24일.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 문화재청.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