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차이 없음)

2017년 6월 15일 (목) 12:22 기준 최신판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대표명칭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한자 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碑
주소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 517-2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463호
문화재 지정일 1968년 7월 5일
찬자 고려 태조(高麗 太祖)
서자 최광윤(崔光胤) 집자(集子)
승려 충담(忠湛)
건립연대 940년
승탑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비문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문



정의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원주 흥법사지에 있는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 869-940)의 탑비.

내용

개요

귀부 높이 75cm, 이수 높이 99cm. 이 비는 현재 귀부(龜趺)이수(螭首)가 절터에 남아 있으며, 비신은 일찍이 무너져서 깨어진 몸돌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중이다.[1][2]

비를 이고 있었던 돌거북은 거북이라기보다 용에 가까운 머리를 하고 있으며,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신체에 비해 크게 조각되었다.[3] 등껍질 무늬는 정육각형에 가까운데 그 안에는 만(卍)자 무늬와 연꽃이 새겨져 있다. 이수는 앞면 중앙에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고, 그 주위에는 구름 속을 요동치는 용을 조각하였다. 용 두 마리가 서로 무섭게 노려보고 다른 두 마리는 양 귀퉁이에서 옆을 쳐다보고 있다. 뒷면에도 네 마리의 용이 사방을 주시하고 있다.[4]

비문은 고려 태조(高麗 太祖)가 짓고 최광윤(崔光胤)이 당나라 태종의 글씨를 집자하였다. 글씨는 2∼4㎝의 행서로 통일신라 말엽 당태종의 글씨가 전래되었다는 기록을 입증해주는 좋은 자료이다.[5] 진공대사탑비는 치석기법과 양식으로 보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와 비슷한 시기에 동일한 장인 집단 계열에 의해 건립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6] 1968년 보물 제463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전면

전면에는 진공대사(眞空大師)가 신라 귀족가문에서 태어나 출가하여 계율을 배우다 입당하여 원정(圓淨)의 법을 수학하고 돌아와 태조로부터 왕사의 예우를 받고 태조의 명으로 흥법사에 주석하다 입적한 생애를 기술하였다.[7]

후면

음기는 진공대사가 고려 태조(高麗 太祖)에게 올린 표(表)와 태조가 대사에게 내린 글이 나란히 실려 있다. 맨끝에 상좌 장로 등의 제자와 낭중(郎中), 시랑(侍郞) 등의 직명과 내말의 관등을 가진 재가제자(在家弟子)가 열거되어 있다.[8]

신라 10세기 탑비의 특징

신라의 탑비는 9세기 후반에 확립되어 용두화된 귀부(龜趺)와 높은 비좌가 갖춰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경향은 10세기 초까지 이어졌는데 10세기에 조성된 탑비는 용두의 크기가 더 컸으며, 높은 귀갑 위에 비좌가 설치되어 있다. 이수(螭首)에 구름과 용 무늬 역시 활달하게 조각하는 경향을 보인다. 진공대사 탑비도 이러한 신라 10세기 초의 탑비 양식과 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탑비로는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봉림사 진경대사비가 있다.[9]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충담 A는 B를 위한 비이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고려 태조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최광윤 A는 B가 비문을 썼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원주 흥법사지 A는 B에 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A는 B와 관련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있다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공대사탑비 A는 B와 관련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충락,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행복한놀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작성일: 2013년 3월 24일.
  3.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56쪽.
  4.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5.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6.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57쪽.
  7.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8.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9.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56쪽.

참고문헌

  • 임세권,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한국국학진흥원, 2014. 온라인 참조: "한국금석문집성 18", 한국금석문집성 18: 고려2 비문2, 『KRpia -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누리미디어.
  • 정성권, 「태조 왕건 친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국학연구 vol.31, 345~381쪽.
  • 행복한놀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네이버 블로그 - 절(터)로 떠나는 불교기행』online, 작성일: 2013년 3월 24일.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문화재검색』online, 문화재청.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흥법사진공대사탑비", 금석문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