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DHLab
Tutor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7년 6월 15일 (목) 12:22 판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碑)
대표명칭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영문명칭 Stele at Ingaksa Temple, Gunwi
한자 軍威 麟角寺 普覺國師碑
주소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길 264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316호
문화재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찬자 민지(閔漬)
서자 왕희지(王羲之)
각자 죽허(竹虛)
승려 일연(一然)
건립연대 1295년
승탑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비문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문



정의

경상북도 군위군 인각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1206-1289)의 비.

내용

개요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는 1295년(충렬왕 21) 일연의 제자인 법진(法珍)에 의하여 세워졌다. 당시의 문장가인 민지(閔漬)가 왕명을 받들어 지은 명문이며, 글씨는 죽허(竹虛)가 진나라까지 가서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만들었다. 점판암 소재로 지금은 형체가 많이 훼손되었으나, 비문은 오대산 월정사 등 여러곳에 사본이 남아있어 알 수 있다.[1] 1963년 보물 제316로 지정되었다.

비문

전면

전면에는 일연의 생애가 기술되어 있다. 요약하면 경주에서 태어나 출가하여 승과에 급제하고 포산[2] 에서 수행하다 몽고 침공을 맞아 포산에 은거하고 선월사(禪月寺), 오어사(吾魚寺), 인홍사(仁興寺), 운문사(雲門寺) 등에서 주석하다 국사가 되고 인각사에 물러나와 입적한다는 내용이다. 원 간섭기에 국사(國師)라 칭하지 못하고 국존(國尊)이라 한다고 하였으나 실제 비 제액에서는 보각국사라고 하는 등 칭호의 문제를 살필 수 있고, 입적하기 전에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이 상세하며 『삼국유사』를 비롯하여 백 여권의 저술을 나열한 것도 특이하다.[3]

후면

음기는 문인 산립(山立)이 지었는데 일연비를 세운 경위, 다비[4]할 때의 영험담, 일연 문도와 단월[5] 에 대한 기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문도를 수록한 인명 기록에서는 제자를 법계에 따라 대선사(大禪師), 선사(禪師), 산림(山林), 삼중(三重) 순으로 열거하고 있다. 이를 통해 당시 일연이 불교계에서 사상적 영향력이 컸으며, 다양한 선승들이 그의 문하로 몰려왔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단월은 고위관료를 중심으로 기록되어있으나, 일연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드러난 경우가 많지 않다.[6]

비의 파손

비가 파손된 경위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남아있는 기록을 통해 추정해볼 수 있다. 『동계집(東溪集)』에는 당시 수작으로 꼽히던 왕희지 글씨를 얻기 위해 수많은 탁본이 제작되는 과정에서 훼손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임진왜란 때 절이 불타면서 파손되었다고 전한다.[7][8] 19세기 말에는 일연의 부도자리에 조부묘를 쓰고자 하였던 황보씨 일족이 승려들에게 저지당하자 절의 전각과 비석을 파괴하였다고 한다.[9] 현재 남아있는 비에서 읽어낼 수 있는 글자는 비 전면의 하단 우측 일부와 후면의 상단 우측 일부에 180여자 정도이다.[10]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일연 A는 B를 위한 비이다 1295년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민지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군위 인각사 A는 B에 있다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왕희지 A는 B가 비문을 썼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국내관광진흥팀, "인각사", 구석구석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2. 경상북도 청도군 비슬산의 옛 이름이다. "비슬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4. 불에 태운다는 뜻으로, 시체를 화장(火葬)하는 일을 이르는 말. "다비", 『네이버 국어사전』online.
  5. 사찰이나 승려에게 물건을 베푸는 불교신자. "단월", 『두산백과』online.
  6.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6~7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7.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8. 임진왜란 때 이미 손상되었는데 그 사실을 몰랐는지 명에서는 사신을 통해 계속해서 비의 인본을 청했다고 한다. 진홍섭, 『묵재한화:한국미술사 외사』, 대원사, 2011. 온라인 참조: "인각사 보조국사 정조탑비", 묵재한화:한국미술사 외사,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9.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5쪽.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10. 정병삼, 「일연선사비의 복원과 고려 승려 비문의 문도 구성」,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133, 2006, 36쪽.

참고문헌

  • 정병삼, 「일연선사비의 복원과 고려 승려 비문의 문도 구성」, 한국사연구회, 한국사연구 133, 2006. 33~70쪽.
  • 조명제,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25", 한국금석문집성 25: 고려9 비문9,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국내관광진흥팀, "인각사", 구석구석여행지찾기 『대한민국 구석구석』online, 한국관광공사.
  • 인각사보각국사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